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 현상 - 5학년 2학년 국어교과서 국어활동(가) 수록도서 책읽는 가족 50
이금이 지음, 김재홍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금단현상이라고 하면 떠 오르는 이미지가 있어서 그런지 처음 책 제목을 접하고 다소 어색함이 느껴졌다.

그러면서 한 편으로 아이들에게 찾아드는 금단현상이 있다면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다. 컴퓨터 게임, 휴대폰 문자 사용, 만화책..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것들이다. 일반적인만큼 나도 아이들의 마음을 많이 이해하지 못하는 부류의 어른인가 보다 반성하면서 책을 보았다.

이 동화집에 소개된 다섯 편의 동화에 나오는 아이들은 모두 자신을 표현해 내는 방법을 찾지 못한 마음을 소리를 들려주고  싶어하는 아이들이라고 생각된다.

[금단현상]의 효은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현기와 전화통화를 한 그 시간이 되면 항상 전화를 기다리게 되고 실은 전화의 주인공이 현기가 아님을 알았을 때도 자신의 마음을 마음껏 드러내 놓고 이야기 하던 그 때를 다시 기다리고 결국은 누군지도 모르는 아이에게 다시 전화를 걸게 된다. 비밀을 간직하면서도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고 싶은 아이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이야기였다. 컴퓨터 채팅을 하면서 누군지도 모르는 상대에게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놓고 표현하고 싶어하는 아이들의 마음이 이런 것일까? 아이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던 작품이다.

[나의 마니또]와 [촌놈과 떡장수]를 보면 친구에 대한 그들의 감정을 엿볼 수 있다. 나보다 못한 친구보다는 잘난 친구를 원하는 이해타산적인 감정도 가지고 있지만 계기가 있으면 충분히 서로 마음을 열고 자신의 모습도 반성할 줄 아는 유연한 아이들의 마음도 함께 찾을 수 있다. 

[꽃이 진 자리]는 읽으면서 마음이 무척 아팠던 작품이다. 오늘 뉴스에서도 임대아파트와 일반아파트 간의 경계선이 그어진다는 것을 보면서 어른들의 다툼에 아이들이 상처를 받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작품의 주인공도 자신이 살고 있는 작은 아파트의 사람들 중에 유난히 다른 느낌의 할머니를 만난다. 너무나 탐나는 스웨터를 뜨고 있는 할머니...말과 달리 손녀와 아들을 너무나도 그리워하던 할머니가 남긴 빈 자리와 스웨터를 보면서 가슴이 뭉클해졌다. 한편으로는 아픔을 간직한 사람들이 사는 공간으로 자주 그려지는 작은 아파트의 이야기가 이제는 없었으면 하는 생각도 든다.

[십자수]는 요즘 남녀의 구분없이 자신을 표현하는 요즘 아이들을 그대로 나타내 준 이야기였다. 좋아하는 여자친구를 위해서 서슴없이 십자수를 놓는 아들을 보면서 아버지도 어머니와의 갈등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얻지 않을까? 남녀의 구분 없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대로 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우리 세대가 받아들이는 과정이 낯설겠지만 부모들의 아이들을 이해하는 한 관문이 될 것도 같다.

[금단현상]에서 보여지는 아이들의 모습은 정말 요즘 아이들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는 것 같기에 어린이가 아닌 어른들이 읽어야 할 소설이 아닌가 생각된다. 아이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읽고 어른은 아이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