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는 그 유명한 철학 입문서의 고전(?)이다. 사실 입문서라고 하기에는 좀 뭣하긴 한데, 왜냐하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지만 얄팍한 입문서에 비할 수준은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 초심자가 바로 읽기에는 좀 어려울 수 있으니 쉬운 책을 몇 권 정도 읽고 보면 더 좋을 듯하다. 대개의 입문서가 여러 철학자나 사상들을 시대순으로 나열하고 소개하는 것에 그친다면 이 책은 뚜렷한 주제의식을 가지고 근대와 근대 이후의 철학을 요리조리 뜯어보고 의미를 부여한다.

근대철학의 문제 설정은 이원론을 배경으로 주체와 객체(진리)를 분리하고 어떻게 하면 그 둘을 일치시킬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과정이었다. 이를 위해 신을 끌어들이기도 하고 진리를 주체 속에서 찾거나 절대정신의 개념을 고안하기도 했다. 이런 근대철학을 마르크스, 프로이트, 니체 등은 주체의 확실성이나 통일성을 해체하거나 진리에 대한 개념을 해체하면서 근대적 문제 설정의 경계 너머로 새로운 철학적 흐름을 만들어 냈다.

그냥 넘어가기 좀 아쉬우니까 살짝 예를 들어 본다면, 지금 내 눈앞에 '사과'라는 진리가 있다고 가정하자. 나는 여러 가지 감각이나 이성을 활용해 이 사과를 인식한다. 그런데 우리가 사과라는 진리를 바르게 인식하려면 내가 인식하는 사과(주체)와 내 눈앞에 있는 사과(객체)가 같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주체와 객체가 일치해야 진리를 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생각해보면 이게 그리 쉬운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우리의 감각은 항상 왜곡과 과장에 노출되어 있으며 개개인의 사고나 판단 또한 같지 않다. 눈앞에 실제로 사과가 있지만 내가 수박이나 자두처럼 다른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고, 내가 인식하는 사과와 타인이 인식하는 사과가 다를 수도 있다. 나라는 주체에 확실성이나 통일성이 없을 수도 있고 심지어 사과라는 객체(진리)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근대 철학자들은 어떻게 해서든 주체와 객체를 일치시키려고 노력했다.

칸트가 시도했던 방법을 또 살짝만 얘기해보자. 일단 칸트는 사과라는 실재는 우리가 알 수 없다고 했다(물자체). 단지 사과의 형상만이 이 앞에 놓여 있을 뿐이다. 그럼 이 형상인 사과를 어떻게 바로 인식할 수 있을까? 아니 바로 인식했다고 보장할 수 있을까? 칸트는 그 답을 주체의 인식틀, 인식 방식에서 찾았다. 인간의 인식틀이 동일하다고 보면 모든 인간은 눈앞에 놓인 사과를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각자가 카메라라고 가정해보자. 물론 조금씩은 모양이나 성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렌즈, 필름, 조리개 등 카메라의 기본 구조는 같을 것이다. 이런 카메라가 앞의 사과를 찍는다고 하면 다 똑같은 사과가 나올 것이다. 어떤 카메라는 사과를 찍었는데 배가 나오거나 다른 것이 나오거나 아예 나오지 않는다거나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기본 구조가 같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카메라끼리는' 이 찍힌 사과를 객체(진리)라고 확신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칸트는 이런 식으로 주체와 객체의 일치 문제를 해결했다.

지금까지 이 책을 서너 번쯤 읽은 거 같은데 볼 때마다 많은 영감을 준다. 내가 가진 파편화된 철학적 담론과 지식이 인식론적 배치를 통해 그 의미가 분명해지고, 문제 설정이라는 도구는 어떤 철학자나 사상의 경계를 파악하고 그 경계의 의미를 읽어내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책 중간마다 삽입된 그림과 해설은 차라리 없는 것이 더 나을 것 같기도 하다. 본문의 개념 설명과 왠지 모를 괴리감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