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5 - 고려시대 -상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5
이현세 만화, 김미영 지음,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진정한 통일 국가로 : 통일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진정한 통일이란 영토뿐 아니라 사람들의 의식과 문화까지 하나가 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신라와 고려의 통일은 어떨까? 신라는 삼국을 통일했지만 옛 고구려와 백제 사람들은 정치와 문화에서 소외되었다. 옛 고구려와 백제 사람들은 신라사람이 아니라 여전히 고구려,백제 사람이라는 의식을 가졌고, 이는 결국 후백제와 후고구려가 건국되는 계기가 되았다. 
  •  반면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한 뒤 지방의 세력들을 두루 정치에 참여시켯습니다. 태조 왕건이 나라를 세울 때 지방 호족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앙뿐 아니라 지방 곳곳에서도 뛰어난 문화를 함께 누렸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각가 고구려,백제,신라 사람이 아니라 모두 고려 사람이라는 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신라의 통일이 민족 통일의 완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왕건은 29번째 결혼을 하였다. 왕건의 어머니는 다른 왕의 아들딸을 서로 결혼시켜서 친척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왕비는 6명 부인이 22명 그 사이에 낳은 자식만도 30명이 넘는다. 그래서 호족들 때문에 왕건이 고려를 세우고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게 바로 그 사람들 덕분이다. 호족은 신라 시대 말기에 등장한 새로운 지방 세력을 말하는 것이다. 

 촌주 출신의 호족도 있고, 지방으로 내려간 지방으로 내려간 중앙 귀족 출신의 호족도 있었다. 그들의  고려를 세우고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긴 했다. 그래서 막상 왕건께서 왕이 되고 보니 호족들의 힘이 너무 커졌다 느끼셨겠죵??? 그래서 세력이 커진 호족들을 강화하려다 보니 그들과 혼인을 해서 친적 관계룰 맺는 방법을 쓰게 된 것이다. 

신라 시대 말기에 각 지방에서 호족들이 일어나 세력을 키웠다. 그 호족들 중에서 큰 세력을 모은 견훤이 900년 후백제를 세우고  901년에는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웠다. 두 나라는 점점 세력이 막강해져 신라는 경주 땅만을 다스릴 정도록 현편없이 작아졌다. 이때 궁예 밑에서 장수로 있던 왕건이 호족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궁예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리포털의 과학마법학교 3 해리포털의 과학마법학교 3
박종규 지음, 김선영 그림 / 동아엠앤비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우선 고체가 액체에 녹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면 두 가지 고체 물질이 섞여 있는 혼합물은 두 물질 중 어느 하나만 녹이는 액체를 써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프탈렌과 소금이 섞여 있을 때, 이 혼합물을 물에 넣으면 소금은 물에 녹지만, 나프탈렌은 녹지 않고 가라앉는다. 이것을 거름종이로 걸러 내면 소금은 물에 녹지만, 나프탈렌은 녹지 않고 빠져 나가고 나프탈렌만 거름종이 위에 남아 있게 된다. 

 이 소금물을 증발시키면 소금을 얻을 수있다. 그리고  또 하나 서로 녹지 않는 혼합물은 스포이트나 분별깔때기를 이용한다. 우선 스포이트다. 스포이트는 물과 기름을 시험관에 넣는다. 

 기름이 물 위에 뜬다. 물 위에 떠있는 기름을 조심스럽게 스포이트로 분리하면 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완벽하게 분리해내기가 어렵다. 그래서 분별깔때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정확한 분리를 위해서는 분별깔때기를 이용한다. 분별깔때기의 콕을 막고 두 액체의 혼합물을 넣으면 그림과 같이 위에는 기름층, 아래에는 물층로 나누는데, 콕을 열면 물이 먼저 나오게 된다. 두 액체의 경계묜이 이 콕 부근에 먼저 나오게 해서 잠그면 된다. 

 스포이트보다는 완벽하게 물과 기름을 분리 할 수있다. 그리고 분별증류란 무엇일까요?  끓는 점의 차이가 큰 엑체의 혼합물을 가열시키면 끓는 점에 도달하면서 물질별로 기체가 됩니다. 이를 다시 낭각시키는 방법으로 물질을 분류할 수 있다. 

나는 이책을 읽고 나서 과학의 세계는 마술같다는 것을 알았고 그래서 이 과학책도 많이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리포털의 과학마법학교 2 - 과학교과서 뛰어넘기 시리즈 해리포털의 과학마법학교 2
박종규 지음, 김선영 그림 / 동아엠앤비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우선 행성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약 우주 버스가 우리나라의 버스처럼 종류가 다양하다면 버스마다 다를 것이다.태양에서 출발해 행성에만 서는 고속버스하면 수성,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명왕성까지 아홉 번을 선다. 

 하지만 정류장마다 다 서는 마을버스라면 태양에서 출발해 명왕성까지 갈 때까지 아마 수천 번은 서야 할 것이다. 수십 개 가 넘는 위성과 1800여 개가 넘는 소행성 그리고 혜성까지 들러야 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에서 생활하는 우리는 느끼거나 볼 수는 없지만 공기에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우주 공간에는 공기가 전혀 없다. 공기는 산소를 공급해 주며,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해로운 방사선도 막아준다, 그리고 공기는 우리 몸을 구석구석 눌러 주는데, 이런 압력이 없다면 우리 핏속에 들어 있는 가스들이 부글부글 솟아 나와 목숨을 잃게 된다. 

