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명화, 붉은 치마폭에 붉은 매화 향을 담다 (표지 2종 중 ‘청록’ 버전)
서은경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명화 붉은 치마폭에 붉은 매화 향을 담다

 

대개의 경우 책을 소개하는 띠지를 살펴보지 않는 편인데이상하게 이 책은 찬찬히 그것부터 살펴보고 싶었다해서 읽어보니 이런 내용이다.

 

조선 시대 대화가들의 작품은 그림을 모르는 사람에게도 표현의 깊이가 그대로 전달되어 작가의 이상과 철학과 교류하게 된다만화가 서은경이 한국화풍의 위트 넘치는 만화로 조선의 화가와 작품을 둘러싼 이야기를 들려준다그림은 화가의 마음을 그린 것이라 믿는 작가는 조선의 명화에서 대화가들의 깊고 진솔하면서도 특별한 마음을 만났다.

 

그림을 모르는 사람에게도 표현의 깊이가 그대로 전달되어 작가의 이상과 철학과 교류하게 된다는 말에 밑줄을 그었다.

조선 시대 그림은 어쩐지 그랬다무언가 깊이가 있는 듯쉬운 말로 포스가 느껴지는 그림들이었다해서 그 속을 제대로 알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그러다 이 책을 만났다.

 

이 책은?.

 

특이하게 조선시대 그림을 그림으로 설명한다같은 그림이로되 두 번째 그림이란 만화다만화로 조선시대 그림을 살펴보는 것이다.

 

조선 시대 누가 그린어떤 그림들일까?

 

정선의 인왕제색도

정약용의 매화병제도

남계우의 화접도

안견의 몽유도원도

강희언의 사인휘호

정선의 청풍계도

김홍도의 좌수도해도

김홍도의 한정품국도

김정희의 세한도

이정의 묵죽도

전기의 귀거래도

천년의 달 만년의 강선비의 이상을 그리다

고사 인물화·산수 인물화

 

정약용의 매화병제도

 

이 부분을 펼치면서 어떤 생각했냐면저자가 다산의 유배부터 이야기할 줄 알았다다산의 인생을 어느 정도 이야기하고 난 다음에 본론을 꺼낼 줄 알았다헌데 그게 아니었다.

여기에 저자의 이야기 솜씨가 드러난다그런 것 모조리 지워버린다여러분다 알지 않습니까다산의 인생 이야기유배당하는 것다 알고 있으니 나는 내 것만 바로 하겠습니다!

그게 이 만화에서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만화 내용인즉,....

 

다산부인이 보내준 치마를 바라본다.

그리고 자른다.


 

(그 다음에 무엇을 하는지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 다음 장면은 딸 내외가 찾아오는 장면으로 바뀐다.

이야기를 마치고 돌아가는 딸의 손에 무엇인가 쥐어준다.

딸과 사위는 돌아가는 길에 그게 무엇인가 살펴본다.

어머니가 보낸 치마조각 내어 그 위에 그린 그림과 글.

딸은 목이 메어 길가에 주저앉아 울고 만다.

그리고 장면은 바뀌어새가 매화나무에 내려앉고 그 아래 다산의 모습!

 

그리고 이어지는 글로 된 글, <그림속 글씨에 담긴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러면 다른 그림은?

다산 편에 이어지는 이야기는 남계우의 화접도이다.

 

남계우가 누구지난 잘 모르는데....

그런 걱정 필요없다.

이번에는 장편이다길다자세하게 설명해준다.

그러니까 저자는 무턱대고 자기식으로 하는 게 아니라독자의 형편을 잘 헤아려 짧게 하기도 하고 길게 하기도 하는 것이다.

 

남계우 편은 무려 15쪽이다다산편은 고작 9쪽인데 거의 배나 되는 그림을 독자를 위해 그린 것이다해서 처음부터 그가 누구인지어떻게 해서 나비와 인연을 맺게 되었는지 그려준다.

 

그리고 또 결말은 어떤가?

결말이 더 재미있다환상적이다한 편의 드라마 같다.

현대의 아이 꼬경이가 조선의 선비 남계우를 만나 나비 이야기를 듣고난 다음에 홀연히 남계우는 사라져 버리고 남겨진 건 나비 화첩그러나 그 화첩 열어보니 그림 나비는 어디론가 훨휠 날아가 저기 핀 꽃잎위에 앉아있더라는 이야기!

 

그러니 그림도 좋고 그림이 만들어내는 이야기도 일품이다.

그렇게 이야기를 아주그림을 아주 맛깔나게 엮어내니 그 다음 편도 기대 아니할 수 없다.

 

안견의 몽유도원도

 

이번에는 아예 등장시키지 않는다. <몽유도원도>를 그린 화가등장시키지 않는다.

대신 만화에서 화자 역할을 하는 두 사람을 그 그림 속으로 들여보내거닐게 한다.

신선한 착상이다. <몽유도원도>는 그렇게 보아야만 하는 것이다.

 

그 그림 위에 아까 편에서 날아간 나비인양글씨가 살포시 그림 위에 앉아있는 게 보인다.

 

설령 거기 꽃가지마다

복숭아 꽃망울 터져 있지 않아도

내 행복한 것은

내 곁에 손잡은

그대 있기에 (78)

 

이런 시가 있다니그 시를 읽는 순간 이미 무릉도원 아닌가!

 

마지막 편은, <고사 인물화와 산수 인물화>.

 

무슨 말인가고사 인물화산수 인물화?

 

고사 인물화란대체로 강호에 은둔했던 중국의 옛 현자를 주인공 삼아 그린 것이고.

산수 인물화란예컨대 이백이 폭포를 바라보는 모습이라든지 또는 강이나 물을 바라보는 선비들의 모습이 등장한다.

 

다시이 책은?

 

어라끝 마무리 봐라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저자.

차군은 꼬경을 등에 업고 걸어가면서 아무렇지도 않은 듯그저 무심한 듯 한마디 한다.

 

조선 시대 선비들은

그림 속에서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표현했던 거야.

선비들의 시대는 가고

현대를 사는 우리는

무엇으로 수묵화의 화두를 삼아야 할까?

 

저자의 물음표가 묵직한데,  그건 우리들 독자에게 하는 말이다.

만화가 쉽다고요가볍다고요천만에 이 만화는 천금보다 무겁고 진중하다.

던지는 화두가 무겁다아니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