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기담 - 근대 조선을 뒤흔든 살인 사건과 스캔들
전봉관 지음 / 살림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성기담에는 크게 두 가지 축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근대 조선을 뒤흔드는 미스터리 살인 사건과 스캔들..

처음에는 모든 것이 일제 강점하의 일이기에 모두 조작되거나 감추어진 사건이려니 했는데 꼭 그런것만은 아니었다. 근대 조선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 중에 풀리지 않는 살인 사건을 종결하기 위해서 떨어진 일본 경찰의 위신을 세우려 이리저리 범인을 몰아대는 일본인의 모습도 있고 일본인에 의해 살해된 조선 여인의 이야기도 있고 끔찍하게 머리통만 나도는 아이의 살인 사건도 있었다.

스캔들 사건을 보면 중앙보육학교 박희도 교장의 여 제자 성추행 사건, 윤택영 후작의 부채 사건, 이인용 남작 집안의 부부싸움, 교수의 애정도피 행각, 이혼 사건까지...

 

살인사건의 경우야  충분히 기담에 실린다고 하지만 스캔들로 꼽힌 이 이야기들이 경성기담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 조선사회의 변화 속에서 변해가는 지식층의 몰락 과정과 예를 중시하던 사회에서 변화되는 성 가치관 등이 결합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본다.

 

이 책에 실린 사건들을 보면 필자의 말대로 사생활과 공적인 생활에서 모순되는 지식인의 모습도 볼 수 있고 시대상을 반영하는 살인사건의 양상도 볼 수가 있었다. 당시 일본의 지배하에 있던 약자의 입장에서 우리가 당할 수 밖에 없었던 결과들을 사건 해결과정에서도 볼 수 있다. 특히 일본인 여주인에 의해 살해된 우리 조선 여인의 이야기가 그러하다.

고위관직 남편의 안주인이 애정행각을 숨기기 위해 조선인 하녀를 살해했음이 짐작되는 사건도 일본인 경찰들에 의해서 모두 쉬쉬 되면서 결국 체포되었던 살해한 일본 남성도 풀려나는 결과는 정말 약소국의 비애가 아닐 수 없다.

살인 사건이든 애정사건이든 사건은 그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한다. 그 시대 사람들의 우울과 불안함 등이 반영된 모습이라는데 공감한다. 경성기담을 읽으면서 흥미로움 보다는 당시 살았던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었던 모순되고 불안한 심리를 알 수 있었다. 우리 시대에 벌어지는 희귀한 사건들 역시 지금의 우리 심리를 반영하는 사건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면서 잘 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행복을 누리면서 사는 것인데 우리의 행복의 기준은 무엇인가? 곰곰히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