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모든 것 - 글쓰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 할
프레드 화이트 지음, 정윤미 옮김 / 북씽크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 블로그를 꾸민다’ 고 하지만 사실 글을 쓴다고 표현하는게 맞는 것 같고, 취업을 하기 위해서도, 대학을 가기 위해서도 글을 써야 한다. 내가 책을 읽고 서평을 쓰는 것이야 다 나 좋자고 하는 일인지라 즐기지만, 억지로 글을 써야만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고역이 아닐 수 없겠다. 그러나 글쓰기를 좋아하던, 그렇지 않던 글쓰기에 관한한 어떤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느낀다. 이왕 쓰는거 ‘ 잘 쓰고 싶으니까.’

무슨 말을 하고 싶어서 이 글을 썼는지 일목요연하게 파악되고,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조목조목 논리정연하게 표현하고 싶어한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읽는다.

<글쓰기의 모든 것> 이란 제목의 책에는 글쓰기 전 준비 과정 - 글쓰기 - 글쓰기 실전 - 글쓰기 후 원고 검토란 주제 아래 일련의 제안이 담겨 있다. 173여 가지의 제안 아래 담긴 글쓰기 노하우와 <생각 공장> <이렇게 하면>이란 팁으로 따라해 볼 수 있는 글쓰기 방법이 제시된다. 글쓰기 노하우보다 아래에 붙은 팁이 이 책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생각 공장> <이렇게 하면> 에 담긴 대로 글쓰기를 매일 매일 혹은 2-3일에 하나씩 따라 하다보면 일년 동안 글쓰기 주제에 관한 걱정은 없어 보인다. 왠지 글쓰기를 ‘습관’으로 만들어야 할 것 같다. 자꾸 써서 습관으로 만들면 적어도 우리가 글을 쓰기 전에 느끼는 일말의 두려움같은 것은 사라지지 않을까?

책에는 다른 작가,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회도 있다. 다른 작가들은 어떻게 글을 쓰고, 글쓰기에 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살짝 살짝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것도 읽는 재미를 준다.

책에 소개된 것을 한가지 보여주자면 이런 식이다.

‘ 특정 분위기를 조성하라 ’ 는 주제 아래 <생각 공장>에는 / 좋아하는 소설 하나를 골라서 작가가 적절한 분위기를 묘사하기 위해 어떤 기법을 사용했는지 연구한다. 특히 그 장면을 읽을 때 어떤 상상을 하게 되는지 유의해보고 특정 표현이 구체적으로 어떤 분위기를 그려내는지 분석한다./ <이렇게 하면> 에는 / 귀신이 등장하는 이야기처럼 특정 분위기를 유도하는 글의 서론을 써본다. 그런 다음 개요를 작성하고 본격적인 글쓰기를 시작한다. / (p199-200) 라는 제안이 담겨 있다.

하나 하나 읽다보니 어쩌면 글쓰기에 관한 책들이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무조건 쓰라’ 는 이 분야의 진리처럼 느껴진다. 글쓰기와 관련된 책도 어찌보면 자기 계발서와 비슷하다. 한비야님은 말씀하셨다. ‘ 누가 들어도 맞는 말로 가득하지만 결국 자기를 계발한다는 건 정보의 문제가 아니라 실천의 문제’ 라고. 글쓰기도 마찬가지란 생각이다. 노하우를 수백번 얘기해봐야 직접 써서 느끼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없는 잔소리일 뿐이라고.

‘하루에 몇 분 밖에 못 읽더라도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솟아날 것’ 이라 자신하는 작가의 말을 믿고 매일 글쓰는 습관을 들일 수 있는 방법을 배워보자. 그렇게 쓴 글을 고치고 고쳐라. 그렇게 쓴 글들이 어쩌면 당신을 다른 세상으로 안내할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