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통찰의 힘 - 평범한 일상에서 기회를 포착하다
김철수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사이트 통찰의 힘

 

이 책은?

 

이 책의 저자 김철수는 남들이 지나치는 일상에서 기회를 발견해 혁신을 만들어 가는 인사이트 헌터다.

저자는 업무를 진행하면서 얻은 진리를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정리하여 이 책에 상세하게 풀어냈다

 

여기에서 인사이트 헌터라는 말을 처음 들었는데, 그 의미가 책을 읽어가는 동안에 구체적으로 다가왔다. 그것은 저자가 그가 주장하는 바, 통찰의 힘을 추상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사례를 들어가면 독자들에게 아주 알기 쉽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은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첫 째 파트는 혁신에 대한 생각으로, 혁신과 공감을 언급하고 있다.

둘 째 파트는 사용자 통찰과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여섯가지 생각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코드, 관찰, 소통, 통찰, 발상, 콘셉트. 이렇게 여섯가지 도구를 차근차근 이론과 사례를 병행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가치는?

 

인사이트를 무한 제공하는 책이다.

인사이트를 활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쳐준다.

 

그런 것은 저자가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사용자 통찰을 발견하는 자신만의 공감 렌즈를 갖게 되기를 바라'는 바람이 이루어지도록 책 - 상품- 을 잘 만든 것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책을 읽어 얻는 유익함

 

이런 책을 반드시 경영에 국한하여 읽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런 류의 책을 단순히 경영에 국한하여 읽고 만다면 너무 아까운 생각이 든다.

 

이런 말은 어떤가? 이런 글을 인생론으로 환치해서 읽어보면 어떨까?

<사무실과 인터넷에 갇혀있지 말고 가끔은 회사 문을 박차고 나서 보자, 습관처럼 반복적으로 하는 일을 다른 방식으로 해보거나, 매번 가던 길을 조금만 벗어나면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살아있는 자극을 경험할 수 있다.>(145)

 

내 인생에서 지금까지 살아왔던 길을 사무실과 인터넷이라 생각하고,‘ 가끔은 회사 문을 박차고 나서 보자는 말을 그 인생의 길에서 잠시 벗어나 보자는 식으로 읽어보는 것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말은 인간관계에 적용해도 좋을 듯 하다.

<누군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102)

 

이러한 생각은 이 책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인데, '내가 아이디어를 낼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유사 산업이나 이종 산업의 성공 모델에서 아이디어의 영감을 얻는 것이다.'(241) 라는 말에서이다.

 

그처럼, 경영에 활용되는 기법을, 그래서 저자가 애써 말한 것들을 독자인 내가 원하는 방향과 분야에서 사용해도 되는 것이리라. 그게 저자가 말한 인사이트의 발견과 활용격이 되는 것이니까.

 

덤으로 글쓰기에 대한 교훈도 얻었다.

<마라톤 선수를 인터뷰한 평범한 기자의 글이 단순히 힘들다라고 했다면, 마라톤 선수를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 함께 뛰면서 인터뷰한 기자의 글은 ...’ 라는 것이다.> (89)

 

밑줄 친 글들

 

진정한 발견 행위는 새로운 땅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이다.” - 마르셀 프루스트 (108)

 

프레임

프레임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인지언어학의 창시자 조지 레이코프 (George Lakoff) (206)

 

어떠한 문제든 그것이 만들어진 프레임 안에서의 사고로는 적합한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 - 앨버트 아인슈타인 (222)

 

우리는 모두 본능적으로 창의적 발견을 할 수 있는 관찰력을 가지고 태어났다. 다만 교육과 사회화 과정에서 그 능력이 퇴화했을 뿐이다. (109)

 

독창성이란 단지 사려깊은 모방이다. - 볼테르 (224)

 

단순함은 궁극의 정교함이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 (265)

 

완벽함이란 더 이상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때 완성된다. - 생텍쥐베리 (270)

 

말이 난 김에 한 가지 건의사항

 

책을 만드는 것에 대하여 한 가지 건의사항이 있다.

그 것은 다음에 별도로 정리해 놓았다.

http://blog.yes24.com/document/8329602

 

그런 생각은 물론 이 책에서 사용자 입장에서 바라보자는 말을 그대로 적용해 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