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딸들
-
2
이
책은?
이 책의 제목은
『세상의 모든 딸들』, 1, 2
두 권으로 번역
출판되었는데,
그중의 두 번째
책이다.
소설이다,
장편소설.
저자는 엘리자베스
M.
토마스(Elizabeth
Mashall Thomas).
이 책의
내용은?
시대 배경은 구석기
시대.
이 소설의 1권 후반부에 주인공
야난의 옷을 만드는 장면이 나오는데,
사용하는 도구가 요즘 같으면
가위,
칼,
바늘 정도일텐데 이 소설에는
돌칼,
긁개,
칼,
바늘,
돌송곳이다.(334,
335쪽)
물론 바늘이라는 말로 표현된
도구도 요즘 우리가 보는 바늘의 모습은 아닐 것이다.
화자인 주인공은 야난은 아버지
아히,
어머니 래프윙의 딸로서 동생
메리가 있다.
줄거리는 주인공 야난의 가족이
살아남기 위하여 먹거리 - 하마터면 ‘먹이’라고 쓸 뻔 했다-
를 찾아 여기저기로 이동하면서
벌어지는 사건,
그 사건들을 통해 여자가
되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1권에서 자세한 이야기가 밝혀지지
않지만,
화자이기도 한 주인공 야난은 죽어
영혼이 되어,
이야기를 두 가지 시점에서
끌어나간다.
즉 산자의
시선으로,
또한 죽은 자의
시선으로.
2권 역시 같은 시점,
즉 죽은 자의
시점,
살아있을 때의 시점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이런 두 가지 시점을 택한 이유는
무얼까?
그게
궁금했다.
2권에서 야난이 죽는 이유가
드러나는데,
바로 아이를 낳다가 죽는
것이다.
그러니 이 소설은 사람이
이어진다는 것,
즉 태어나고 죽고 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간은 연면히 이어진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죽음도 삶과 아주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이어진다는 견지에서 그렇게 두
가지 시점으로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라고 추측을
해본다.
지난 번
1권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몇 가지 생각해
보았다.
과연 이 책을
“난
엄마처럼 살지 않을 거야!”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역자와 출판사는 이 책을
여자,
즉 딸의 관점을 강조하고 싶은
모양이다.
그래서 책의
제목도,
원제는 <Reindeer
Moon>, 번역하자면
‘순록의 달’인 것을 『세상의 모든 딸들』로 했고,
앞표지에 이런 문구도 적어
강조하고 있다.
<“난 엄마처럼 살지 않을 거야!”
세상의 모든 딸들이 눈물로
맹세하지만,
왜 끝내 엄마처럼 살게 되는
것일까?>
이런 문구로 이 소설의 성격을
규정해 놓았다.
과연 그럴까?]
그렇게 문제를 제기하면서 몇 가지
근거를 찾아보았는데,
지금 2권을 다 읽어보니,
이제 다른 점이
보인다.
바로 여자로서 임신을 한다는 것의
의미가 새롭게 부각이 되는 것이다.
남편인 티무와 이혼한
후에,
야난은 다른 남자인 엘로와
잠자리를 갖게 되고,
그 후 아이를 임신한 것을 알게
된다.
그런데 상황은
급변,
다시 티무에게로 돌아가게 된
상황에서 야난이 임신한 아이는 누구 아이인가?
남편 티무의
아이인가,
아니면 엘로의
아이인가?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갈등,
그 갈등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시간만 흘러갈
뿐.
드디어 아이를 낳게
되는데,
아이를 낳고 야난은
죽는다.
어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다시, 이
책은?
그래서
1권에서 <주인공 야난은 엄마의 모습,
엄마가 여자로서 살아가는 모습을
보고 자랐고,
심지어 엄마가 아이를 낳다가 죽는
모습도 보게 된다.
그런데 그 어느 장면에서도
“난 엄마처럼 살지 않을 거야!”라고 외치는 장면이 없다.>고 하면서 과연
이 책을 “난
엄마처럼 살지 않을 거야!”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는
의문을 표했는데, 내
생각이 짧았다.
이 책은 지금이나 예나 같은
모습으로 인류를 이어가는 모성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엄마처럼 살지
않을거야’라고
소리치지만 어쩔 수 없이 엄마의 삶을 반복해야 하는 여성에 대한 찬가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