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유신 - 흑선의 내항으로 개항을 시작하여 근대적 개혁을 이루기까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다나카 아키라 지음, 김정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지유신

 

이 책은?

 

이 책 메이지유신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다나카 아키라, <1928년 야마구치 현에서 태어났다. 1953년 도쿄교육대학 문학부 일본사학과 졸업. 동 대학 대학원에서 일본사학 전공 박사과정 수료. 홋카이도대학 문학부 조교수, 교수, 삿포로학원대학 교수를 거쳐,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를 지냈다. 2011년 별세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우리 역사를 되돌아볼 때 가장 아쉬운 점이 구미 열강이 아시아를 향해 올 때 일본에서는 근대화로 이행이 되었는데, 우리는 그러지 못한 점이다.

대원군이 쇄국정책의 기치를 높이 들고 있을 때, 일본은 구미 열강에 발을 맞추려고 애를 쓰고 있었고, 그 과정에 메이지 유신이 자리하고 있다.

그러니 메이지 유신을 빼놓고는 일본의 근대화, 더 나아가서 당시 아시아 정세의 변화를 논할 수 없는 것이다.

해서 메이지 유신은 일본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체에서도 아주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메이지 유신이란 무엇인가?

 

메이지 유신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유신 후 변화된 일본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첫 번째, 쇼군의 정치에서 천황이 직접 정치를 하는 친재(親裁)로 바뀌었다.

두 번째, 각 번의 분치(分治)에서 통일정치가 되었다.

세 번째, 쇄국에서 개국으로 체재가 바뀌었다. (7)

 

메이지 유신 당시 일본에 일어난 사건을 정리해보자.

 

1853년 페리 일본에 나타나다.

1854년 미일 화친조약 체결

1889년 메이지 22년 대일본제국 헌법 제정

1890년 교육칙어 발표

 

이하 사건에 대한 연표가 잘 정리되어 있으니 263쪽 이하를 참고하시라.

 

메이지 유신의 의의는?

 

유럽 열강의 대열에 합류하려는 일본이 근대적인 입헌국가로 서게 된 것이고, 일본이 근대국가로서 어떤 방향을 지향했는가 하는 것을 드러낸 운동이 되었다.

이후 일본은 군국주의로 치닫게 된다. 그러나 그 추진과정에서 조급하게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진하고, 짧은 기간에 추진하여 결국은 많은 모순을 내포하게 된 것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256)

 

메이지 유신과 천황의 관계는?

 

메이지 유신은 막부체제에서 천황의 친정으로 전환된 것으로, 천황의 위치가 중요하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과 천황의 관계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메이지 헌법에서는 천황은 신인 동시에 군주이고 초헌법적인 존재인 동시에 헌법의 일개 기관이라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이 헌법에 규정된 메이지 국가는 이원적 내지는 이중구조이다. 즉 신권적, 절대적인 천황이 헌법에 의해 통치하는 입헌국가인 것이다. 이 이원적 이중구조는 모순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역점을 두는 곳의 비중을 바꾸고 밸런스를 교묘하게 변화시켜 그 후의 시대 조류에 대응해 갔다. 그러나 신민인 국민에게 천황은 신권적, 절대적인 존재로 다가와 그들을 짓눌렀다. (223-224)

 

메이지 유신이 조선에 미친 영향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관심이 갔던 부분은 메이지 유신이 당시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이었다.

 

이런 의문에 이 책은 답변을 충실하게 해주고 있었다.

 

메이지 유신 후에 일본이 취한 정책은 대국주의였다. 당시 노선의 한 축이던 민권파는 대국주의의 대척점에 서게 되어 자연히 탄압을 받았고, 결국 민권파는 지하로 들어가는 운명을 맞게 되었다.

그렇게 대국주의로 치닫게 된 메이지 정부는 조선에 대하여 정한론 정책을 취하게 된다.

 

정한론(征韓論)은 조선을 무력침공한다는 침략적 팽창론으로, 저자는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조선 문제는 일본이 군국주의, 대국주의로 향하는 지렛대 역할을 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귀결되는 곳에 청일전쟁이 있었습니다. 이 전쟁에서 이긴 것이 메이지 헌법체제의 확립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메이지 헌법체제는 전쟁에 의해 확립된 것입니다. (249)

 

조선에서는 일본의 정한론자들에 의해 강화도 사건부터 시작해 임오군란, 갑신정변 등으로 이어져 결국 조선 땅은 청일전쟁의 전장터가 되고 만다.

 

다른 아시아 국가에 미친 영향

 

일본의 메이지 유신은 아시아의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베트남의 경우를 살펴보자.

 

프랑스 식민지였던 베트남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삼아 독립운동의 목표로 삼았다. 당시 독립운동의 리더였던 황보이차우는 자신들의 운동 추진결사를 유신회(維新會)라고 할 정도였다.

 

그는 메이지 유신이 이루어진 나라 일본으로 베트남 청년들을 유학시키는 동유운동(東遊運動)을 추진했다. 일본에서 배우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일본은 베트남을 도와주기는커녕 프랑스와 손을 잡고 황보이차우와 유학생들을 일본에서 추방해버렸다. (254)

 

결국, 메이지 유신은 철저하게 자국의 대국주의를 향한 체제정립에 사용된 것이었다메이지 유신에 의해 근대화를 이룬 일본은 당시 아시아에서 유럽 열강에 대응하는 나라로 다른 아시아 국가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지만, 결국은 서구 열강에 어깨를 나란히 하려는 방편에 불과했고, 이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을 침략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다시, 이 책은?

 

아무래도 일본인을 대상으로 쓴 책이라, 용어부터 시작하여 일본의 체제 상황에 대한 무지가 이 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한 것, 분명하다.

물론 역자가 보충 설명을 각주 형식으로 하고는 있으나, 용어의 해설에 그치고 있어 아쉬웠다.

 

개인적으로 사건의 전후 상황에 대한 보충 설명이 많이 필요했다는 점, 밝히고 싶다. 해서 한국의 학자가 이 책에 보완 설명하는 내용을 첨가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