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의사과학자 애로우스미스 상.하세트 - 전2권 의사과학자 애로우스미스
싱클레어 루이스 지음, 유진홍 옮김 / 군자출판사(교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사과학자 애로우스미스 상-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싱클레어 루이스의 책을 처음 접한다. 그의 작품을 영화화한 <엘머 갠트리>는 본 적이 있지만, 책은 처음이다. 노벨상 수상 작가의 작품을 이제야 읽다니!

그런데 역자의 말에 의하면 이 작품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번역된 것이란다. 그러니 이 책만은 이제야 읽는 것이 부끄럽지 않다. 그래서 읽었다.

 

이게 상, 하 그래서 모두 2권이다. 각각 360여쪽이니 무려 모두 720, 만만치 않은 두께다.

그런데 그렇게 두꺼워도 읽기에는 괜찮다. 시원시원하게 페이지가 잘 넘어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가 바로 이 책의 특징이다.

 

첫째, 역자의 수고가 엿보인다.

작품 내용의 번역도 번역이지만, 독자를 위한 정성이 엿보인다.

그중 가장 마음에는 드는 것이 바로 등장인물들을 별도로 페이지를 할애하여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 애로우스미스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과학자의 길을 걷는다. 그런 과정에서 인생 여정의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단계마다 그를 둘러싸고 등장하는 인물들이 한둘이 아니다. 그러니 독자들은 주인공의 인생 여정 단계 단계마다 새로운 인물들을 만나야 한다.

 

그러면 그 인물들을 일일이 알아두어야 한다. 그게 어디 쉬운 일일까?

그렇게 애먹을 작정하고 책을 펼쳤는데, 어라, 이제 웬일?

책 앞에 <등장인물 소개>란이 있는 게 아닌가? 그것도 전체를 일괄적으로 적어놓은 게 아니라 주인공의 인생 단계마다 등장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독자들은 수지 맞은 것이다. 역자의 그런 배려가 없었다면 일일이 등장인물들 이름을 다른 메모란에 적어가면서 읽어야 하는데. 그런 수고를 덜게 되었으니 얼마나 좋은가!

 

그 다음, 그렇게 단계별로 등장인물들을 소개하는 중에, 역자는 의도하지 않게 스포일러를 하고 말았다. 소설의 줄거리가 그만 노출되고 만 것이다.

그래도 좋은 것이 소설의 줄거리를 미리 알고 읽는 과정에 은근히 기다리는 장면들이 생긴다.

예를 들면, 애로우스미스의 아내(가 되는) 리오라 토저가 맨 앞에 소개되고 있는데, 이렇다.

 

마틴 애로우스미스의 아내. 미모가 뛰어난 것도 아니고, 교양이 넘치는 것도 아니고, 집안이 좋은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만나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을 좋아하게 만드는 마성의 매력을 가지고 있다. 정작 본인은 그 사실을 모른다. 같은 이유로 본 역자가 이 작품에서 가장 좋아한 캐릭터이다. 전형적인 순종형 현모양처. 아마 독자분들도 이 여주인공과 사랑에 빠질 것이다. (등장인물 소개)

 

어떤 인물이기에 역자가 그리 칭찬을 하는가. 대체 어떻게 하기에 미모가 뛰어난 것도 아니고, 교양이 넘치는 것도 아닌데도 자신을 좋아하게 만드는 마성의 매력이 있다니, 그게 과연 무엇일까?

 

그 여자와 애로우스미스의 첫만남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까?

그런 식으로 이 사람이 등장하기를, 어서 나타나기를 은근히 기대하고 책을 읽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 여인과의 만남을 무척 고대하게 만든 다음에 멋지게 만나게 하는 줄 알았는데. 역시 그럴 줄 알았다. 언뜻 읽으면 무심하게 지나갈 정도로 독자들을 혼동시키더니, 다시 돌아와 그 이름을 밝혀준다. 그제서야, 독자들은 무심히 지나가려던 발걸음을 멈추고 두 남녀의 만남을 되새겨보게 되는 것이다. 아하, 저자가 노린 것이 이것이었구만, 하면서 두 사람의 연애가, 잘 진행되기를 응원하게 된다.

