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4 - 세종.문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4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중권력  

급작스레 보위에 오른 스물두살으 젊은 임금 세종은 두려웠다. 준비 없이 나라를 맡게 되어서가 아니라, 상왕으로 물러앉은 아버지 태종의 의도를 알 수 없다는 것이 문제였다. 난세를 헤쳐오며 당대의 영웅들을 모두 제압하고 노련한 정치기술과 강력한 카리스마로 젊은 대간들은 물론 노대신들까지 쥐락펴락하는 아버님이 아닌가? 이제 춘추 쉰돌이나 아직은 왕성하게 일할 수 있는 떼이건만, 고민스럽긴 신하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때의 병조판사는 박습, 병조참판은 강상인이었는데, 강상인이 실세였다. 병조 일을 오래 해온데다가 태종을 대군 시절부터 따라다니며 모신, 말하자면 태종의 가신이다. 그런데 무슨 생각에서 였는지, 강상인은 태종을 제쳐놓고 세종에게 보고하곤 했고, 그렇게 며칠이 지난 어느 날! 세종이 왕위를 물려받은 지 불과 보름 만의 일로, 상왕인 태종의 힘을 새삼 일개워준 사건이다.  

조사가 끝나 강상인 함길도의 관노로 보내지고 박습은 경상도로 유배된다. 그렇게 사건은 마무리된 듯 보였다. 세종이 즉위하고 열흘 남짓 지난 어느날 심온 세종의 장인으로 심덕부의 다섯째아들이다. 심덕부는 태조와 위화도 회군을 함께했고 개국후엔 좌의정까지 지낸 인물, 아들들도 모두 높은 벼슬에 이르렀으니 그의 집안은 실로 당대의 명문가라 하겠다.  

심온은 그렇게 좋은 가문에 대군의 장인이라는 배경, 그리고 그 자신의 능력까지 인정받아 이미 이조 판사의 지위에 올랐다. 태종이 또 명하기를 주상의 장인이니 영의정에 앉히라고 했다. 외척에 대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경계심을 보여온 태종이 아니었던가? 

이 책을 읽고 세종이 심온을 주상의 장인이라서 영의정에 앉히는 것라고 했는지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 태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빨 빠진 호랑이  

태종 이방원 당대 최고의 인물들을 물리치고 오늘에 이른 그다. 아직 젊은, 서른네 살의 나이지만 산전수전 다 겪은 노련한 정치가다. 그동안 정국의 불안요소였던 사병 문제도 세자 시절에 이미 정리했고 이에 반발했던 조영무 등도 이제는 완전히 꼬리를 내린 상황이다. 이렇게 할 경쟁자도 없어 그의 권좌는 반석 위에 놓인 듯 보였다. 다만 한 가지 걱정이라면 정통성 문제였다.  

아버지를 몰아내고 형제들을 죽여 가며 등극했다는 것은 명분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함이다. 더욱이 조선은 충효를 앞세우는 유교국가다. 자주 찾아 문안인사를 드리고 잔치를 베푸는 등 성의 를 보여도 얼어붙은 부왕 태조의 마음은 풀리지를 않는다. 변발을 한 동북면의 촌놈에서 영웅, 재상을 거쳐 마침내 나라를 세워 만인지상의 임금이 되었다가,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읽고 물러나야 했던 태조 이성계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기가 얼마나 힘들었을까 ? 태상왕이라는 그럴싸한 존호를 받았지만 허울뿐이었다. 

나라의 중대사들이 자신과는 의논 한 마디 없이 결정된다. 물너나 6개월 남짓 지났을 때였다. 개경으로 떠나는 날, 사랑했던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을 둘러보다 말고 참았던 울분을 토해냈다. 그러나 메아리 없는 신하들 이빨 빠진 호랑이임을 절감하는 순간이었다. 태상왕 태조는 심술 비슷하게 자신의 힘을 테스트해보기로 했다. 태종이 아직 세자의 자리에 있을 때였다.  

이무, 그자의 믿을 수 없는 사람이다. 간첩 노릇이나 하며 살피다가 이기는 쪽에 붙었다. 세자 방원은 형 정종에게 청해 이들을 유배조치하였는데, 신료들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히자 이를 핑계로 오래지 않아 다시 불려들였다. 권력을 잃은 허탈감이나 옛 신하들에 대한 배신감보다 더 견디기 ㅁ든 것은 역시 슬픔이었다.  

나는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정말 태조 이방원이 왕이 되기까지는 정말 많은 노력과 희생이 있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는 대통령도 더 좋은 대통령이 선발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y? 발명.발견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16
김민재 지음 / 예림당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읽고 발명과 발견에 대해서 알게 되어서 좋았다.  

갈릴레이는 어느 날 우연히 피사의 대성당 천장에 달린 램프가 흔들거리는 것을 보다가 진ㅁ자의 등시성을 발견하게 된다. 당시 의학도였던 갈릴레이는 램프의 흔들림이 규칙적인 것을 보고 환자의 맥박을 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이렇게 진자의 등시성을 발견한 갈릴레이는 집접 환자의 맥박을 재 보기도 하였다. 또한 이 법칙을 이용하여 훗날 진자 시계의 설계도를 그려서 진자 시계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진자 시곈는 1656년 크리스티안 호이겐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만유 인력 뉴턴 

만유 인력의 발견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어느 날 뉴턴은 영국 울스도프 농장에 있는 자기 집에서 산책을 하고 있었다. 뉴턴은 점점 커지는 궁금증을 풀기 시작했다. 이것은 단순히 지구와 사과 사이에만 꿀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물체사이에서 작용한다는 것은 뉴턴은 알아냈다. 만유 인력이란 모든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따라서 두 물체의 거리가 멀어지면 끌어당기는 힘도 약해진다. 만유 인력의 크키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산소 발견  

