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군 昏君 -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었던 조선의 네 군주들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32
신병주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4월
평점 :
혼군 昏君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나라를 이끌어간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들은 무조건 권력만 손에 쥐면 일이 되는줄 알고 덤빈다. 그래서 그 자리에 앉기만 하면 모든 일이 저절로 굴러가고, 그러면 본인은 자기만의 권세를 누리고... 그러면 되는 줄 아는 지도자가 있었고, 또 여기저기 현재에도 그런 사람들이 보인다.
그게 안타까운데, 우리는 다행하게도 반면교사가 있다.
역사에서 결코 따라가면 안 되는 지도자가 보이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반면교사를 조선시대에서 찾았다. 이른바 혼군의 사례들이다.
우선 그 네 명이 누구 누구인지 알아보자.
1부 조선의 탄핵 군주, 핏빛 독재자 연산
2부 성군인가 폭군인가, 두 얼굴의 왕 광해
3부 조선을 버린 왕, 선조
4부 조선의 암흑기, 굴욕의 왕 인조
소개되는 네 명의 왕중, 어느 누구도 저자가 말한 혼군의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자 없다.
광해도 두 얼굴이라 표현하지만, 왕으로 어느 한 가지만 잘한다고 되는 게 아니지 않은가?
따라서 광해가 비록 외교면에서 조금 낫다고는 하지만, 혼군임에는 변함이 없다. 그걸 이 책으로 확실하게 알게 된다.
핏빛 독재자, 혼군 연산군
여기에서는 인수대비의 역할이 중요한데, 인수대비와 연산군과의 촌수 관계를 확실하게 해두고 싶다. 그래서 이런 도표를 만들어 보았다.
인수대비와 연산의 가족 관계 - 가계도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
세조의 첫째 아들인 [도원군 (의경세자 – 덕종) ↔ 아내 (인수대비)]
세조의 둘째 아들 : 예종
의경세자 20세에 사망하자 인수대비는 사가로 감.
그후 아들이 예종의 뒤를 이어 성종으로 즉위하자 대비가 되어 입궐.
즉 성종은 도원군과 인수대비 사이의 아들이다.
성종은 왕비인 공혜왕후 사후에 숙의 윤씨 (윤비)를 계비로 들였다.
그런데 윤비가 투기하고 공손하지 못하다고 하여 서인으로 강등, 쫓겨나게 된다.
그후 윤비는 사사된다. 윤비 사사후에 정현왕후를 다시 계비로 들였다,
바로 문제가 되는 연산군의 어머니가 서인으로 강등되고 결국은 사사된 윤씨다.
여기서부터 비극이 시작된다.
연산군은 어머니의 뒤를 이어 왕비로 들어온 정현왕후의 아들로 자라난다.
연산군은 성종이 세상을 떠난 직후 친어머니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35쪽)
왕이 된 연산군은 경연을 없애고, 임금에게 직언을 할 수 있는 삼사(三司)의 기능을 약화시켰다. (38쪽)
무오사화 (1498년)
유자광, 사초 중에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을 발견하고, 그걸 빌미로 삼아 사화를 일으킨다.
드디어 갑자사화(1504년)로 어머니 폐비 윤씨를 위한 광적인 복수극이 시작된다. (41쪽)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일까?
연산군은 아버지 성종의 후궁 두 명을 때려서 죽이고, 그 아들이자 자신의 이복형제인 안양군과 봉안군을 귀향 보낸 뒤 사사하고, 이를 만류하는 인수대비에게도 대들어 결국에는 그 스트레스로 죽게 만든 패륜 행위를 저질렀다. (44쪽)
여기서 연산군과 관련하여 두 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우리가 드라마 등을 통해 잘 알고 있는 인물이다. 바로 장녹수와 김처선.
김처선은 연산군에게 직언을 했다가 연산군에게 죽게 된다. (활로 쏘아 죽임)
결국 연산군은 중종 반정이 일어나 왕위에서 쫓겨난다. 연산군은 조선 최초로 반정에 의해 좇겨난 왕이다.
두 얼굴의 왕 광해군
조선을 버린 왕, 선조
굴욕의 왕, 인조
이렇게 조선 시대에 반정으로 쫓겨난 임금이 2명이고, 또 나머지 2명의 임금은 백성과 나라를 도탄으로 몰아넣은 임금으로 당연히 혼군이라 불릴만한 사람들이다.
광해는 그나마 외국과의 관계에 있어, 명과 후금 사이에 중립을 지키는 노력을 해서 백성들에게 전화의 어려움을 겪게 하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실정으로 백성들을 곤고하게 한 왕이다.
계축옥사로 시작된 폐모살제.
인목왕후를 유폐시키고 영창대군을 살해한다.
무리한 토목공사
결국 광해는 인조반정으로 쫓겨난다.
광해의 아버지가 바로 <조선을 버린 왕, 선조>다.
이 임금에 대하여는 굳이 이야기할 필요조차 못느낀다. 백성을 전화의 한 가운데 몰아넣고 본인은 명나라로 도망갈 생각을 하고 있었다니, 참 기가 막힌다.
이 책에서 비로소 알게 된 것이 있는데, 선조는 왜군이 침공하여 평양까지 함락당하자 의주를 거쳐 명나라로 도망치려고 했는데, 이 때 명나라로 가지 못했다. 그 이유는?
바로 명나라가 그것을 허락하지 않아서 가지 못했다. 선조가 명나라로 오면 전쟁이 중국에까지 확산되기 때문에 명나라에서는 그것만은 막아야만 했다.
한나라의 왕이 전쟁터에서 고생하는 백성들을 모른 채 하고 다른 나라로 도망치려다가, 그것도 그나라가 허락하지 않아 도망도 치지 못한 왕이 우리 역사에 있는 것이다.
그 다음 혼군의 차례는 수많은 백성들을 포로의 신세로 만들어 청나라로 끌려가게 만든 인조.
그는 광해를 반정으로 쫓아낸 장본인이다. 그런만큼 나라를 제대로 이끌어가야 하는데, 이건더 큰 일을 벌인 왕이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다시, 이 책은?
역사는 기록한다.
조선 시대에 혼군(昏君)이 있었다고 기록한다!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었던 군주. 왕인 혼군.
그런 임금이 세상에.... 조선시대에 한둘도 아니고, 네 명이나 있었다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런 혼군의 이야기를 저자는 차근차근 이야기해주고 있다.
역사는 배워서 어디에 쓸까, 어디에 써먹는 게 역사인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아, 현재와 미래를 바로 살아가도록 하는 게 바로 역사가 아닐까?
그래서 이런 책이 가치가 있다. 우리 역사에 그런 혼군이 있었다는 것, 그런 인간들을 반면교사로 삼아, 다시는 이땅에 그런 혼군이 나타나지 못하도록 하라고 이 책은 강조하고 당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