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우주를 알아야 할 시간
이광식 지음 / 메이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0, 우주를 알아야 할 시간

 

이 책은?

 

이 책 50, 우주를 알아야 할 시간<나는 우주에서 인생을 배웠다>라는 부제가 붙어있는데, 우리 인생을 우주와 연결시켜 생각하게 해주는 우주과학 책이요, 또한 철학책이다.

 

저자는 이광식, <‘별과 우주를 재미있고 감동적으로 들려주는 국내 대표적인 천문학 작가. 젊은 시절 우주에 대한 호기심에서 헌책방을 순례하고, 성균관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후, 출판사를 차려 한국 최초의 천문 잡지 [월간 하늘]과 교양 천문학 책 등을 펴냈다. 일에 파묻혀 살다가 사라지기 전에 우주를 더 알고 사색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일찌감치 강화도 퇴모산으로 들어가 낮에는 텃밭 일을 하는 한편, 밤에는 망원경으로 별 보고 천문학 책 읽는 생활을 계속했다. 현재 '원두막 천문대'라는 개인관측소를 운영하면서 과학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 책으로 저자 이광식을 알게 된 것, 우주에 관한 새로운 지평을 넓힐 수 있어서, 행운이다.

 

이 책의 내용은?

 

책 제목 앞에 붙은 50이란 숫자를 그냥 무심하게 지나쳤다.

그리고 <지은이의 말>에서 논어의 지천명(知天命)을 언급하는 것도, 그냥 논어 한마디 하는가 보다 싶었다.

본문을 읽고자 하는 성급한 나의 마음이, 그걸 건너뛰게 한 것이다. 

제목부터, 자세하게 살폈어야 했다. 왜 제목에 50이란 숫자가 붙지? 왜 지천명을?

 

저자는 다 계획이 있었던 게다.

50, 지천명의 나이에는 우주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50, 지천명(知天命)에서 천명이란,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천명이란 인생을 뜻하기도 하지만, 넓게는 삼라만상을 지배하는 우주의 섭리나 원리 또는 보편적인 가치를 말하는 것이다. (6)

 

해서, 저자는 삼라만상을 지배하는 우주를 알아보자며 독자들을 초대하고 있다.

우주, 언뜻 들으면 다 아는 것처럼 생각되는 단어 '우주', 그 우주를 저자는 새롭게 보여주고 있다.

 

우주는 지구로부터 시작하여 태양계, 그리고 태양계를 품고 있는 우리은하를 말한다. 거기에 또 우리은하는 국부은하군에 소속되어 있고, 또 그 국부은하군은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해있고.....

이런 식으로 광활하게, 끝이 없이 펼쳐지는 게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우주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은하는? 우리은하.

 

먼저 확실하게 알아두어야 할 게 있다.

바로 '은하'와 '은하수'는 다르다는 것, 그리고 은하에도 많은 은하가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은하는 일반명사다. 영어로는 갤럭시(galaxy)라 한다.

은하수는 지구의 밤하늘에 구름 띠 모양으로 길게 뻗어있는 수많은 천체의 무리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다.

저자는 이 둘의 구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서울의 한강과 강을 예로 든다. (100)

서울을 가로질러 흐르는 강을 한강이라 하고, 한강을 포함한 모든 강을 통칭하여 강이라 하는 것과 같다.

은하가 있고 그 수많은 은하 가운데 하나가 은하수인 것이다.

영어로 구분해 보자면, 은하는 galaxy, 은하수는 milky way 이다. 확실히 구분된다.

 

그리고 은하에는 수많은 은하가 있다.

지구와 태양이 속해있는 우리은하가 있고 수많은 은하 부락이 있다. 은하부락에는 안드로메다 은하, 마젤란은하, M33 은하 등 40여개의 작은 은하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 부락의 이름은 국부은하군이다.

국부은하군은 주위의 여러 은하군들과 함께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해있다. (110)

 

그럼 태양은 우리은하의 중심에 있을까?

 

그렇지 않다. 이태껏 잘못 알고 있었던 게 바로 이거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은하의 중심이 태양인줄 알고 있었다.

그런데 그게 아니라 태양은 은하의 중심에서 은하 반지름의 3분의 2 쯤 되는 거리에 있다.

또한 태양은 은하 중심을 돌고 있다. 결코 태양이 우리은하의 중심이 아닌 것이다.

 

, 행성, 소행성들이 공처럼 둥글게 되어있는 까닭은?

 

바로 중력 때문이다.

중력은 물체의 중심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천체의 높은 부분을 아래로 끌어당겨 이윽고 자기 몸을 둥그런 공처럼 만든다. , 지름이 700km 는 넘어야 중력이 그렇게 할 수 있다. (200)

 

그런 식으로 우주를 새롭게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들어 있는 이 책의 목차를 훑어보자. 어떤 내용이 들어 있을까.

 

프롤로그_어느 날 문득 우주가 나를 찾아왔다

1강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강 만물의 근원인 수소가 맨 처음 한 일

3강 우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

4강 우주는 얼마나 클까?

5강 우주는 끝이 있을까?

6강 우주에서 가장 기괴한 존재, 블랙홀

7강 알수록 신기한 태양계동네

8강 다정한 형제, 지구와 달 이야기

에필로그 우주는 어떤 종말을 맞을까?

 

그렇게 지구, 아니 우주의 시작부터 우주의 종말까지 그러니 우주를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밑줄 긋고 새겨볼 말들

 

땅만 내려다보지 말고 고개를 들어 하늘의 별을 보라.” - 스티븐 호킹 (7)

 

다음 세대에 물려줄 과학지식을 단 한 문장으로 줄인다면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 리처드 파인만 (60)

 

자유로운 사람은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그의 지혜는 죽음이 아니라 삶의 숙고에 있다. - 스피노자. (76)

 

다시, 이 책은?

 

제임스 조이스는 그의 작품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주인공 스티븐 디덜러스가 지리책에 다음과 같이 자기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설정해 놓았다.

 

기초반

클롱고우스 우드학교

샐린스 마을

킬데어 군

아일랜드

유럽

세계

우주

 

그 소년 스티븐이 우주라는 이름하에 알고 있는 우주는 어디까지였을까?

스티븐의 우주가 어디까지를 말하는지 모르겠으나, 내가 생각하는 우주는

책을 읽기 전과 읽고 난 후, 우주는 분명 달라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