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위빳사나(vipassana, 통찰) 지혜는 분명한 이해의 지혜 (SammasanaNana, 삼마사나 나나)인데, 범주에 의해 형성들을 이해하는, 즉 서로 다른범주에 따라서 상카라(saikhara, 조건 지어진 것들을 무상(anicca, 아닛짜), 고(dukkha, 둑카), 무아(anatta, 아낫따) 세 특징으로 보는 것입니다. - P292
무명, 갈애, 취착, 의도적 형성 (카라), 업력의 사라짐은 아라한을 증득할 때 일어나고, 다섯 무더기의 소멸은 빠리닙바나(Parinibbana, 최종열반) 때 일어납니다. 반면에 인과적 일어남은 그것이 발생하는 각생에서 여러분이 식별하는 무명, 갈애, 취착, 의도적 형성(카라), 업력의 개별적인 유형이며, 소멸은 언제나 똑같은 생, 즉 빠리바나때다섯 무더기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입니다. 그러나 실제 바나와 아라한도는 우리가 아직 네 가지 도의 지혜 (Magga Nana, 막가 나나와네 가지 과의 지혜 (Phala Nana, 팔라 나나)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에게 분명하지 않습니다. 즉 우리는 무더기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빠리닙바나(Parinibbana, 최종열반)가 일어난 것을 압니다. - P303
따라서 상가(Sarigha)나 자신을 위하여 할 일이 있으면 가능한 빨리하고 고요한 마음으로 명상하기 바랍니다. 일을 지나치게 즐기면 명상 대상에 대한 세고 강력한 알아차림이되지 않기 때문에 장애가 됩니다. 일을 즐기는 것은 깊은 집중을 만들어 내지 않습니다. - P317
루빠 깔라빠(ripa kalapa, 물질 미립자)는 미립자입니다. 수행자가 이 미립자를 분석하면 궁극적 물질(paramattha rupa)을 봅니다. 루빠 깔라빠 안에 땅, 물, 불, 바람, 색깔, 냄새, 맛, 영양소 최소 여덟가지 물질이 있습니다. 이 여덟 가지 물질이 궁극적 물질입니다. 어떤깔라빠 안에는 아홉 번째 물질인 생명기능 물질(jvitarupa, 시위나 루빠)도 있고, 다른 깔라빠에는 열 번째 물질인 성 물질(bhava.rupa, 바와루빠) 또는 반투명 물질(pasadarrupa, 빠사다 루빠)이아홉, 열 가지 물질이 궁극적 물질입니다. - P321
선정 수행 중에서 팔증득(samapatti, 사마빳띠)이 가장 높고 강력합니다. 그래서 팔증득을 철저히수행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또한 까시나 (kasina, 두루 채움의명상대상) 명상을 가르칩니다. 도표를 완전히 이해하고 싶으면 사마타-위빳사나를 도와 과 지혜까지 수행해야 합니다. - P328
우리가 붓다의 바람에 따라 수행한다면 담마(Dhamma, 법)를 미래세대에 유산으로 물려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천신과 인간들에게 다음과 같이 가르칠 수 있습니다. 1) 붓다의 가르침을 철저히 외우려고 노력하는 것. 2) 붓다의 가르침을 개인적인 경험으로 알기 위해서 수행하는 것. 3) 아라한이 될 때까지 붓다의 가르침을 수행하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천신들과 인간들은 이 세상에서 닙바나(Nibbana,열반)를 얻을 때까지 이익과 행복을 얻을 것입니다. - P339
빠알리 경전의 가르침은 37가지 깨달음의필수품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그들을 요약하면 팔정도입니다. 팔정도를 요약하면 단지 계, 정, 혜 삼학입니다. - P341
우리 모두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에 토대를 두면 마음을 제어할수 있고 그러면 그 집중된 마음은 경이적인 것입니다. 그 집중된 마음은궁극적 물질을 꿰뚫을 수 있습니다. 물질은 루빠 깔라빠(rupa kalapa, 물질미립자)로 일어납니다. 그들은 원자보다도 작습니다. 우리 몸은 그러한루빠 깔라빠들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집중된 마음은 그러한 루빠 깔라빠들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집중된 마음은 또한 정신의 궁극적 실재를 꿰뚫을수 있습니다. 집중된 마음은 정신-물질의 원인을 꿰뚫을 수 있습니다. 집중된 마음은 정신물질, 그들 원인의 일어남과 사라짐의 본성을 꿰뚫을수 있습니다. 이 위빳사나(vipassana, 통찰) 지혜를 통찰지라고 합니다. - P342
이 오계는 모든 불자들에게 필수적입니다. 오계 중 하나라도 어기면자동적으로 진정한 불자 (upāsaka/upasika, 우빠사까/우빠시까, 청신사/청신녀가 아닌 것입니다. 삼귀의가 무효로 됩니다. 불자는 반드시 그릇된생계를 삼가야 됩니다. 불자는 살생으로, 도둑질로, 잘못된 성행위로, 거짓말로, 중상모략으로, 거친 말 또는 경박한 말로 얻은 재산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재가 불자는 무기거래, 인신매매, 도축용 동물 거래, 술과 정신을 흐리게 하는 것 거래, 독극물 거래 이 다섯 가지 잘못된거래에 종사해서는 안 됩니다. - P343
우리는 반드시 계에 토대를 두어서 사마타(samatha, 고요,삼매수행)와 위빳사나(vipassana, 통찰)를 수행해야 합니다. 사마타와 위빳사나 명상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네 가지 알아차림의 확립(Cattāro Sati·Patthānā, 짯따로 사띠빳타나, 사념처)을 수행해야 합니다. - P344
붓다께서 바라시는 바는 당신의 제자들이 이37가지 깨달음의 필수품을 암기하여 아라한이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그렇게 하면 이 유산을 미래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와 미래 세대는 이 세상에서 바나(Nibbana,열반)를 증득할 때까지 이익과 행복을 얻을 것입니다. - P349
붓다께서는 더 나아가서 말씀하십니다.
