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안데스의 시간 - 그곳에 머물며 천천히 보고 느낀 3년의 기록
정성천 지음 / SISO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루 안데스의 시간

 

이 책은?

 

이 책 페루, 안데스의 시간은 저자 정선천의 <페루, 그곳에 머물며 천천히 보고 느낀 3년의 기록>이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자 정성천은 <40여 년간 몸담았던 교직을 떠난 후, 교육부가 처음 실시하는 퇴직자를 대상으로 한 해외 교육자문관 파견 시험에 도전해 남미 유일의 페루 교육자문관으로 선발되었다.>

 

그렇게 해서 저자는 페루에서 3년을 거주하면서, 보고 듣고 여행한 것을 기록르로 남겼다.

저자는 그에 대하여 <아주 색다른 경험과 자연의 신비함,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내 인생의 유일한 시간이었다. 기억으로만 간직하기에는 아까운 마음이 들어 책으로 펴냈다. 페루, 안데스의 시간은 페루 안데스 시리즈의 첫 기록이다.>라고 말한다.

 

페루, 남아메리카에 있는 나라다수도는 리마.

저자가 있던 곳은 페루의 남부 지방에 있는 모케과라는 도시다.

 

그곳에 가기 위해서 저자는, 수도인 리마로 가서, 거기에서 다시 비행기를 두시간 동안 타고 따끄나에 도착, 다시 그곳에서 자동차로 두 시간 반을 달려가야 했다.

 

먼저 저자가 머물렀던 곳을 알아보자

<모케과 (Moquegua), 페루 남부의 도시, 모케과 주의 주의 주도.

모케과 강 중류에 있음. 인구 39000. 포도 · 올리브를 산출함. 1868년 지진으로 파괴된 바 있음.>라는 인터넷상의 자료보다 저자가 알려주는 자료가 더 풍성하다

 

인근에 위치한 구리 광산의 거점 도시로 다른 페루의 중소도시들에 비해 경제활동이 활발하고 생활수준도 다소 높았다. 도시 규모가 인구 3-4만으로 비교적 작은 도시이지만 페루의 대도시에서만 볼 수 있는 현대식 대형상점이 성업중이라는 정보도 소개하고 있다. (19)

 

이 책은 남아메리카에 있는 페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업무를 소개한 부분은 58쪽 이하에 나오는데,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교육 파견자들은 이곳에서 선진 한국 교육의 경험을 살려 페루 교육현장을 돕는 역할을 한다. 파견교사들은 1주에 20시간 현지 교사들과 함께 수업하면서 선진 수업방법과 수업기술을 돕고, 자문관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5일간 아침 730분에 출근하여 1130분까지 하루 4시간 근무하면서 학교 관리자들과 교사들에게 선진 한국 교육에 관해 다방면으로 컨설팅을 한다. (58)

 

이 책은 그런 업무를 소개하는 책이 아니라, 저자가 그곳에 머물며 보고 듣고 여행한 기록이기에, 주로 여행이야기가 들어있다.

 

이 책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페루를 여행하면서, 그곳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여행을 한 것을 다섯 개로 기술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여정_ 푸른 오아시스의 도시, 모케과

두 번째 여정_ 자연의 경이로움, 아레끼파와 아따까마 사막

세 번째 여정_ 아름다운 티티카카 호수와 볼리비아

네 번째 여정_ 오지 중의 오지, 꼬따와시와 아만따니 섬

다섯 번째 여정_ 신비함을 고이 간직한 맞추픽추

 

저자의 눈길, 매섭다.

 

교육계에 오랫동안 몸담고 있던 저자의 여행길, 저자는 어느 것 하나 그냥 소홀하게 넘기는 법이 없다. 눈이 매섭다. 또한 그러한 것들을 세세하게 모두 기록해 놓고 있다.

 

흥미있고 의미있는 자료들이 많이 있는게 그 중 몇 개만 소개한다.

 

페루의 역사에 대하여.

