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반역실록 -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역으로 불리는 그 행간의 역사 찾기>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 이제는 얼마나 익숙한가? 학창 시절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가 최고의 진실이라고 생각하고 배우고 외우기에 급급했다면 어른이 되어서 서점가에서 만나는 역사서는 조금 다른 면을 담고 있다.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은 하나만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가 진실이라기 보다는 다양한 시각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면을 배우게 되는 것 같다.

 

 

 

박영규 작가의 실록 시리즈로 나온 이번 책은 제목이 독특하다. 고려왕조실록이나 조선왕조실록에서 벗어나 <조선반역실록>이라 지었다. 조선의 역사에서 12개의 반역으로 기록된 사건으로 새롭게 조선사를 바라본다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반역이라 함은 승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반역, 그렇다면 누가 승자이고 누가 반역자일까? 이에 대한 의문이 든다. 

 

 

 

반역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조선사 <조선반역실록>의 사건은 역성혁명을 해서 조선을 세운 이성계, 아버지의 역적이 되어 왕의 자리를 차지한 이방원, 이성계의 복위를 위해 나선 조사의, 역적으로 몰려 죽은 태종의 처남들, 세종의 장인이자 역적으로 몰려 죽은 심온,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된 수양대군,  세조에 대항했던 이시애, 남이장군, 동인과 서인의 당쟁으로 유명한 정여립, 허균, 이괄, 경종 복수를 꽤한 이인좌와 소론 강경파를 다루고 있다. 

 

 

 

어떤 이는 왕을 몰아내고 자신이 왕이 되었고 ,또 어떤 이는 왕에 대항하다 죽음을 맞기도 한다. 왕의 자리에 있건 왕에게 죽임을 당하건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 왕에 대한 반기 내지는 반역을 도모했던 인물이었기에 반역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었던 거 같다.  태조는 고려왕조를 몰아내는데 성공하고 자신이 왕이 되어 조선을 세웠지만 왕을 몰아냈다는 의미에서 후에 그에게 반역의 꼬리표를 붙일 수 있었다. 그의 아들인 태종 역시 매한가지이다. 왕이 되기 위에서 약한 왕을 몰아냈던 태종, 수양대군은 그러한 의미에서 함께 묶어볼 수 있겠다. 그렇다면 중종이나 인조는 함께 역지 않은 것이 신하들에 의한 반정이고 전대의 왕이 왕으로서의 신임을 얻지 못했기 때문인듯하다.  의도하지 않았던 의도하였던 왕권과 연결된 고리에서 누군는 공신이 되고 누구는 역적이 되는 과정을 보면 역사의 아이러니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시대를 부정하고 또 다른 시대를 꿈꾸었던 사람들, 그들이 성공을 하거나 성공하지 않았거나 저자는 조선의 반역자라는 꼬리표를 함께 붙여서 이야기하고 있다.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기는 하나 새로운 시대를 열거나 시대를 부정하는 과정에서 반역과 혁명이 교차한다는 의미심장함에서 반역이라는 고리로 조선사를 새롭게 보는 작업도 흥미로웠다. 이는 저자의 입장에서 고른 12가지의 사건이니 아마도 그 누군가에 의해서는 다른 사건이 재구성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