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매력이 숨 쉬는 도쿄 뒷골목 이야기
강석균 지음 / 넥서스BOOKS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2008년... 유난히 도쿄에 관한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만큼 여행자들이 많아지기도 했고, 또 그만큼 관심도 많아졌기 때문일 것이다. 나 역시 도쿄, 또는 일본에 대한 관심이 많아 관련된 책이 나오면 항상 찾아보려고 노력한다.  이 책도 그래서 보게 되었는데 책을 보는 내내 솔직히 마음 속에 이 단어가 떠올라 사라질 줄 몰랐다.

‘오지~~상... ’ (아저씨 -.- 어딘가 낡았어..)

  여행책을 만들때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책을 쓸 사람들은 자신이 쓰려는 곳 혹은 주제에 관련된 책을 무조건 다 찾아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소설가들은 그렇게 한다는 소리를 들었는데 그 반만이라도 했으면 좋겠다 싶었다.

 그렇다면 적어도 요즘 트랜드가 어떤지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많이 가는 곳은 어디인지, 유행하는 것에는 정확히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적어도 그런 정보들에 능통한 상태에서 책을 써야하는 것 아닐까. 요즘 블로거들은 전문가보다 더한 전문가들인데다가 어찌나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달인들인지 조금이라도 허점이 보이지 않도록 작가들은 많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책 제목이 ‘도쿄 뒷골목 이야기’였기에 나는 이제껏 알려지지 않은 도쿄의 다른 이면을 보여줄거라 생각을 했다. 하지만 ‘내가 바라는 도쿄의 뒷골목’과 ‘저자가 보여주는 도쿄의 뒷골목’은 의미가 확연히 다르다. 책 안에서 도쿄는 여전히 ‘긴자, 에비스, 신주쿠, 시부야, 하라주쿠, 아사쿠사... ’에 머물러 있다. 시모키타자와, 지유가오카, 카쿠라자카, 키치죠지 등으로 발전할 줄도 모른다. 시타마치라고 해서 알려지지 않은 도쿄의 뒷골목에 대한 소개는 정작 몇 페이지 되지 않는다. 그 부분마저 없었다면 정말 책 제목을 바꿔야 하지 않겠냐고 정중하게 말해볼지 모르겠다.

  도쿄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 묻고 싶어졌다. 유학생도 아닌거 같고, 그냥 일본어를 좀 알고, 도쿄에 여러번 다녀온 사람이 쓴 책이라고 밖에 느껴지지 않았다. 긴자의 와코 백화점에 대한 설명, ‘ 아사쿠사는 도쿄 3대 마쓰리 중의 하나인 산자 마쓰리가 열리는 것을 감안하면 소박하기 그지없다 ’ 란 문장을 책에서 두 번 정도 본 것을 가지고 정보가 너무 부족한거 아닌가... 한다면 오히려 내가 편협한 것일까 싶었다. 어차피 유행은 돌고 도는 것이니 고갸루가 사라진게 아니라 아게하나 다른 방식으로 바뀐게 아닌가 하고 생각해줬음 싶기도 했다. ‘메이드 복장’을 하녀복, 하녀복장이라고 하는 것을 보고는.. 물론 뜻은 같지만.. 그래도 뉘앙스가 다르지 않은가.. 싶으면서 단어 선정에 고심해줬으면 싶기도 하고.

  도쿄에 관한 책을 많이 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래도 재밌게 읽을 수 있겠다. 도쿄에 대한 에세이니 맛집, 멋집 등을 찾는 사람에게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처음 가는 도쿄에 가이드북은 다 보고 그냥 좀 더 도쿄에 대해 알고 싶을 때 읽고 가면 좋을 것이란 생각도 했다. 나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이 아는 내용이어서 오히려 심심하게 느껴졌다. 그래도 일본의 국화가 사쿠라가 아니라 국화였다는 게 나름 새로운 사실이었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