 

특히 아내가 될 여인을 만나기 전에 사귀던 여자가 있었는데, 그 여자와는 어떻게 하지, 하는 쓸 데 없는 걱정까지 하게 만드는 저자가 미워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어쨌든 미리 줄거리를 알려주니 읽어가는데 이런 애로사항이 있다는 것, 물론 그 애로가 마냥 힘든 것이 아니라는 것, 첨언한다. 소설 읽는 재미가 바로 그런 것이니 말이다.

 

그 다음, 저자는 곳곳에 유모어를 심어놓았다. 어떤 때는 아주 대놓고 유모어를 구사하기도 한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아내가 되는) 리오라 토저를 만나기 전에 만나던 아가씨가 있다.

그때 그녀의 집에 가기도 했는데, 그 집에는 그녀의 어머니가 함께 살고 있었으니. 우리의 주인공은 은근히 그녀 집에 갈 때, 어머니가 기꺼이 자리를 비껴주기를 바랐는데.....

 

그래도 물론 어머니는 기꺼이 나가 주면서 내가 그녀와 단 둘이 있도록 해줄 것이야.


(그리고 문장 두 서너 줄을 쓸 칸을 공란으로 남긴 다음에 다음 문장이 이어진다.)


그러지 않으셨다. (71)

 

그리고 이어지는 장면에는 그녀 어머니와 애타는 우리 주인공의 눈물겨운 눈치 싸움이 전개되는데, 이런 대목 읽느라 이 소설이 의학 소설이라는 것을 잊게 된다. 한마디로 소설이 딱딱하지도 않거니와 지루하지도 않다는 말이다.

 

그 다음 특징은 이런 말로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꿔놓는다.

대조군, 5장에 나오는 용어다.

대조군이라는 용어를 비교 기준으로 사용하는 요령을 우리의 주인공은 고틀립 교수에게서 배우는데, 이 용어가 그 뒤로 나의 사고방식에서 떠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아내가 되는 리오라 토저와 그전에 사귄 아가씨 매들린 폭스의 성격과 행동을 서로 대조해보기도 하고, 주인공의 인생 앞길에 놓여있는 두 갈래 길도 대조군이란 용어 때문에 살펴보기도 했다.


돈이 되는 임상으로 가느냐, 아니면 순수한 학문의 길을 가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런 글, 유익하다.

 

조르주 상드에 관한 언급

그는 (.........) 한 무리의 여자 대학원생들에게 조르주 상드의 불륜은 아마도 재능있는 남자들에게 미쳤던 영향을 감안해보면 어느 정도는 정당화될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69)

 

조르주 상드와 쇼팽의 관계에서 조르주 상드의 행동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 부분 글을 읽으면서 조금은 이해가 되기도 했다.

 

다시, 이 책은?

 

이 책의 역자는 의사다. 그러니 이런 의학 소설에서 제대로 감을 잡고 번역하고 있는데 더 중요한 것은 이 소설의 주인공 애로우스미스가 의사과학자로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잘알려주고 있다는 점이다.  

의사가 아닌 일반 독자들은 의사과학자가 어떤 일을 하는 의사인지도 잘 모르는 판인데, 그런 길을 택한 주인공의 상황을 물론 소설을 통해서 알게는 되지만, 역자의 해설 덕분에 저 자세하게, 그리고 더 확실하게 알게 된다.

 

그리고 사족 하나, 저자에게.

의사라면 당연히 생명의 존엄성에 대해 누구보다도 더 잘아는 사람인 주인공이. 자기 아내에게는 왜그리 무심했는지. 페스트가 발발한 그 현장에서 말이다. 그게 아쉽다. ?

스포일러가 될지 몰라, 더 이상 말하지 않으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