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100배 즐기기 - 세계를 간다 101, '08-'09, 개정10판 세계를 간다
정기범 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하루 생활에 지쳐, 여행을 꿈꿈때면 꼭 하는게 서점에서 여행기를 보거나, 가이드북을 찾아 보고, 아니면 블로그나 카페를 전전하며 다른 사람의 여행을 훔쳐보는 일이다. 아니면 나의 지난 여행을 들춰보며 그 때의 감동을 되새겨 보던지......

  가이드북이란 내게 어떤 의미일까.. 전에 이런 생각을 했었다. 여행을 가기 전에는 가이드북을 보며 일정을 짜고, 여행에 대한 상상, 예상을 하며 행복할 수 있다면, 여행을 다녀와서는 여행의 추억을 함께 할 수 있는 좋은 것이라고... 그렇게 지금도 가지고 있는 가이드북을 펼쳐보며 그래, 내가 여기를 다녀왔지... 그래... 이런 곳도 있었어... 하며 여행을 되새김하곤 한다.

  5월말 갑자기 도쿄로 여행을 다녀왔다. 작년에 출력해 놓은 가이드북을 가지고 갔는데, 가이드북에 나온대로 케잌집을 찾다가 황당한 일을 당했다. 찾다찾다 결국 못찾고 어줍잖은 영어로 가이드북을 들이밀며 안내데스크에 위치를 물었더니 돌아온 대답이 “ closed" 였다. 문을 닫았다고... 쉬는 날의 의미로 말한게 아니라 완전히 문을 닫은거였다. 그런 일은 다른 곳에서 한번 더 있었다. 그래서 깨달은 것이 여행 가이드북은 최신판(혹은 최신 개정판)이어야 한다고... 그리고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가이드북은 어때야 할까.. 좀 더 생각해보게 된다. 우선 여행을 계획함에 있어 나의 경우 궁금한 것이 (유럽의 경우) 1. 치안은 잘 되어 있나? 주의할 것은 무엇인가? 2. 어떤 일정으로 돌아다니면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 3. 어디서 묵지? 4. 그 곳에서 꼭 봐야만 하는 것은? 5. 어떻게 가야하지? 대충 이정도였다.
내 마음을 알아차린 것일까... 아님 보통의 사람들도 다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일까?
<유럽 100배 즐기기>에는 이 모든 것이 자세히 나와 있다. 물론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까지 상세히 설명해 준다.

책은 두께 5cm정도로 조금 두껍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유럽 28개국이 이 안에 다 있다고 하니 그렇게 따지면 두껍다는 생각은 사라진다.  좋은 점은 4부분으로 나누어 져서 가지고 다니기 편하다는 점이겠다.

1권: 영국, 독일, 아일랜드, 네델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2권: 오스트리아, 스위스, 체코, 폴란드, 루마니아, 헝가리, 크로웨이샤

3권: 프랑스, 모나코, 포르투갈, 스페인

4권: 이딸리아, 그리스, 노르웨이, 핀란드, 에스토니아, 덴마크, 스웨덴

이렇게 나누어져 있다.

첫 1권에는 덧붙여 여행 일정 짜기, 꼭 가봐야할  베스트 관광명소, 쇼핑 아이템, 풍경, 먹을거리에 대한 소개가 있고, 마지막 4권에는 도시별로 쓸 수 있는 쿠폰과 여행 준비를 하면서 필요한 것에 대한 정리가 잘 되어 있다.

  <영국>편을 잠깐 보면 국가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도 담겨 있고, <어떻게 가면 좋을까?> 편에서는 기차, 비행기, 버스 등을 통해 영국으로 가는 방법이 상세히 담겨 있다. <어떻게 다니면 좋을까?>에는 영국에서, 우선은 런던부터 돌아다닐 때 이용할 수 있는 교통편이 나와 있고, 요금도 적혀 있다. 지도도 물론 있으면 지도에는 현지어도 함께 적혀 있다. (이부분이 중요하다. 도쿄 가이드북만 여러권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어떤 것은 한국말로만 지명이 표기되어 있고, 일본어로는 적혀 있지 않아서 길을 물어볼 때 애먹었던 경험이 있었다. 일본어와 함께 적혀 있었어도 손으로 가리키며 가이드북만 들이대며 물어볼 수 있었는데... 그럼 다 알아서 설명해주는데......) 지하철 노선도, 미술관에 전시 작품 소개도 자세하다. <어디서 무엇을 먹을까?> <어디서 뭘하고 놀까?><어디서 무엇을 살까?> 순으로 소개되어 있으니 일정을 짤 때도 물론 편할 테고, 여행중에도 편할 듯한 느낌이다.

  여름에서 가을로 계절이 바뀔 때쯤 유럽 여행을, 좀더 자세히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다녀올 계획이다. 손미나 씨의 책 <스페인, 너는 자유다>와 요시다 슈이치의 <7월 24일 거리>를 감명깊게 읽고 여행을 준비했었다. 스페인에 대한 가이드북, 또는 여행기들은 많이 있는데, 솔직히 포르투갈에 대한 가이드북이 별로 없어 당황했는데, 이번 서평단 모집에 당첨되고, <유럽 100배 즐기기> 책에 스페인과 함께 당당히 있는 포르투갈 편을 보고 얼마나 감격스러웠는지... 아마 아무도 모를 것이다. ‘아! 하늘도 내가 여행가는 걸 허락하고 돕는구나!’라는 생각을 절로 했다. ^.^ 지금은 솔직히 약간 걱정도 된다. 포르투갈과 스페인 위주로 짜려던 일정에 이 책을 보면서 프랑스도 추가하고, 이딸리아도 한번... 하면서 일을 더 커지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책에 소개된 사진이 너무 예뻐서 가고 싶은 곳이 생기고, 결국에는 꼭 가야하지 않을까? 하며 생각을 굳힌다고나 할까?

  참, 한가지만 덧붙이자면,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에서는 일반적으로 쓰는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있다. (혹은 내가 모르는 것일수도 있겠는데......)  이탈리아가 아닌 이딸리아로 표기되어 있으며, 파리->빠리, 크로아티아->크로웨이샤, 프라도 미술관-> 쁘라도 미술관, 바이루 알투 지구-> 바이루 알뚜 지구, 신트라-> 신뜨라, 빌라도-> 삘라또, 와 같은 식이다. 처음에는 눈에 익지 않아서 ‘여기가 어디지?’ ‘이 사람은 누구지?’ 하고 당황하기도 했었는데, 조금 더 정확한 표현-현지에서 통용될 수 있는-을 적기 위해 그런 것이라 생각해본다.  

  어서어서 여름이 지나 <유럽 100배 즐기기>와 함께 하는 여행날이 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