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목길 자본론 - 사람과 돈이 모이는 도시는 어떻게 디자인되는가
모종린 지음 / 다산3.0 / 2017년 11월
평점 :
해외 여행을 다니면서 내가 느낀 한 가지는
서울은 참 멋이 없는 도시라는 사실이다.
서울의 모든 도심은 획일화된 큰 빌딩과 스타벅스, 백화점, 대형마트 등 온갖 프랜차이즈점 식당들에 둘러싸인 대형가게들이 잠식한 서울의 도심은 삭막하고 차가운 느낌을 준다.
무조건적인 개발을 중요시한 탓에 각 도시에 맞는 개성 있는 특징을 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인지 서울은 불행히도 외국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장소로 각광받지 못하고 있다.
<골목길
자본론>의 저자 모종린 교수는 이에 대한 답을 골목길에서 찾는다.
왜 저자는 골목길에서 답을 찾을까? 골목길은 우리의 옛 추억을 소환하게
하는 향수를 불러오는 정겨움이 있다. 그리고 골목길의 특징과 개성이 살아 있다. 획일화된 빌딩 사이를 걷는 것보다 여러 개성 있는 가게들을 구경하며 특유의 문화를 즐기는 골목길은 특히 젊은이들에게
매력으로 다가오게 만든다. 성공적인 골목상권으로 평가받는 홍대와 이태원 등 골목상권과 같이 온갖 자본력과
유명세로 잠식된 도심과 견주어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 무엇을 갖추어야 할까?
저자는 골목상권 성공 조건을 C-READI 모델을 제시한다. C-READI 모델이란 예술가, 활동가(Culture), 낮은 임대료 (Rental), 첫 가게 간판 상점(Entrepreneur), 접근성 (Access), 공간 디자인 (Design), 정체성 공동체 (Identify)을 의미한다.
사람들을 골목으로 유인할 수 있는 개성 있는 문화가 구축이 되어야 하며 골목에 첫 가게가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은
후 후발 가게들이 들어와 상권을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골목상권에 문화와 볼 거리가 많다 하여도
접근성이 여의치 않다면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골목 상권을 위한 정부의 지원도 무시할 수 없다. 저자는
그 중에서도 공동체문화를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형마트 또는 큰 프렌차이즈 식당의 독점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이 때 조그마한 골목상권은 자본력으로도 경쟁력이
약하고 항상 젠트리피케이션 (높은 임대료로 인해 원래 살고 있던 지역에서 내몰리는 행위)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취약한 골목상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위해서는 서로 함께 협력하고 동업자로 인식하며 공동체문화 강화에 힘써야 하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고품질 소상공인 공급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에는
수많은 자영업자들이 있다. 하지만 자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중에는 프랜차이즈 치킨점,
조그마한 식당, 커피숍 등이 많지만 전문성을 갖고 창업을 하는 자영업자들의 수는 많지 않다. 일본의 경우 가업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대를 이어 가게를 물러 받아 가업을 이어가는 가게들이 많다. 부모로부터 전수받은 노하우와 가문 특유의 개성으로 인해 일본의 골목을 다니다 보면 여러 가지 다양한 가게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은 다르다. 모두 대기업, 공무원 등을 추구하고 작은 가게와 같은 가업을 잇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안타깝게도
많은 가게들이 우후죽순 생겨나지만 또한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이 한국 자영업의 안타까운 현실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 소비자의 차별적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고품질 공급자를 육성할 수 있는 정부의 교육 지원과
우리의 인식 개선이 필수적이다.
성공적인 골목 상권을 위해 저자는 성공적인 골목 상권을 만들어낸 도시들을 소개해 준다.
대중교통과 보행을 강좌여 콤팩트시티로 성장한 일본의 도야마, 서퍼들의
낙원 한국의 죽도해변,
지역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연희동의 사러가쇼핑센터, 유명한 작가들의
고향인 브루클린 등 이 많은 골목상권들의 특징은 바로 문화와 함께 골목상권들의 차별화된 노력이었다.
서퍼들에게 맞춤화된 죽도해변과 온라인 쇼핑몰과 차별화하기 위해 독립서점들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살아남은
뉴욕의 골목 상권, 작가들의 마을의 특징을 살린 브루클린 등 각자의 개성 있는 문화와 차별화가 성공
요인이었다.
사람들은 이제 더 높은 빌딩 속에서만 살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동안
한국은 무자비한 개발 정책으로 인해 지역 공동체를 파괴시키고 새로운 아파트, 큰 건물 등을 짓는 데에만
관심을 쏟아 왔다. 그 사이 공동체가 파괴되고 힘있는 사람들만이 혜택을 누려 왔다.
저자가 주장하는 골목길 자본론은 지역 공동체와 함께 융화되어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그 공동체의 개성과 문화를 존중하고 차별화하면서 개성 있는 골목 상권을 만들어 나가길 제안한다.
이제 대한민국도 개개인의 특징과 개성이 살아 있는 도시를 가꾸어야 한다. 프랜차이즈
커피숍이 아닌 커피 장인의 커피와 동네 서점에서의 문화 생활.. 바로 우리의 생활을 한층 더 풍요롭게
할 것이다. 진정한 도시 발전은 바로 공동체가 살아 있는 골목길이 답이다.
- 본 포스팅은 '다산 북클럽 나나흰 7기'로 해당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