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내 아이가 부자로 살기를 바란다. 돈 때문에 고통받거나돈에 허덕이지 않고 돈이 주는 자유와 행복을 맛보며 여유롭게 살기를 바란다. 더불어 사는 기쁨을 알고, 돈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않으며, 나누는 기쁨을 아는 진짜 부자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어렸을 때부터 돈 이야기를 서슴지 말고 해야 한다. "어린애가무슨 돈 타령이야. 넌 공부나 해가 아니라 돈의 가치를 정확히 알려주고, 건강한 소비 습관을 길러주고, 돈을 모으고 때로는 그 돈을가치 있게 쓰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경제 교육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 P6
유대인은 자신을 위해 돈을 버는 방법보다 남을 위해 돈을 쓰는 ‘자선‘과 ‘기부‘ 부터 가르치고, 돈을 벌 때도 철저하게 ‘정직‘을 바탕에 두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유대인으로 태어난 아이가 처음으로 경제 교육을 받는 시기는 생후 6개월부터인데, 부모는 아기의 손가락을 펴서 동전을 쥐여 주고그것을 체다카(Tzedakah)에 넣는 훈련을 시킨다. 체다카는 기부를하기 위해 돈을 모으는 저금통을 가리킨다. 이렇게 유대인은 아기가제대로 된 언어를 구사하기도 전에 남을 위해 돈을 모으는 법부터가르친다. - P18
그러니 자본주의 사회에서 건강하게 돈을 벌기 위해서는 돈이 돈을 버는 방식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신성한 노동의 가치를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돈 버는 법‘을 아는 지혜이다. - P57
아이에게 ‘이자의 개념을 인식시키려면 저축을 활용해야 한다. 돈을 저축해놓으면 아무리 적게라도 이자가 들어온다. 이자가 들어오면 아이에게 이자의 개념을 설명한다. 단 이 돈을 ‘공짜‘라고 해서는 안 되고, 돈을 맡긴것에 대한 대가라는 사실을 설명해주어야 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돈이 돈을 벌 수 있다는 개념을 이해하기에 충분한 방법이다. - P59
어딘가 부족하고 모자라서 실패하는 게 아니다. 실패가 나를 망가뜨리지도 않는다. 실패는 그저 자신이 목표하는 것을 찾아나가는과정에서 늘 새롭게 만나는 하나의 경험일 뿐이다. 실패를 많이 하면 할수록 경험이 풍부해지고, 경험이 많아질수록 성공에 가까워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 P62
"만일 세상의 모든 아픔과 고통을 모아 저울의 한쪽 편에 올려놓고 빈곤의 고통을 저울의 다른 쪽 편에 올려놓는다면, 저울은 빈곤의 고통을 올려놓은 쪽으로 기울 것이다." 유대 속담 중에는 이런 말도 있다. "가난한 사람은 네 계절밖에는 고생하지 않는다. 봄, 여름, 가을,겨울."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의식주와 돈이다." "가난을 이겨낼 아름다움은 없다." 요즘 유행하는 표현으로 뼈 때리는 말‘이 아닐 수 없다. 유대인이돈을 잘 버는 뛰어난 능력을 갖게 된 데에는, 이렇듯 가난에 대한 공포스러울 정도의 두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리석은 자는 기회를 놓치고 현명한 자는 기회를 잡는다. 약자는 기회를 기다리고 강자는 기회를 만든다." "비관적인 사람은 기회 이면의 문제만 보고, 낙관적인 사람은 문제 이면의 기회를 본다." ‘정형화된 생각의 틀을 바꾸어야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고, 그래야만 창의적으로 돈을 벌 수 있다. 물론 사고의 반전은 돈을 버는 데만 유용하지 않다. 인생을 살면서 수없이 마주치는 위기와 고난에맞서는 어른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기도 하다. 그런 삶의 자세야말로 앞으로 세상으로 나아가야 할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값진유산이다. - P92
질문을 잘하는 아이는 질문을 많이 받아본 아이라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 된다. 지식이나 정보에 관련된 질문도 좋지만 삶의 목표에 대해서, 요즘 행복한지, 최근에 가장 관심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 사적인 질문도 좋다 - P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