한다 다니, 빅카웨, 아만따야미 워, Handa dani, bhikkhave, āmantayami vo,
와야담마 상카라 압빠마데나 삼빠데타 vayadhammā sankhārā appamādena sampadetha
빅쿠들이여, 이제 나는 그대들에게 권고하나니,
모든 조건 지어진 것은 소멸하는 것이다. 부지런히 정진하라! - P350
그래서 붓다께서 또한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아난다여, 자신을 섬으로 삼고 자신을 의지처로 삼아 외부에서 의지처를 구하지 않고, 법을 그대의 섬으로 삼고, 법을 그대의 의지처로 삼아다른 것을 의지처로 구하지 말라. - P352
마지막으로, 붓다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요 이마스밍 담마-위나예 압빠맛또 위헷사띠. Yo imasmim dhamma-vinaye appamatto vihessati.
빠하야 자띠상사랑 둑캇산땅 까릿사띠. Pahāya jātisamsāram dukkhassantam karissati.
법과 율을 진지하게 추구하는 사람은누구나 윤회를 넘어서고 괴로움을 끝낼 것이다. - P353
제자가 이해한 사성제는 무엇입니까?
1)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 (Dukkha.Sacca, 두카삿짜): 이것은 다섯 무더기(오온五蘊)입니다. - P360
2) 괴로움 기원의 고귀한 진리 (Samudaya Sacca, 사무다야싸): 이것은 연기입니다. - P360
3) 괴로움 소멸의 고귀한 진리 (Nirodha Sacca, 니로다삿짜 : 이것은 납바나입니다. - P360
4) 괴로움 소멸로 인도하는 도(수행)의 고귀한 진리 (Magga.Sacca, 막가 삿짜) : 이것은 팔정도입니다 - P360
붓다의 제자가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서 연기를 식별할 때 그는 인과관계를 완전히 이해합니다. 그는 과거 원인이 현재 결과를 낳고 현재원인이 미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아는 위빳사나 (vipassana, 통찰)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는 과거, 현재, 미래 세 기간 안에 결과를일으키는 창조주가 없다는 것과 원인 없이 일어나는 것은 아무것도없다는 것을 압니다. - P362
사마타(samatha, 고요, 삼매수행)와 위빳사나(vipassana, 통찰)는 팔정도를 뜻합니다. 정신-물질을 정의하는 지혜와 조건을 파악하는 지혜는바른 견해(Samma.Ditthi, 삼마딧티)입니다. 정신-물질 소멸의 지혜 또한바른 견해입니다. 팔정도에 대한 지혜 역시 바른 견해입니다. 사성제로마음을 기울이는 것이 바른 사유(Samma Saikappa, 삼마상깝빠)입니다. 바른 견해와 바른 사유는 위빳사나입니다. 위빳사나를 수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사마타, 삼매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바른 노력(SammaVayama, 삼마와야마), 바른 알아차림 (Samma-Sati, 삼마사띠), 바른 삼매(Sammā·Samādhi, 삼마사마디) 입니다. 우리가 사마타-위빳사나를 연마할때 계청정을 이루어야 합니다. 계는 바른 말(Samma Vaca, 삼마와짜), 바른 행위(Sammā·Kammanta, 삼마깜만따), 바른 생계(Sammā.Ajīva, 삼마아지와)입니다. 지계(sila, 실라)의 토대위에 사마타-위빳사나를 연마하는것이 팔정도를 닦는 것입니다. - P363
보시를하고 좋은 결과를 원한다면 다음 네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1) 여러분은 반드시 계를 지켜야 합니다. 2) 여러분의 보시물이 틀림없이 올바르게 얻어진 것이라야 합니다. 3) 여러분의 마음이 깨끗하고 오점이 없어야 합니다. 4) 여러분은 필연코 업의 법칙과 그것의 결과에 대한 강하고 충분한믿음이 있어야만 합니다.
더군다나 여러분이 받는 사람이라면 보시자에 대한 자애와 연민이충분히 강해야 되고 또한 계를 준수해야 합니다. - P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