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변화, 발전 ,미래에 던지는 질문>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는 많은 이들에게 인류문명에 대한 반향을 일으킨 도서로 유명하다. 작년에는 저자가 직접 한국을 방문했던 걸로 알고 있다. 지금 서점에 가도 <사피엔스>는 인기도서분야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꼭 읽어야 되는 도서 중의 하나로 선택되어진다. 그러나 그런 인기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사피엔스>를 읽지 않은 수많은 사람 중의 하나가 바로 나이다.  먼저 읽은 많은 사람들이 저자의 지식과 상상력, 필력에 많은 칭찬을 보냈던 걸로 기억한다. 읽어야지~하면서도 뒤로 미뤄두고 있었는데 유발하라리의 두번째 도서가 나왔다고 한다.

 

 

 

<호모 데우스> 이건 또 무슨 말인지 의아했다. <사피엔스>를 읽은 사람에게는 익숙할 지 모르지만 새로운 종을 의미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피엔스>에서 나는 인간이 신, 인권, 국가 또는 돈에 댛나 집단신화를 믿는 독특한 능력 덕분에 이 행성을 정복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호모 데우스>에서는 우리의 오래되 신화들이 혁명적인 신기술과 짝을 이루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검토할 것이다. <중략> 자유주의는 빅데이터로 인한 빅 브라더의 출현에 어떻게 대처할까?실리콘밸리는 결국 새로운 기기만이 아니라 새로운 종교를 만들어내지 않을까?...

                                                                                                      ---저자서문에서

 

 

 

서문을 읽는 순간 벌써 충격에 휩싸이게 되는..<사피엔스>를 읽어보지 못햇기 때문에 그가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를 하는지 무엇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할 지 준비되지 않았다. 그의 질문은 예상하지 못햇던 미래에 대한 질문이었다. 지금 인류는 발전했다고 자부하고 지식정보 산업이 끊임없이 발전하는데 인류가 생각하지 못한 이런 미래가 온다면?이라고 허를 찌르는 듯했다.

 

 

 

인공지능이 발달하면서 얼마전에는 컴퓨터 알파고와 인간의 세기의 대결이 벌어졌다. 우리는 당연 인간을 응원했지만 최고라 하는 전문가들이 달려들어서 만들었다는 인공지능을 당해내기는 쉽지 않았고 과학자들은 부족한 면을 더 보완해서 인공지능의 능력을 업그레이드 한단다. 기뻐해야 하나? 슬퍼해야 하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술 발달에 대한 환호보다는 영화 한편에서 보았음직함 어두운 미래에 대한 섬뜩함을 느끼고 있었던게 사실이다. 유발 하라리는 그보다 더 앞서 인류가 생각해보지 못했던 미래에 대해서 질문을 던진다. 그게 바로 그의 강점이자 기발함이라고 생각되었다.

 

 

 

호모데우스의 의미를 살펴보자면 호모(인간)과 데우스(신), 그렇다면 호모 데우스는 신격화 된 인간인가? 신을 넘어선 인간인가? 아니면 신이 된 인간인가? 똑같은 말인 듯 하지만 분명 모호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네안데르탈인에서 사피엔스까지의 과정이 어마어마한 시일이 걸렸다고 하지만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변화하는데 아주 짧은 시간을 요한다. 그러나 그 변화는 예상 할 수 없는 엄청난 단계를 뛰어넘는다. 그런 점에서 유발 하라리는 인류의 미래에 대해서도 상상해보지 못했던 단계를 뛰어넘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책은 모두 3부로 구성된다. 1부 호모 사피엔스 세계를 정복하다에서는 사피엔스라 이렇게 되기까지 다른 종과는 분명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여러 비교를 통해서 말해주고 있다. 2부 호모 사피엔스 세계에 의미를부여하다에서는 호모 사피엔스의 그동안에 이룩한 과정들의 나열이라고 해야 하나 3부에서는 호모 사피엔스 지배력을 잃다라는 주제로 21세기 시점에서 미래의 인류는 더 이상 호모 사피엔스가 아닌 호모 데우스 그러나 밝지만은 않은 미래의 위기까지 질문하고 있다.

 

 

 

살기 위해서 먹고 먹기 위해서 싸우고 혼자가 힘들어 집단 생활을 하고 집단에서 자기 욕심을 위해서 싸우고 그것을 막기 위해서 지도자를 선출하고..인류의 역사는 책에서 배웠던 그게 다가 아니다. 유발 하라리의 글을 읽으면 교과서에 배운 지식을 전부로 알고 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의 허를 찌르는 듯하다. 이런 미래 원하든 원치 않든 올 수 있다. 가설이지만 너무 설득력이 있어서 생각해 보게 된다.

 

 

 

21세기 드디어 인간이 질병, 굶주림, 전쟁을 극복했다면 그 다음에 우리가 추구하게 될 불멸, 행복, 신성을 향한 여정. 그 가운데 우리 인류가 혹여라도 맞이하게 된 문제에 대해서 설마...피식 웃으면서도 생각해 보게 될 듯하다. 엄청난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지루함 대신 흥미로움으로 책읽기를 멈추지 않게 된다. 아직 읽어보지 못한 <사피엔스>도 근일내에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