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 한두 줄만 쓰다 지친 당신을 위한 필살기 이만교의 글쓰기 공작소
이만교 지음 / 그린비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러시아 브랜디의 <작가수업>부터 <소설쓰기의 모든 것1,2>, 윌리엄진서의 <글쓰기 생각쓰기>까지 그러고보니 그동안 접한 글쓰기 관련 책들이 하나같이 외서에 편중되어 있었다. 의도적으로 외서만을 찾아 읽은 건 아니었는데 어찌하다보니 그리 되었다. 그러다가 독서목록에도 올라와 있지 않던 책을 만나게 되었다. 아마 윌리엄케인의 <거장처럼 써라>라는 책을 빌리러 갔다가 그 책 대신 집어든 책이었다. 우선은 한국인의 관점에서 쓰여진 '글쓰기론'을 접해보고 싶었던 마음이 컸고, 그 다음으론 유난히 두툼한 두께에 홀렸다고나 할까. 작가의 작품이나 영화를 접한 것은 아니었으니 책을 선정하는 데 있어 지은이의 영향력은 0%에 가깝다.

 

      

 

참고로, 이만교는 2005년 영화로도 만들어진 '결혼은 미친짓이다'라는 작품의 원작자로 나름 지명도를 갖고 있다. 유쾌하고 발직한 작품으로 알고 있는데, <글쓰기 공작소>를 통해 언뜻 느낀 그의 글쓰기 자세는 결코 발직하지도 가볍지도 않았다. <글쓰기 공작소>에서는 다양한 예문을 통해 글쓰기의 잘잘못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등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글쓰기 공작소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가르침은 바로 글쓰기의 방법이 아닌, 글쓰기 자세가 아닐까 싶다. 작가 역시 깊이 있는 사유와 주제의식이야 말로 글쓰기의 핵심이라고 일갈하고 있다. 


좋은 글이란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고,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독서를 통해 씨앗문장과 씨앗도서를 갖고 있어야 한다.


무릇, 글쓰기의 시작은 글읽기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독서도 올바르게 해야지 호기심이나 관심분야만을 기웃거려서는 결코 좋은 독서력을 키울 수 없다. 저자인 이만교는 밑줄긋기를 통해 사유의 폭을 넓히고, 이를 글쓰기의 씨앗문장과 씨앗도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그가 깊은 감동을 받은 씨앗도서 <전태일 평전>은 시간을 내어 곱씹어 읽어 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언치에서 벗어나기 위해 언어를 갈고 다듬는 '조탁'을 게을리 하지 말고, 일상언어와 관용구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글쓰기를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뛰어난 통찰력을 발휘하고 있다.  소설지망생들의 가장 큰 실수란 언어에 대한 감수성이 빈약하고 평소 사용하는 일상언어를 그대로 문장속에 옮겨놓는다는 점이다. 사실, 출판언어는 일상언어와는 달리 오로히 문자만으로 독자와 소통해야 한다. 그러므로 글쓰는 사람이라면 훨씬 더 명징하고 적확한 단어와 표현을 선택해야 한다.


감수성이 무디어지면 다수언어가 된다. 그러므로 창작언어를 구사하는 소수가 되어야 한다.


글쓰기의 대가들이 한결같이 강조하는 부분이다. 상투적인 표현을 피하고 색다른 표현을 창조해내야 하고 언어의 창조성은 예리한 감수성을 통해 표출된다. 언어에 대한 감수성은 글자 하나 단어 하나 표현 하나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집착하는 과정을 통해 키워진다. 이만교에 따르면 '언어는 너무나 다양하고 너무나 섬세하고 너무나 예민해서 단 한 글자도 허투루 나오지 않으며 단 한 글자도 속일 수 없으며, 한 문장 한 문장의 변화가 곧 내 삶의 한순간 한순간의 변화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언어를 매만지는 자세가 숭고하고 웅숭스럽기 그지없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좋은 글은좋은 소재(글감)만으로는 부족하다. 문제의식 즉 주제의식을 갖고 있어야 좋은 글이 탄생한다. 잊지말자! 소설의 3요소는 주제, 구성(플롯), 문체임을...


흔히, 사람들은 자신이 살아온 삶을 책으로 엮으면 대하소설이 될 것이라는 말들을 종종 한다. 그렇지만 매우 진귀하고 독특한 체험을 한 사람들이 모두 책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소재의 부재가 아닌 주제 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제의식은 어떻게 갖을 수 있을까? 세상과 사람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와 애정이 아닐까 싶다. 나에게 가장 부족한 것 역시 주제 의식의 부제를 들 수 있겠다. 


장르나 신춘문예 등과 같은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글쓰는 과정 자체를 즐겨야 한다.


저자는 솔직히 고백한다. 글쓰기를 가르치면서 '염불보다는 젯밥에 관심이 있는 이들'을 많이 만나게 되노라고. 그런데 젯밥에 관심을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염불 외는 실력은 형편없어 지고, 실력이 없으니 좋은 결과를 얻기란 불가능하다. 열심히 온마음 다해 좋을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다보면 그 과정의 끝에 등단이나, 문예지 당선 및 출판 등등이 자리하고 있는 법이다.


겉으로는 열심히 치열하게 읽고 쓰고 고민하는 듯하지만, 그것이 결코 열심히 치열하게 읽고 쓰고 고민한 것이 아닌 경우가 얼마든지 많다. 열심히 읽은 것이 아니라 조급하게 읽었거나, 많이 읽은 것이 아니라 방만하게 읽었거나, 성의껏 쓴 것이 아니라 욕심껏 쓴 것이거나, 자기 도약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자기 도취에 빠져쓴 것이거나, 치열하게 고민한 것이 아니라 치졸하게 고민한 것이거나, 다양하게 고민한 것이 아니라 산만하게 고민한 것이거나, 혼자만의 시잔을 가진 것이 아니라 혼자뿐인 시간을 가진 경우, 그러한 노력은 허사다. (...) 경험으로 미루어 보건대, 참으로 많은 학생들이, 그리고 나 자신조차도 참으로 자주, '열심히'와 '조급히'를 혼동하고, '최선을 다해'와 '욕심을 다해'를 혼동한다. '자기만의 생각'과 '자기만의 고집'을 혼동하고 '독창적인 글쓰기'와 '독선적인 글쓰기'를 혼동한다. '고독한 창작생활'과 '고립된 창작생활'을 혼동한다.

-이만교, <나를 바꾸는 글쓰기공작소>中-


나 역시 사유하기 위한 책읽기가 아닌, 그저 바삐 기록하고 자랑하기 위한 자아도취적 책읽기를 해온 건 아니었는가? 분명 그런 마음이 조금도 없다고는 대답하지 못하겠다. 남의 지식을 소화시키지도 못하면서 너무 욕심껏 섭취한 것은 아니었는지... 알량한 글쓰기 솜씨를 자기자신에게라도 뽐내지 않고는 배기지 못하는 속물이자, 염불보다는 젯밥에 관심이 많이 어중이에 불과했던 스스로를 깊이 반성해본다. 벌써, 오늘 아침에도 블로그에 독후감을 남기기 위해 얼마 남기 않은 책장을 쏜살같이 달려가지 않았던가. 눈과 마음으로 읽지 않고 쓰지 않은 문장들은 오롯히 '내'것이 아닌 '남'것임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으니 아직 가야할 길이 멀고도 멀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