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의 연대기
기에르 굴릭센 지음, 정윤희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11월
평점 :
결혼의 연대기
이 책은?
이 책 『결혼의 연대기』는 소설이다. 장편소설.
저자는 기에르 굴릭센 (Geir Gulliksen), 노르웨이 문학가이자 편집자이다.
<시인, 소설가, 극작가, 아동문학가, 에세이스트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여자는 수동적이고 남자는 능동적인 고지식하고 불평등한 과거의 남녀 역할에 대해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며 이들의 관계와 사랑을 주제 삼아 여러 작품을 써왔으며, 도발적이면서도 우아한 방식으로 자신만의 강력한 러브스토리를 만들어 현대문학의 새로운 기준을 써 내려갔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이 책의 내용은?
주인공은 남편인 존과 그의 아내 티미다.
그런데 그들의 만남이 평범한 결혼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아내와 딸아이가 있던 존은, 의대생으로 의사가 되기 전 진료소에서 실습중이었던 티미를 우연히 딸아이를 데리고 진료를 받으러 간 게 계기가 되어 만나게 된 것이다.(62쪽)
그러다가 같은 강좌를 수강하게 되었고(67쪽) 결국은 둘이 결혼을 하게 된다.
처음 나를 만났을 때만 해도 아내는 스물다섯이었고, 나는 그보다 겨우 몇 살 더 많았다.(13쪽)
그렇게 서로 사랑하고 결혼한 그들, 아이 둘을 낳고 살고 있었는데, 그만 헤어지게 된다.
이런 둘의 대화, 들어보자.
그들의 과거를 다음 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리에 대해서 이야기해봐.
우리?
처음 보는 사람에게 이야기한다고 생각하고.
흠, 한 때 열렬히 사랑했던 사이지.
그리고?
결혼해서 정식으로 부부가 됐고.
그리고 나서?
엄마 아빠가 됐지. 함께 아이를 낳았으니까.
(……)
그런데 어느 날....
무슨 소리야? 나더러 그 이야기를 하라는 거야?
우리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알고 싶어서 그래. 도저히 이해가 안 돼서.
사실은 나도 모르겠어.
그래도 어려울 것 같아. 아니, 별로 하고 싶지 않아. 내입으로는 못하겠어.
그럼 내가 대신 말해 볼까? 내가 당신인 듯 말야. (7-8쪽)
그 다음부터 남편인 존의 입으로, 아내인 티미의 이야기가, 부부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러니 이 소설은 화자의 시점이 독특하다.
남편인 존이 아내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남편이 아내인 것처럼, 이야기를 진행하는 것이다.
화자인 ‘나’의 입으로 펼쳐지는 세계는 여러 시점이 드러난다. 새겨가면서 읽어야 한다. .
한때 그녀의 남편이었던 내가, 바로 이 집 그리고 우리가 함께 했던 방에 앉아서 집안을 걸어 다니는 아내의 모습을 여전히 눈으로 좇고 있었다. 하지만 티미는 이제 우연히 나와 마주칠 때가 아니면 더는 나의 얼굴을 기억하지도, 머릿속에 떠올리지도 않는다.(34쪽)
티미는 이제 우리가 함께 일구어온 세상에서 벗어나, 다른 곳으로 막 옮겨가려던 중이었으니까.
티미는 그렇게 한순간에 모든 걸 내팽개치고 떠나버렸다. (37쪽)
그렇게 완전히 과거를 회상하는 미래 시점이 나타나기고 하고
때로는 과거의 어느 시점으로 돌아가, 그 시점에서 말을 하기도 한다.
위에 인용한 부부의 대화에서 등장한 이런 말.
<그런데 어느 날....>
그 ‘어느 날’의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아내에게 다른 남자가 생긴 것이다.
아내인 티미에게 어떤 남자가 다가온다. 그 남자를 아내는 받아들이고, 그것을 남편에게 모두다 말해주면서, 점점 그 남자에게 이끌려간다. 장갑맨.
조깅하고, 승마를 같이 하고, 스키를 같이 하며, 드디어.....
밖에서 그 남자를 만나는 횟수가 잦아지고, 점점 그쪽으로 쏠리는 아내의 모습을 화자인 ‘나’는 아주 냉정하게 그녀의 입장이 되어 서술해 나간다.
다시. 이 책은?
드디어 그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
우리 사이가 어떻게 될 것 같아? 어떻게 끝날지 생각이나 해봤어?(205쪽)
점점 아내의 마음속에서 희미해지는 자기 자신의 존재를 확인해 가는 ‘나’의 모습이 그려진다.
지금의 나는 예전에 티미가 알던 남자가 아니었다. 지금 내 목소리 역시 사람이 내는 소리가 아니었다.(269쪽)
부부란 무엇인가? 사랑이란 무엇인가? 생각해 보게 만든다.
그러나 이해하기 어려운 한 차원 다른 ‘부부의 세계’를 보는 느낌, 별세계의 사랑은 그런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