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탐험 이야기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이야기 22
김영 지음, 윤유리 그림 / 가나출판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인류 최초의 탐험은오늘날의 중동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 지역은 일찍부터 문명이 발달하고 바다로 나아가기 쉬워서 새로운 땅을 탐험하려는 사람들의 욕구가 다른곳보다 훨씬 강했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상인들은 물건을 팔려고 여행을 하다가 기원전 2500년 무렵에 인도양과 무렵에 인도양과 지중해까지 갔다고 한다.  

이집트 사람들도 바빌로니아 상인들 못지않고 탐험심이 강했다. 이들은 아프리카 동해안에 닿았던 것이다. 행해술이 뛰어났던 것입니다. 항해술이 뛰어났던 페니키아 사람들의 활약도 눈부셨다. 페니키아 사람들은 기원전1100년대에 이미 지중해를 가로질러 항해했다.  

배로 물건을 싣고 다니면서 장사를 했던 이들은 지금의 북아프리카 튀니지 당에 카르타고라는 도시를 세우고 무역과 항해의 근거지로 삼기도 했다. 페니카아 아프리카를 탐험한 뒤, 그곳에 식민지를 세우려고 배를 수십척 보냈을 정도로 탐험에 적극적이었다.  

당시의 또 다른 대제국이어던 페르시아도 탐험에 뒹들었다는 기록이었다. 기원전 515년쯤에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대왕은 스킬락스라는 사람을 보내 지금의 인도 지역인 인더스 강 유역을 탐험하게 했다.  

긇지만 무엇보다 초기 탐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나라는 그리스이다. 당시 세계 최고의 문명수준을 자랑하던 그리스는 탐험에서도 큰 공을 세웠다. 그리스의 철학장자 과학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는 과학자로서는 거의 처음으로 바다를 연구했다.  

그는 파도와 에게 해에 사는 생물에 대해 연구하고, 바닷물의 양이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등을 알아내어 고대 해양 생물학의 발달에 도움을 주었다. 아리스토 텔레스가 과학적 사실을 발견해 공헌햇다면, 천문학자이자 지리학자인 피테아스는 실제로 탐험에 나서서 유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미있는 바다 이야기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이야기 29
박흥식 지음, 이리 그림 / 가나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은 바다의 탄생 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다.  

우주에서 바라보는 지구는 푸른빛을 띠는 아름다운 행성이다. 지구는 왜 푸르게 보일가? 바로 지구 표면이 대부분 바다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만약 지구에 바다가 없다면 화성처럼 붉거나 누런빛을 띠는 행성이었을 거에요. 

지구는 어떻게 푸른 바다가 있는 아름다운 행성이 되었을까? 바다가 어떻게생겨났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태양계와 지구가 만들어진 과정을 알아야한다. 태양과와 지구는 약 46억 년 전에 생겼다.  

태양계는 성운이라는 소용돌이치는 먼지 크기의 암석과 금속 조각으로 된 아주 거대란 먼지구름덩어리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한다. 태양은 이러한 성운의 중심부에서 만들어졌다. 성운은 태양을 중심으로 빙빙 돌면서 서서히 납작한 원반 모양이 되었다. 태양 주위를 돌던 나머지 기체와 티끌은 서서히 납작한 우너반 모양이 되었다.  

태양 주위를 돌던 나머지 기체와 티끌은 서로 충동하면서 뭉치기 시작했다.가까운 거리에 있는 입자는 서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기체와 티끌은 점점 더 크게 뭉치면서 태양 주위를 돌면서 자전하는 행서잉 되었다.  

그래서 태양계에서는 지구를 비롯해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만들어졌다. 지금도 수많은 소행성과 입자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었다.  

지구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에는 바다가 없었다고 한다. 나는 지금 46억년 전의 지구인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같다. 하지만 공부를 더 열심히해서 바다와 육지와 그리고 사람들과 식물, 동물들을 나오게 할 수있는 풍성한 지구를 만들어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미있는 한국사 이야기 1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이야기 19
송영심 글, 최상규 그림, 정진영 감수 / 가나출판사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기원전 2333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 세워졌다. 고려 때 승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와 이승휴가 지은 제왕운기 등에 단군 왕검이 고조선을 세운 이야기가 전한다. 하늘을 다스리는 환인의 아들인 환웅이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싶어하였다.  

이때 곰과 호랑이가 인간이 되고 싶어 하자, 환웅은 쑥과 마늘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고 지내면 소원을 들어 준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참을성 없는 호랑이는 뛰쳐나갔고, 잘 견뎌 낸 곰은 21일 만에 여자가 되었다. 환웅이 이 여자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으니 바로 단군 왕검이다.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세운 나라가 바로 고조선이다.  

