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판 사회 - 땅콩회항 이후, 기업경영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김봉수 외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5월
평점 :
잊지 말아야 할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의 저질 갑질 사건
흥분을 가라앉히고 잘 새겨
보자.
우리
사회에 어떤 좋지 않은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건에 대해 성토하고 질책하고 흥분하는 시간,
그런
흥분이 지속되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냄비근성’에 대한 뼈아픈
성찰
흔히들
‘냄비근성’이라
말하는 것 말이다.
그 말 인터넷 한국어 사전에 버젓이
올라있는 말이다.
“냄비가
빨리 끓고 빨리 식듯이 어떤 일이 있으면 흥분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다 잊어버리는 성질.”
냄비처럼 활활 끓다가 어느 순간에
속절없이 식어버리는 그러한 태도,
경멸하는
의미로 냄비근성이라 하는 단어말이다.
그
단어 지금도 우리 사회에는 살아있는 개념인가?
답은 여전히 살아있는
개념이다,
가
맞는다.
이 책
<평판사회>는
그 것을 다루고 있다.
아니
다룬다는 말은 어폐가 있다.
우리가
한 때 열을 올리고 흥분하던 어떤 한 사건에 대한 우리의 자세를 다루고 있다,
그
사건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으며,
그
사건이 이제 잠잠해졌지만,
그
사건이 이처럼 끝이 나서는 안되고,
우리
사회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영향을 남겨야 한다는 충고를 하고 있는 책,
바로
<평판사회>이다.
그 사건이란
무엇인가?
흔히들
‘땅콩회항’으로
불리는 사건,
‘대한
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이
저지른 갑질 사건이다.
‘대한항공 조현아
전(前)
부사장’?
아니올시다.
‘대한항공 부사장
조현아’
난,
‘대한항공
조현아 전(前)
부사장’이란
명칭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현직에
있을 때에 저지른 사건 아닌가?
그런데
마치 그 회사와 관련이 없는 것-
백보
양보해서 아주 멀어진 것처럼 -
처럼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호칭이 맘에 들지 않는다.
부사장이란
현직에 있을 때에 저지른 사건이니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이라
불러야 마땅한 일이다.
그만큼
회사와 연대책임을 지란 말이다.
이 책의 구조
그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이
저지른 저질 갑질에 대한 사건의 추이와 진행상황,
그리고
앞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책이다.
그 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경영전략의
한 부분으로 위기관리와 평판관리에 대하여 다섯 명의 저자가 쓴 경영전략서이다.
‘오너
리스크’란
개념,
먼저 알아두자
이 책에서 가장 먼저 다루고 있는
것은 바로 오너 리스크이다.
오너
리스크라는 말은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이
저지른 저질 갑질 사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기업의
성패를 가름하는 사건에 바로 오너가 등장하는 경우를 말한다.
기업의
운영에 있어서 위기를 맞게 되는 주범이 바로 오너라는 것이다.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이
저지른 저질 갑질 사건 때문에 잘 나가던 대한항공은 위기를 맞게 된다.
이를 이 책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사건
보도가 이어지면서 12월
12일부터
힘이 빠지기 시작,
12월
30일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주가는 나흘간 약 10
퍼센트
가량 하락한다.>
(180쪽)
이게 바로 기업의 위기에 오너가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오너 리스크
자체가 아니다.
그 오너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오너‘만’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땅콩회항
사건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오너인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든 책임을 기내 탑승했던 사무장과 승무원에게 돌리는 한편,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은 일말의 책임도 없는 것처럼 언론플레이를 하고,
빠져
나가려고 시도한 것이다.
그런데 사건은 오너와 기업이 의도한
대로 흘러가지 않고,
그
반대로 흘러갔으니 오너를 보호호기 위한 시도가 오너 리스크를 더 크게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래서 이 사건을 기화로 하여 알아
둘게 있다.
작금의
우리나라 대기업에서 어떻게 기업이 승계되며,
그
과정에서 자질이 전혀 검증되지 않은 오너의 자녀들이 오너가 되는데,
그들이
바로 오너 리스크를 야기하고,
결국은
우리 한국의 경제에 먹구름을 만들어 내는 주범이라는 것,
이
책은 거기에서부터 시작한다.
결코 잊지 말아야 할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의 저질 갑질 사건
그래서 이 책에서는 그러한 것부터
시작해서 기업이 위기를 만났을 때에의 전략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의하고 있다.
이
책에서 주목하는 것은 바로 평소에 기업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즉
'평판'이다.
평판이
좋은 기업은 위기를 당하여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평판을 중점으로 하고
위기관리에 임하는 것,
이책의
주요 요점이기는 하나,
독자인
나로서는 이 책이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이
저지른 저질 갑질 사건을 일과성으로,
냄비처럼
반짝 끓고는 그 후 조금의 시간이 흘러 간 후 모두 잊어버릴까 봐,
기록으로
남겨 우리 사회에 경계하자는 자료로서의 측면에서도 아주 유익한 책이라 생각한다.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기
않도록,
기억해
두어야할 것인데,
그래서
이 책 서두에 기록된 '워런
버핏'의
말,
"평판을
쌓는 데는 20년이
걸리지만,
그것을
잃는 데는 5분이면
족하다"는
말은 금과옥조로 여겨 가슴에 새겨 둘 것이다.
물론 이 말은 우리 독자들보다도
‘대한항공
조현아 부사장’의
집에서 가장 잘 보이는 곳,
거실이나
부엌 냉장고 문에 붙여 놓는 것이 더 바람직할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