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로 보는 은밀한 세계사 - 흥미로운 역사가 담긴 16통의 가장 사적인 기록, 편지 세계사
송영심 지음 / 팜파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지로 보는 은밀한 세계사

 

편지도 기록물이다역사적인 기록물이다.

그런 편지가 어떤 때는 역사의 흐름을 바꿔놓은 중요한 역할도 한다그렇게 역사를 바꾸고 그 기록이 역사가 되기도 한다.

여기 등장하는 편지에는 그런 편지도 있다또한 역사를 바꾸는 편지가 아니라 역사의 이면을 드러내 보이는 편지들도 있다.

 

우선 누구의 편지가 있는지 살펴보자.

 

중국 한나라 사마천,

중국 청나라 임칙서

프랑스 에밀 졸라,

러시아 가폰 신부

조선 흥선 대원군

 

프랑스 마리 앙투아네트

필리핀 호세 리살

체 게바라

조선 민영환

조선 박재혁

조선 윤봉길

 

이탈리아 콜럼버스,

미국 링컨

중국 청나라 옹정제

신라 진덕여왕 외

조선 정조와 심환지

 

이 편지 발신자중 처음 알게 되는 사람이 있다.

 

러시아 가폰 신부

필리핀 호세 리살

조선 박재혁

 

가폰 신부는 제정 러시아 시대에 피의 일요일‘ 사건과 관련이 있다.

그는 러시아 정부가 노동자의 파업과 시위를 막기 위해 노동자 사이에 심어놓은 프락치였다그런 그가 황제에게 편지를 쓴다시위 내용을 미리 황제에게 알리는 차원의 편지였다,

 

폐하,.. 저는 노동자들을 이끌고 함께 겨울 궁전으로 행진할 것입니다행진하는 목적은 차르께서 저희의 소박한 청원을 받아주실 것을 호소하기 위한 것입니다. ...부디 노동자들을 만나서 청원을 들어주십시오. (63쪽)

 

그러나 차르는 그러한 요청마저 묵살하고 병력을 투입해 진압하기로 한다.

이런 일을 시작으로 하여 드디어 피의 일요일‘, ’러시아 혁명의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한다.

 

필리핀 호세 리살은 처음 듣는 필리핀 독립운동가다.

필리핀 사람들이 국부로 존경하는 사람이다.

그는 의사이며 소설가이다그는 필리핀 독립운동의 불씨를 당긴 소설 나에게 손대지 마라와 체제 전복을 발표한다,

결국 그는 붙잡혀 사형선고를 받고처형된다.

그가 쓴 편지 읽어보자.

 

나는 내일 7시에 총에 맞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반란죄에 대해 결백합니다.

나는 평온한 양심으로 생을 마칠 것입니다. (111)

 

이 편지를 읽으니, 같은 상황으로 처형되는 날 당일 새벽에 쓴 편지도 있다.

바로 마리 앙투아네트가 루이 16세의 막내 여동생인 엘리지베스 공주에게 쓴 편지다. (89)

 

사랑하는 아가씨

이것이 당신에게 보내는 마지막 편지입니다.

나는 이체 막 선고를 받았습니다......불명예스러운 죽음을 선고받은 것이 아니라 당신의 오빠를 만나볼 수 있는 선고입니다그분이 결백하듯 나 또한 결백하며 나도 최후의 순간에는 그분처럼 의연한 모습을 보이고 싶습니다.

양심의 가책을 느낄 것이 없는 사람이 그렇듯이 나는 지극히 평온합니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편지와 위에 기록한 호세 리살의 편지는 내용이 아주 유사하다죄없는 사람이 보여주는 의연한 모습이 그렇다.

 

이렇게 편지를 읽으면서 여러 가지를 얻을 수 있다.

 

먼저 그간 잘 못 알고 있었던 역사적 사건들의 진실을 알게 된다.

 

마리 앙투아네트가 가장 대표적인 경우이다.

또한 링컨이나 콜럼버스 같은 경우는 그 반대의 역사가 드러난다. 

우리가 위인이라는 분류에 들어있다고 해서 무조건 긍정적으로 보아 넘기던 그들의 행적이 실상은 그게 아니라는 것이 편지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또한 역사 공부 제대로 할 수 있다.

 

청나라 임칙서의 경우다.

 

왜 그는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에게 편지를 쓸 수밖에 없었던가?

영국이 자기 국민이라면 결코 그러지 않았을 아편을 중국인들에게 팔았기 때문이다.

 

편지중 이런 말도 있다. 

그런데 영국 상인들은 어째서 중국인을 해치는 아편을 파는 것입니까? ...묻겠습니다당신의 양심은 어디에 있습니까? (31)

 

이런 물음에 과연 영국의 여왕은 뭐라 답변했을까?

안타깝게도 그 편지는 발송은 됐지만 여왕에게는 가지 못했다대신 <런던 타임지>에 실렸다.

이에 대해 영국 신사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조선 정조와 심환지 사이에 오고간 편지

 

조선 시대 정조와 심환지서로 정적이라 여겨졌던 두 사람 사이에 편지가 오고 갔다니!

그게 알려진 게 벌써 10여년 전의 일이다.

2009년 노론의 거두인 심환지와 정조가 주고받은 비밀 어찰 6책 297통이 세상에 공개되었다.

그때 신문기사를 읽은 기억이 있는데이 책에서 그 편지들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흥미로운 일이다.

 

다시이 책은?

 

이 책은 교과서에서 배우는 딱딱한 역사와 결이 다른 역사 이야기다.

역사적 인물들이 서로 주고 받은 편지를 통해 역사를 읽어보는 것이다.

개인간에도 편지는 중요한 의사 전달의 도구인데역사의 한 축을 차지했던 인물들이 보낸 편지가 그냥 단순한 개인간 편지로 의미가 격하될 리 없다.

 

각각의 역사적 중요성을 지니고역사의 한 단면으로 승화된 편지읽어볼 가치가 있다.

제목 그대로 숨겨져있던 은밀한 역사가 그 모습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