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규나 소설
김규나 지음 / 푸른향기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베는 칼, 상처를 봉합하는 저자의 <칼>

 

이 책은?

 

200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김규나의 단편소설집이다.

여기에는 제목으로 나온 <>을 포함하여 모두 11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을 설명하기를. “치밀한 서사와 탄탄한 문장, 섬세한 심리묘사, 간결하고 스피디하면서도 흡입력 있는 문장들! 사랑 후에 찾아오는 싸늘한 결핍과 상처, 죽음 같은 배신과 견딤, 그러나 김규나 소설의 끝은 언제나 인간에 대한 사랑과 따뜻한 이해이다.”라고 해 놓고 있다. (책 표지에서)

 

또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서늘하다. 소름이 돋는다! 삶과 죽음, 사랑과 이별을 이토록 날카롭고 섬세하게 파헤친 소설이 있을까!”

 

정말, 서늘하다

 

작품을 자평(? - 출판사 평인지?)하기를 서늘하다, 소름이 돋는다했는데, 맞다. 저자가 독자를 이끌고 간 곳이 시체의 부검실(시체실)이었으니, 서늘하고 소름이 돋을 만 하다.

 

그런데 그곳만이 아니다. 저가가 눈을 부릅뜨고 살펴보는 곳은 모두다 서늘한 곳이다.

<내 남자의 꿈>에서 보여주는 곳은 꾸는 자리는 등장인물들의 생각에만 있고, 정작 그들이 독자들에게 보여주는 곳은 결코 둘이 있어서는 안될 주원의 방과 의 방이다. 그 방들에서 그들은 서로 꿈꾸지 말아야 할 꿈을 꾼다. 결코 현실이 되지 못할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 꿈은 서늘하다, 이루지 못할 꿈을 꾸는 것이기에 서늘하다.

 

<코카스칵티를 위한 프롤로그>에서도 마찬가지자. 저자가 보여주는 곳은 부부가 살아가는 집이다. 그런데 그 집은 서로가 서로를 소외시키는 공간이 되어 버린다. 부부간의 사랑이 결실을 맺어 새 생명을 만들어야 할 그 공간에 생명은 쉽게 여자의 몸에 둥지를 틀지 않았”(114) 던 것처럼, 그 공간이 생명을 잉태하지 못하고 죽음을 대면하는 자리로 변하게 되니, 그 상황이 몹시도 서늘하다. 왜 작가는 그런 공간들만을 애써 찾아 보여주려는 것일까?

 

싸늘한 결핍과 상처가 있는 곳

 

그 이유를 에서 이르기를 사랑 후에 찾아오는 싸늘한 결핍과 상처, 죽음 같은 배신과 견딤이라고 했다.

저자는 그곳에 도달하기 위하여 서늘한장면을 찾아가는 것이다. 그곳에 바로 사랑 후에 찾아오는 싸늘한결핍과 상처가 있기에,,,,,

 

<북어>에서는 색다른 상처를 보여준다. 두 남녀 사이의 상처가 아닌, 대자본에 침식되어 버린 그 할퀸 자국을 보여준다, 그 상처는 바로 미금의 가슴 속에 있다.

슈퍼 하시다가 우리 마트가 들어오는 바람에 어려워지셨다는 말씀 들었습니다. 이미금씨 사정을 알고 나니 마음이 편치 않더군요.”(180) 마트 팀장의 위로성 발언이다.

 

그러나 그런 개인의 마음이 편치 않는 것으로, 그 하나로 상처가 봉합될 수 없으니, 그 써늘함이 피부로 와 닿는 것 같다.

 

<퍼플 레인>에서는 두 남녀가 아니라, 모녀간이다. 해서 상처는 인생 도처에 있다. 저자는 그런 상처를 지금 발견중이다.

 

그러나 소설의 끝은?

 

그 상처를 싸매주고 봉합해 줄 이 누구인가?

누가 그 상처를 싸매줄 수 있을까?

저자는 그 작업에 돌입한다.

<북어>에서 마트의 팀장은 미금에게 위로의 말과 커피 한잔을 건넨다. 일정의 상처 싸매기 작업이다. 그러나 그런 것이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을까? 미봉책(彌縫策)이다.

 

근원적인 해결책은 ?

그건 유토피아에 있을 것이다. 누구도 가보지 못하고 결코 닿을 수 없는 유토피아에나 그런 해결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아쉽지 않은가? 그런 해결책이 오직 손이 닿지 않는 피안의 공간에만 있다니! 그래서 저자는 <북어>에서 미금의 손에 북어를 들게 한다. 상처로 얼룩진 그 집에 따뜻한 불을 피우고, 북어국을 끓여 낸다.

그래서 구원은 여성의 몫인가?

 

바라기는 이 소설에서처럼 상처받고 그 상처로 깨어진 관계들이, 다음 번 저자의 소설에는 말끔히 상처를 해결하고 밝은 모습으로 나타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