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소설은 우선 재미있어야 한다. 아무리 근사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해도 독자에게 읽히지 않은 소설은 가치가 없다. 그러나 독자를 의식해 재미에 너무 치중한다면, 흥미 위주의 통속소설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문제는 재미와 가치의 간극을 잘 조율해야 된다는 점인데, 이것이야말로 오늘날 작가에게 가장 어려운 숙제가 아닐까 싶다.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는 작품의 가치를 너무 사회적, 역사적 문제의식에만 한정시키는 경향에서 벗어나, 그 가치를 현대의 젊은이들의 일상 깊숙이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큰 공감을 얻고 있다. 물론 소설의 미덕이라할 수 있는 재미 또한 놓치지 않고 있다.
오은수는 이 시대의 30대 도시 여성들의 삶을 대변해 주는 인물이다. 평범한 학창시절을 거쳐, 사회와 적당히 타협한 결과 적당한 직장에 취직하여 지금쯤은 몇몇 후배를 거느린 베테랑 사원이 되어버린 그런 나이의 여성의 전형이다. 직장과 우정, 연애와 결혼 따위가 가장 큰 관심사이며, 이따금 가족 간에 일어나는 소소한 일들에서 갈등을 겪기도 하는 그런 평범한 삶이지만 소설을 읽고 있노라면 우리는 오은수의 삶에 깊이 공감하게 된다. 스타벅스의 카페모카를 좋아하고, 주기적으로 친구들과 모여서 노닥거리며 스트레스를 푸는가 하면, 가끔씩 큰 마음 먹고 예쁜 블라우스를 사기도 하며, 멋있는 결혼식을 상상하기도 하는 등 소소한 일상 속에서 문득문득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직장 상사의 부당함에 멋지게 항의하지 못하고 뒤늦게 후회하는 소시민적인 모습까지도 말이다. 드라마 속에 줄곧 등장하는 똑 부러지게 일 잘 하고 자기 주장이 강한 멋진 커리어 우먼이 되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우리는 인생의 매순간마다 깨닫고 있지 않은가.
물론 뮤지컬 배우가 되기 위해 다섯 번째 성형 수술을 감행한다던가, 맞선본 지 이 주 만에 결혼을 결심하고 결혼직후 이혼한다던가, 결혼을 앞둔 약혼자가 남의 이름을 빌어서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던가 하는 일이 보편적인 삶의 모습이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평범한 삶이란 것이 그리 녹록치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또한 받아들이지 못할 것은 없다.
'달콤한 나의 도시'는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도시인의 풍속과 세태를 세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현대인들이 '흥부전'을 통해 조선 후기의 풍속을 살피고, '천변풍경'을 통해 일제시대 청계천 주변의 하층민들의 삶을 엿볼 수 있었듯이, 먼 미래의 독자들이 2000년대의 풍속을 알기 위해서 펼쳐 볼만한 소설이다. 그만큼 2000년대 도시의 트렌드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스타벅스의 커피, 핸드폰의 문자 메시지, 메신저 대화, 결혼 풍습 등이 구체적이고 세세하게 그려진다.
'달콤한 나의 도시'는 '브리짓 존스의 다이어리'와 많이 닮았다. 직장, 가족, 친구 등 주변인들에 대한 위트 넘치는 촌평, 돌연히 찾아온 사랑에 대한 단상, 우연히 목격한 엄마의 비밀까지. 그러나 그 정체성은 로맨스 소설이라기보다 성장소설에 가깝다. 사랑의 성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이 사랑을 통해 변해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일들을 겪고 난 후 은수는 사춘기를 심하게 앓은 소녀처럼 훌쩍 자라 있는 모습을 보인다.
한국문단의 특성 중의 하나가 통속소설과 이른바 '작품'으로 치부되는 본격소설간의 경계가 너무나도 분명하다는 것이다. 소설에는 반드시 굵직하고 심오한 진리를 담고 있어야만 예술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일종의 문화귀족주의 탓에 정작 독서를 외면하는 사람들만 늘어나고 있다. 21세기 들어 새롭게 창조되고 있는 젊은 세대들의 문화가 '통속적'이라는 이유만으로 문단에서 외면될 것이 아니라, 그러한 변화까지도 반영하는 것이 오히려 문학의 역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도시 젊은이들의 일상을 가볍게 풀어내며 젊은층에게 공감을 주는 소설들은 소설의 겉멋을 한꺼풀 벗겨낸다는 점에서 한국 문단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