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혼의 심리학 - 두 번째 가족을 맞이한다는 것
크리스토프 포레 지음, 김미정 옮김 / 푸른숲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재혼의 심리학
이
책은?
프랑스의 신경정신과 의사이자
가족상담 전문의인 크리스토프 포레가 이별과 이혼,
그리고
재혼으로 힘겨워하는 이들을 치료하면서 경험한 것들을 이 책에 담아 놓았다.
재혼
가정에서 벌어지는 모든 문제들을 사례를 들어가면서 답을 제시해주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재혼가정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이 책에서 제시되는 사건들이 비록 외국의 사례들이지만,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할 것이다.
이 책의 당위성
재혼은 이제 흔한 일이
되었다,
이혼 또는 사별로 첫 번째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때,
재혼이라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재혼,
그렇게
한 배우자와의 결혼을 마감하고 다음 가정을 꾸미는 재혼의 과정에 들어설 때에첫 번째 결혼과는 다른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각각의
배우자에게 자녀가 있는 경우,
또는
이혼한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등,
많은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결혼으로 겪게 되는 정서적 갈등
그렇게 재혼의 과정으로 들어설 때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그러한 문제에 대응하는 저자의
자세는 참으로 따뜻하다.
저자는
그러한 문제에 따뜻한 시선을 보내며 최선의 해결방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구성은
‘재혼을
앞둔 여성’,
‘재혼을
앞둔 남성’,
‘재혼
가정의 아이들’,
‘이전
배우자들’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우,
많은
케이스를 제시하면서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무엇일까?
새가정의 구성원이 되는 모든
식구,
즉
아내,
남편
그리고 자녀들은 모두 정서적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먼저 재혼을 하게 되는 여성이 겪게
되는 정서적 갈등은?
소외감,
고독감,
스트레스,
상황을
통제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
자기
집에 있으면서도 편안하지 않은 느낌,
죄책감,
분노,
질투와
경쟁심,
우울감,
과거
문제의 반복 등 정서적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재혼을 하게 되는 남성이 겪게 되는
정서적 갈등은?
이런 경우는
두려움,
조종,
죄책감,
아빠
역할에 대한 지나친 집착 등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재혼 가정의 존재 이유는 단
하나다.
두
사람이 사랑에 빠졌고 함께 살기로 결심했다는 것.
부부야말로
재혼 가정이 존재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이다.
(311쪽)
그러한
사랑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상대방의 감정을 살펴보면서,
어려움에
빠지지 않도록 배려해 주는 것,
그것이
사랑을 이루는 최선의 방법이 아닐까?
다시 이
책은?
새가정을 꾸린 사람들에게는 모든
일들이 살얼음을 걷는 것 같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
상대방의
감정까지도 챙겨주는 섬세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부인이나,
남편
그리고 아이들까지 섬세한 눈길을 보내야만 하는데,
이
책은 그러한 감정을 살펴보는데 아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더
나아가 행복한 결혼을 이루어가기 위한 여러 가지 정보들,
어느
것 하나 부족한 것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