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머전스 - 미래와 진화의 열쇠
스티븐 존슨 지음, 김한영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두 친구가 자유의지에 관해 논쟁하고 있다.
A : “자유의지는 불가능해. 인간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 물질은 절대불변의 자연법칙을 따르고 있지. 우리의 행동 하나하나는 이미 양자 수준에서 결정되어 있어.”
B : “자유는 실존하는 인간의 존재 기반이야. 만약 자유의지가 없다면 법을 어기거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행위를 한 사람을 어떻게 처벌하거나 비난할 수 있겠어?”

결정론과 자유의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은 케케묵은 주제지만 여전히 논란 중이다. 답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인데 <빅 픽쳐>의 저자 션 캐럴이라면 ‘시적 자연주의’라는 관점으로 이렇게 답할 것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각각 다른 층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결론이 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하면 A가 맞지만, B의 화법도 유용하고 의미가 있다.”

시적 자연주의란 실재하는 자연은 단 하나이며, 이 세계는 절대불변의 자연법칙에 따라 움직이지만, 세상을 논하는 유용한 화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세계관이다. 이는 세상을 이루고 있는 물질을 극한으로 쪼갠 양자 수준의 표준모형(코어이론)이 실재지만, 그 층위에서 창발(emergence)한 상위 층위의 행동이나 개념들도 나름의 유용한 화법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원래 소개하려는 책 <이머전스>, 즉 창발의 개념이 활용된다.

창발의 사전적 의미는 하위 계층(구성요소)에는 없는 특성이나 행동이 상위 계층(전체구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개미 하나하나의 행동은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개미집단 전체를 보았을 때 새로운 행동이나 특징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인간을 예를 들어보면 수많은 양자들과 힘들의 상호작용으로 ‘악수’라는 행위를 했을 때, 이 악수라는 행위는 하위계층에서 창발된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악수나 예절, 또는 자유의지라고 부르든 각각 유용하며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 공감할 만한 이야기인가? 아니면 유물론자, 환원론자의 비겁한 변명(^^;)에 불과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