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느낌일까?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65
나카야마 치나츠 지음, 장지현 옮김, 와다 마코토 그림 / 보림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얇은 그림 동화 한 권이 주는 힘이 이런 거구나..하는 느낌을 받았다.
동화책을 읽는 아이들은 대부분 재미를 주는 그림동화에 제일 관심을 보이고
자주 읽고자 한다. 혹은 흥미로운 지식을 전해주거나..
그렇지만 책이 주는 또 하나의 아주 큰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간접체험이라는 것이다. 환상이나 모험도 좋지만 나와 같이 사는 친구나 이웃 ,즉 내가 아닌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간접체험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의 내용은 단순하지만 여운은 상당히 오래 가는 책이다.
나와 다른 친구를 생각해보는 히로..
눈이 보이지 않는 친구를 이해하기 위해 눈을 감아보니..
세상의 소리가 너무도 많이 자세히 들리는 것을 알고 놀라고
귀가 들리지 않는 친구의 느낌을 알기 위해 귀를 막아보니..
예전에는 보지도 못했던 엄마 얼굴의 작은 점까지도 다 보이는 것에 놀라고
지진으로 부모를 잃은 친구의 느낌을 알고자 했으나..
그렇게까지 할 수는 없으니 친구가 왔을 때 쓸쓸함을 묻자
오히려 몇일 뒤에 온 친구는 히로처럼 하루 종일 움직이지 못하는 입장이 되자
생각이 많아지고 깊어짐을 알았다고 한다...
마지막 순간의 반전이 이 동화가 더 없이 아름다울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친구들의 느낌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던 히루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친구였다. 그래서 그렇게 많은 생각을 했고..그리고 히루의 친구가 히루의 입장에서 서로를 이해하는 부분은 정말 감동적이었다.
만일 히루가 비장애인으로 친구를 이해하게 되었다로 끝난다면 서로의 아픔을 교감하는 느낌이 훨씬 적었을 것이다.

그림동화를 아이들과 읽으면서 히루처럼 따라하고..
잠깐이기는 하지만 불편함을 느끼고 장애인들이 겪는 불편을 알 수 있었다.
온전히 그들을 이해할 수는 없지만 이런 작은 경험이 아이들에게 나와 다른 남을 이해하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두려움 혹은 동정을 주는 대상이 아닌 나보다 더 많은 불편함을 지닌 친구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 아이들이 나와 다른 남을 이해하는 첫걸음이 된다고 본다...

학교를 졸업하고 시각장애인 단체에서 활동을 한 적이 있기에 평소에 아이들에게 시각장애인에 대한 설명을 해주기는 했었지만 동화 한 편이 그동안의 내 설명을 모두 대신하는 느낌이다.
이런 마음 따뜻해지고 남을 이해하는 동화를 아이들이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 똑똑한 아이들은 넘치는데 나눔을 아는 마음 따뜻한 아이들은 점차 줄어드는 것 같다는 생각은 나만의 생각은 아닌것 같기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