 우주복은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 산소를 공급해 주고 압력을 유지해 주는 등 많은 일을 해준다. 이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우주복의 평균 무게는 무려 103kg이나 된다고 한다. 태양계에서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존재는 오로지 태양 뿐이 없다. 

 태양이 만약 빛을 내지 않는다면 태양계는 암흑 세상이 될것이고,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을 것이다.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행성인 금성과 화성, 그리고 밤하늘에서 가장크게보니는 우리 지구의 위성인 달이 반짝이는 것 역시 태양 덕분이다. 

 태양 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과일들로 만약 행성을비교한다면 목성:수박 명왕성:앵두씨 화성:체리 수성:앵두 지구:방울토마토 금성: 포도 알(1개) 해왕성:사과 천왕성:조금 큰 배 토성:멜론 이렇게 나누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4 - 남북국 시대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4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북극 시대의 이야기는 문자에 대해서 향찰의 이두인 것은 맞는 것 이지만 설총이 만든 것은 아니다. 한자는 우리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을 수 없어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그래서 그동안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기록하는 이두 문자를 사용해 왔는데 설총이 이것을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신문왕이 행정 구역을 새롭게 바꾸었다. 하지만 그전에는 전국은 5주로 나뉘고 특수 행정 구역으로 2소경이 있다. 그런데 새로 바뀐 행정 구역은 옛 고구려와 백제의 땅까지 합쳐 국토를 모두 9개의 주로 나누고, 중요한 곳에 5소경을 두었다. 

 이렇게 바뀐 이유는 통일 뒤에 3배나 넓어진 땅과 늘어난 인구를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서 이다. 그래서 다섯 개의 소경이 금성의 중앙 정부를 대신해서 멀리 떨엊뎌 있는 지방들을 고루 다스리는 것이다. 그 밖에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 소 부곡이 있다. 

 이곳에는 전쟁 포로나 천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다. 세 나라가 통일된 뒤 달라진 것은 행정 구역 뿐 만이 아니다. 군사 제도가 9서당 10경으로 개편되었다. 

 수도와 왕궁을 담당하는 중앙군으로 9서당을  두었는데 ,신라인, 고구려인,백제인,말갈인을 골고루 배치했다. 그리고 지방군으로는 10정을 두었다. 각 주에 1정씩 두었는데, 한산주에만 정을 2개 배치했다. 한산주가 북쪽 국경에 있어서 외적의 칩입을 자주 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왕이 직접 곤리하는 기관인 집사부가 설치되어 왕의 명령을 곧바ㅑ로 처리하게 되었어 그러다 보니 왕의 권한이 매우 커졌다. 통일 전에 귀족들이 모여 나랏일을 결정하던 화백 회의의 기늘과 상대등의 권한은 약해졌고 왕의 권한이 강하지니 집사를 이끄는 시중의 권한이 강해지고, 반대로 귀족 회의를 이끄는 상대등의 권한은 약해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3 - 삼국 시대 -하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3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75년 백제는 고구려의공격을 받아 남쪽 웅진으로 쫓겨 내려왔다. 수도 한성은 물론 한반도의 심장이자 농업 생상의 중심지인 한강 유역을 빼앗긴 채였다. 그리고 무령왕이 532년에 죽게 되자  무령왕의 무덤 무령왕릉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벽돌 쌓기가 진행되고 있었다. 세워 쌓는 벽돌에는 연꽃에는 무니가 반씩 새겨 있어, 두장을 쌓으면 하나의 연꽃 무늬가 되었다. 무덤의 천장은 전체적으로 반원 모양을 이루게 했고, 벽에는 등잔을 놓을 자리도 마련했다. 

] 왜에서 보낸 관은 금송나무에 옻칠을 한 것이었다. 여기에 무령왕의 시신을 모시고, 관 옆에 무령왕이 평소 사용하돈 물건들을 놓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왕릉 입구에는 진묘수를 놓았다. 진묘수는 두 눈을 부릅뚠 돌짐승 조각인데, 왕의 안식처인 무덤을 지키라고 놓아둔 것이었다. 

 뒷날 526년 세상을 떠나 529년 안장된 무령왕비의 지석 뒷면에는 무령왕의 장례 때 토지의 신에게 무덤으로 쓸 땅을 돈을 주고 샀다는 내용의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두 지석 위에는 중국 돈인 오수전 한 꾸러미가 놓여 있었다. 그래서 무령왕비는 무령왕이 무덤에 안장된지 4년 뒤인 529년에 묻히며, 이 무덤은 1,442년 후인 1971년에 발굴되었다.  

그리고 이차돈은 불교를 알리기 위하여 임금에게 자기를 죽여 달라고 말한 다음에 죽게 되었다. 백률사 석당기의 기록처럼 이차돈의 목이 하늘을 날아서 금강산 곡대기에 떨어지느 일은 없었다. 

하지만  이 일을 계기로 법흥왕은 불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었고, 547년 이차돈의순교를 기념하여 절을 세웠는데 이것이 백률사 이다. 그리고 이차돈 순교비가 그 앞에 있는데 이차돈이 순교한 지 290년이 지난 818년에 세운 비석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백률사 터애서 발굴돤 유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