 

페루에 와서 페루의 역사를 알고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나서부터 그들을 바라보는 내 마음에 슬픔이 도사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들의 역사와 삶을 깊이 알면 알수록 그 슬픔은 더 깊어만 갔다. (32)

 

스페인 사람들은 원주민들의 신전을 부수고, 잉카 신전의 돌 기초 위에 가톨릭 성당을 지었는데, 여기에도 사연이 있다.

 

처음에는 잉카 신전의 돌 기초도 없애고 성당을 스페인식 기초 위에 지었는데, 잦은 지진으로 견디지 못하고 모두 무너져 버리고, 잉카의 돌 위에 지은 성당만 오랫동안 건재했다는 것이다. 그 후로 모든 잉카의 신전을 부수고 그 돌 기초 위에 가톨릭 성당을 건립했다는 것이다.(38, 236)

 

여기서 저자의 촌철살인 한 마디!

 

지진이 무서워 잉카 신들을 모시는 신전의 든든한 돌 기초 위에 그들의 신전인 성당을 건립했다고 하니 그들의 신인 하나님에 대한 믿음은 도대체 어디로 갔단 말인가?(236)

 

도시들의 특징

 

스페인 정복자들은 도시를 세울 때, 제일 먼저 중심부에 사각형의 '아르마스 플라자(중앙 광장)'를 만들고, 그 한쪽 면에 성당을 지었다. 그리고 그곳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뻗어나가도록 설계했다.(68)

 

이런 형태는 저자가 방문한 도시마다 똑같은 적용되었다는 것, 찾아볼 수 있다.

 

이 밖에도 패루의 역사, 경제, 도시등 방대한 자료가 저자의 손길로 다듬어져 들어있다.  

 

페루 여행을 위한 팁, 몇 가지

 

페루에서의 여행은 해발고도의 변화가 큰 관심사다. 고산병으로 여행을 망치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75)

 

4000미터 이상의 지역은 높은 고도 때문에 커다란 나무는 생육이 어렵고 풀과 작은 관목들만 자란다. (122)

 

개에 물리지 않으려면?

 

저자가 그 곳에 살면서 얻은 지혜가 있다. 개에게 물리지 않으려면, 이렇게 하면 된다.

 

거기에서 일하는 코이카 단원들로부터 개한테 물리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당부를 들었는데, 해서 조심을 하긴 했는데, 어느 날 개가 한 마리 달려들어 혼이 났다는 것이다.

그 후 어느 날 공원에 있는데 현지 소년이 돌멩이를 집어 들어 개를 물리치는 모습을 보았는데, 돌멩이를 집으려는 시늉만 해도 도망가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지혜, 결국 한번 잘 활용할 수 있었다는 것. (55)

 

비자 문제 - 볼리비아

 

인근국가인 패루나 칠레와는 달리 볼리비아는 관광 무비자 제도가 없다. 자칫 잘못하면 바자 때문에 여행을 망칠 수가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123)

 

, 볼리비아.

볼리비아 검문소에서는 의도적으로 입국 도장을 누락시켜 출국 때 100 달러의 벌금을 물리게 하는 일이 빈번하니 볼리비아 입국 시 날인을 꼭 확인하라. (145)

 

다시, 이 책은?

 

저자의 매서운 눈에 포착된 페루의 모습을 잘 살펴볼 수 있다.

저자는 다닌 곳마다 풍광과 역사를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스페인 식민지 치하에 힘들게 살아온 페루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가 안타까운 마음으로 전해주는, 페.

이 책으로 한 번 가본 듯한 느낌이다.

 

 

단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안타깝게도 이 책에는 페루 지도는 물론 저자가 살았던 곳, 여행을 다닌 곳의 지도가 전혀 소개 되지 않아, 부득이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면서 지도를 구비, 참고할 수밖에 없었다.

저자가 살았다는 곳, 모케과, 어지간한 지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찾느라 애를 먹었다는 것, 이 책의 편집자에게 알려드리고 싶다. 혹 다음에 이 책의 2쇄 찍을 때는 지도도 좀 충분하게 넣어주시라고.

또한 저자 소개에 따르면 이 책이 페루 안데스 시리즈의 첫 기록이라고 하니, 다음 편에서는 지도를 많이 넣어주시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