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미모자를 그렸나 - 손미나의 로드 무비 fiction
손미나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손미나.

‘스페인 너는 자유다’라는 책을 읽고 스페인에 가고 싶었다는 사람을 많이 봤다. 나도 그 중 한명이었다. 유럽에 있는, 투우의 나라, 정열의 나라라고 알고만 있던 스페인이 그 책을 통해 가우디와 돈키호테의 나라, 열정 가득한, 색채의 아름다움이 있는 나라, 마음만 있으면 한없는 자유를 느낄 수 있는 곳, 그래서 두근두근대는 마음으로 꼭 한번 가보고 싶은 나라고 바뀌어 있었다. 그 뒤에도 손미나씨가 내는 책들은 찾아 읽게 되었다. 어쩌면 스페인으로 대변되어 있던, 그녀의 뜨거운 열정이 나는 참 좋았기 때문이었다. 그랬던 그녀가 이번에는 여행 이야기가 아닌 ‘소설’이란 새로운 장르의 책으로 돌아왔다.

주인공은 테오와 레아, 그리고 장미와 로베르이다. 대필 작가인 장미가 레아, 한국 이름 최정희, 화가로 활동하다 사망한 그녀의 삶을 책으로 내려고 그들의 뒤를 쫓기 시작하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식당에서 어이없는 실수로 가방이 뒤바뀌고, 가방을 찾다가 로베르와 만난다. 이 모든 것은 어쩌면 ‘운명’ 이라는 신이 감독한 영화일지도 모르겠다. 우연과 운명이 교차되면서 만들어 내는 이야기는 흥미롭긴 하다. 처음에는 다소 산만함이 느껴져 몰입하기 힘들었다. 뭐랄까... 감각의 과잉이랄까? 글을 읽다보면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인 여러 감각을 모두 열어놓고 책에서 말하는 그 감각을 상상으로나마 찾아나서야 할 것 같아진다. 어느 정도 작가의 이야기 방식에 익숙해진 후에는 읽어나가기가 편해진다.

파리, 마르세유, 봄레미모자, 런던의 이국적인 풍경, 고흐, 세잔, 들라크루아와 같은 미술가 에 얽힌 이야기, 히틀러에 관한 숨겨진 소문 등의 흥미로운 소재를 잘 버무려 놓았다. 장미와 테오의 교차되는 시선도 좋다. 배경과 사건은 좋았는데, 아쉬운 것은 ‘인물’ 이다. 아리스토텔레스 모임에 얼떨결에 참석하게 된 학력도 배경도 부족한 테오가 일류 가문에서 최고의 교육을 받고 자란 그들의 생각에 일침을 가하는 장면이 있다. 그들의 대화를 읽으며 나는 아무 감흥도 없었는데, 레아를 비롯한 모임의 주최자들이 테오의 이야기에 감명을 받는 모습을 보며 의아한 기분만 들었다. 레아가 아버지가 벌인 일에 휘말려 테오와 멀어지는 것도 뭐랄까, 너무 신파적인 듯 싶다. 가장 매력적이어야 할 중요 인물들이 이렇게 힘이 떨어지니 아무래도 작품 역시 부족함이 느껴진다.

참 많이 기대를 했던 작품이었는데 이런 부족함 때문에 조금 실망하기도 했지만, 왠지 그녀를 믿어보고 싶어진다. 그동안의 여행 에세이를 통해 나의 마음을 흔들었던 그녀이기에, 소설이라는 장르에 익숙해지면, 그러니까 한 권 한 권 소설을 꾸준히 만들어내기만 한다면, 또다시 감동적인 소설을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 기대가 생긴다. 그녀의 다음 작품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