단군 신화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고조선의 지배층이 자신들의 하늘의 자손이라고 내세웠다는 것이었다. 또 바람과 구름과 비의 신을 데리고 내려왔다는 것으로 보아 농사를 중요하게 여겼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단군 왕검이라는 이름에서 단군은 제사를 책임지는 사람이고, 왕검은 정치를 책임지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즉 단군 왕검이라는 한 사람의 통치자가 제사와 정치를 지배한 사회라는 것도 알 수 있다.  고조선이 처음으로 도읍지로 삼았다는 아사달이 평양이라고 확신하는 북한은 단군릉을 발굴하고 1993년에는 평양의 높이만 22미터나 되고 1994개의 화강암을 9단으로 쌓아 올린 단군릉을 다시 지었다.  

그리고 단군릉에서 나왔다는 키 약 170센티미터의 건장한 남성의 유골이 단군 것이라고 전시해 놓고 있다. 그러나 남한 역사학자들은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북한이 유골의 연대를 측청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기 대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결국은 우리나라 최초의 나라를 세운 사람이 단군 왕검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연대의 뼈는 인정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앞으로는 남한도 이해하고 북한도 이해하는 자세를 가지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미있는 발명 이야기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이야기 35
허정림 지음, 장유정.김지훈 그림, 왕연중 감수 / 가나출판사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먼저 발명가들을 말해주기 전에 발명과 발견의 차이에 대해서 말씀해 드리겠습니다.  

불은 인류 최대의 발견이라고 부름니다. 우리가 살면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의식주를 해결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불이, 처음부터 환영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나뭇가지가 바람 때문에 서로 맞비벼지면서 생긴 불티가 나뭇잎에 옮겨 붙어 일어난 산불로 불을 처음 발견했기 때문이다.  

화산의 폭팔, 벼락으로 인한 산불 등 불의 무서운 파괴력을 먼저 경험한 원시인들은, 불을 악마라고까지 생각했다고 한다. 이렇게 인간의 힘으론 대핳할 수 없는 무서운 존재로 여겨졌다. 불을 점차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고마운 것 이 되었다.  

어두운 밤을 밝혀 주고, 날고기를 익혀 먹제 해 주었다. 도 불이 있으면 추운 겨울도 다뜻하게 지낼 수 있었다. 이런 불의 장점을 알고 나자, 사람들은 자연에서 우연히 불을 얻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 손쉽게 얻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보다 간편하게, 어디서나 불을 피울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어떤 경우에 자연에서 불이 생겼는지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그것을 흉내내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도구가 바로 활비와 불송곳, 황활광이다. 

나뭇가지가 바람 때문에 서로 맞비벼지면서 불티가 생기는 현상을 관찰한 인류는 나무에 구멍을 뚫고 막대기를 꽂아 빠르게 비벼 불시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러한 원시 도구들은 문명이 발달하면서 들고 다니기 편하고, 불을 일으키기도 쉬운 성냥과 라이터, 가스레인지 등의 발전된 도구로 재 탄생하였다.  

발견과 발명의 개념이 다르지만 가까운 관계이다. 우연한 발견을 통해서 발견해내는 것, 그것이바로 발견과 발명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흥애흥애 2011-09-19 0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재미있는 미래 과학 이야기 신문이 보이고 뉴스가 들리는 재미있는 이야기 35
김수병 지음, 유남영 그림 / 가나출판사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최초의 생명체 복제는 1952년에 올챙이를 복제한 것이다. 역사가 오랜만큼 많은 과학자들이 생명체 복제에 도전을 했다. 1996년에 복제 양 돌리가 태어남으로써, 생명체 복제는 다시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우리나라에서도 황우석 박사팀이 2005년에 복제 개 스너피를 탄생시켰다. 복제한 동물들은 자연적으로 태어난 동물보다 빨리 늙어서 죽기도 했다. 그런데도 과학자들이 동물 복제 실험을 계속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복제 양 돌리가 태어난 뒤 인간 복제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졋다. 한쪽에서는 동물을 복제한 기술이 사람에게는 통하지 않을 것이라며 인간 복제 가능성을 의심하기도 한다. 복제 실험을 위해 수많은 난자를 구해야 하는 것도 걸림돌이다.  

동물이라면 조금은 쉽게 연구를 하려면 엄청나게 많은 돈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에도 비밀리에 인간 복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과학자들은 왜 인간을 복제 하려고 애를 쓸까? 

불임을 극복하는 최후의 수단이 인간 복제라고 믿기 때문이다. 자식을 낳고 싶어도 낳을 수 없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피부 한 조각만 떼어 자기 자식을 만들 수 있다는 데 의지하고 싶지 않을까?ㅋㅋ  

만일 사랑하는 부모나 자식이 갑작스럽게 죽었다면 복제를 통해 그 사람을 다시 살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죽음 직전의 상태에서 피부 한 조각을 떼어 내면 유전적으로 형질이 같은 사람을 만들 수있다.  

난 이 책을 읽고 인간 복제가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다는 것을 알게되어서 정말 기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