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런던 프라이드
매튜 워처스 감독, 이멜다 스턴튼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런던 프라이드는 1984년 영국에서 일어난 광부 노조의 파업과 그들을 지지한 레즈비언, 게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연민과 공감에서 시작된 지지는 다름에 대한 거부감을 녹이고 더 큰 연대의 힘을 발휘하게 된다.
얼마 전 대통령 후보 토론회에서 한 진보 인사가 동성애에 대해 "동성애를 좋아 하지 않고 동성혼을 반대하지만, 동성애자들에 대한 차별은 반대한다"라고 했다.
흔히들 이렇게 얘기한다. 네가 동성애를 할 자유는 인정해. 또한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차별 받는 것은 잘못 된거야. 반면에 나는 너희들을 싫어할 자유와 동성혼 합법화에 대해 반대할 자유가 있어 안그래? 우리는 서로의 자유를 간섭 해서는 안돼. 그 이상에 대해 이야기 한다거나 설득하려고 하는 것은 계몽적이고 폭력적이야.
맞는 말이다. 여기서 우리는 자유에 관한 중요한 원칙 한 가지를 알 수 있다. 나의 자유는 타인에 의해 제한 되거나 간섭 받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존 롤즈는 정의의 제 1원칙에서 "각자는 모든 사람의 유사한 자유체계와 양립할 수 있는, 평등한 기본적 자유의 가장 광범위한 전체 체계에 대해, 평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각자는 모든 사람의 자유체계와 양립할수 있는" 에 해당하는 것이 앞서 얘기한 "서로 간섭 받지 않는 양립 가능한 자유"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앞선 발언에서 간과한 자유의 중요한 원칙을 하나 더 발견할 수 있다. "유사한 자유체계" 또는 "평등한 기본적 자유의 가장 광범위한 전체 체계에 대해, 평등한 권리"가 바로 그것이다. 다시 말해 각자는 평등한 자유가 보장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성소수자들이 다른 사람들이 누리고 있는 자유와 비교해서 평등한 자유를 누리고 있는가? 혼인의 자유가 허용되지 않는 현실에서 차별 받아서는 안된다고 얘기하는 것이 설득력이 있는 말인가?
그렇다면 왜 우리 각자는 타인과 양립가능한 최대한의 자유를 평등하게 누려야 하는가? 존 롤즈의 위대한 아이디어를 하나 더 빌려보자. 동성애가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둘다 그럴듯한 근거들이 있으며 어느 한쪽만 맞는 것은 아닌 듯 하다. 획득된 형질이건 후천적 영향이건 중요한 것은 누구나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무지의 베일 속에서 어느 누가 사회 계약의 내용 안에 자유의 제약 및 차별을 둘 수가 있단 말인가? 내가 해당 될 수도 있는데 말이다.
각자 생각은 다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양성을 존중하고 약자나 소수자의 자유에 대한 평등한 권리에 좀 더 관심을 갖는 것이 진보의 가치라면 토론회에서 나온 발언은 안타까울 따름이다. 영화 런던 프라이드나 실제 1984년 영국에서 보여준 다름에서 기반한 연대의 모습은 지금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7년5월4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