산소는 원래 1772년 스웨덴의 셸레와 1774년 영국의 프리스틀리가 발견했다. 먼저 영국을 보면, 프리스틀리는 양조장에 갔다가 포도주 통 안에 생긴 발효 거품을 보고 기체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다. 수은을 가열하고 나면 산화 수은을 얻게 된다. 그리고 다시 산화수은을 가열하면 수은과 산소가 발생한다. 플로지스톤설 독읠의 베허와 슈탈은 물질이 타는 것은 물질 속의 플로지스톤이라는 물질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이 플로지스톤이 불꽃과 함께 밖으로 빠져 나간다는 이론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2-18 1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만유 인력과 뉴턴에 대해 알게 된 점만 정리했네.
과학 독후감 쓸 때 여러번 말했는데...
알게 된 사실 정리와 함께 그에 대한 너의 생각이 중요한 것이라고 말이야.
독후감 정리가 빠른 것은 한 눈에 봐도 알겠는데, 좀 더 다양한 독서를 하고,
쓰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찾길 바란다.
유샘이
 
Why? 물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21
김남석 지음 / 예림당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읽고 물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되었고 물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물이란? 

물은 수소와 산소가 공우 결합되어있는 물질로, 물 한 분자는 수소 2개, 산소 1개로 되어 있다. 물 분자는 결합력이 커서 서로 결합하여 쉽게 큰 집합체를 만든다. 기체 상태의 물 수증기 물은 증발해서 수증기가 된다. 수증기는 물 하나하나가 따로따로 대기를 떠다니는 형태이다. 

  액체 상태의 물 물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 물 분자는 수소 결합으로 서로 이어져 있는데, 이 결합은 일정하지도 고정되어 있지도 않다. 고체 상태의 물 얼음 얼음은 물 분자가 수소 결합으로 규칙적으로 이어져 있는 형태로, 액체 상태의 물보다 틈이 많은 구조를 이룬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도 액체 상태일 때보다 틈이 많아 더 가볍기 때문이다.  

물은 지구 표면의 약 70퍼센트를 차지하며, 지구 물의 총량은 약 13억 8천 6백만 세제곱킬로미터로 추정된다. 46억년 전, 지구는 화산 폭발이 수없이 일어나며 마그마가 들끓고 있었다. 마그마가 식어 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수증기를 머금은 가스가 새어 나왔다. 수증기는 차가운 공기 중에서 응결해 구름이 되었고, 곧 엄청난 비가 쏟아졌다. 내린 비가 모여 강과 호수가 되고 더 낮은 곳으로 흘러들어 바다가 탄생했다.   

물은 지구에서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고체, 액체, 기체의 상태로 모습을 바꾸며 끊임없이 돌고 돈다. 액체 상태의 물은 태양 에너지를 받아 증발하면서 기체가 된다. 하늘 높이 올라간 수증기는 식어서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변한다. 이런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이 응결핵을 중심으로 한데 엉겨 구름이 된다.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 들이 점점 커져서 무거워지면 기온에 따라 따뜻한 곳에서는 비로, 추운 곳에서는 눈으로 내리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 태조.정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읽고 이성계가 대단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성계가 왕이 된 다음 날엔 비가 내렸다. 가뭄 끝에 내린 단비인지라 혁명 세력은 하늘의 축복으러 여겼겠지만, 고려를 지키고자 했던 사람들은 정말 슬퍼했다. 왕이 된 태조 이성계가 눈을 감으니 지난 세월의 주요 장면들이 잘 편집된 필름처럼 펄쳐진다. 10여전 함주 막사를 찾아온 삼봉 정도전 그날 밤의 그의 열변이 이것을 현실로 만들어놓앗다. 신하들은 천명을 들먹이지만 민심이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는 것은 알고 있다.  

정몽주 테러로 인기가 뚝 떨어진데다 무엇보다도 475년이나 이어온 왕씨의 고려가 아닌가? 태조는 이러한 민심을 고려해 조심스레 처신했다. 궁궐로 즉각 이사하지 않고 출퇴근을 하는가 하면 조회도 선 채로 받았다. 이 또한 민심을 다독거리기 위한 조치였다.  

이렇듯 조심스럽고 굼떠 보이기까지 한 태조였지만 권력 인수 과정만은 달랐다. 오랫동안 준비한 이들답게 신속하고도 빈틈이 없었으니 즉위한 그날로 왕조 교체 사실을 알리는 사신을 명예  파견했고, 다음 날엔 공신들에게 맡겼다. 다시 이틀 뒤엔 청을 수락하는 형식을 빌려 왕씨들을 격리시켰다. 뒤이어 새 왕조를 함계 이끌어갈 내각을 구성, 발표했다. 배극렴, 조준, 정도전, 김사형, 남은 이화 이자란 철저한 공신 위주의 친위내각이었다.  

명나라로 떠났던 사신이 3개월여 만에 돌아왔다. 명나라의 공식 반응은 이러했다. 얼마 뒤 다시 명나라에서 전갈이 오기를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하기로 했다. 별다른 조건 없이 그냥 알리라 했으니 알려주기만 했어도 될 일을, 굳이 두 개를 홍무제에게 하나를 찍어달라고 청했다.  

이 책을 읽고 나는 정말 조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몰랐는데 이렇게 알게 되어 기쁘고 조선의 이름을 먹칠하지 말도록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