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뿔소를 보여주마
조완선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침묵하는 진실에 대한 복수>

 

 

조완선 작가의 소설은 처음 접하게 된다. 역사에 관심은 많지만 역사소설을 그닥 즐기는 편은 아닌데 전작인 [외규장각 도서의 비밀]은 많이 거론되었던 미스터리 작품으로 기억된다. 이번 소설도 혹 과거의 역사에 대한 미스터리물일까 추측을 했다. 사실 내가 생각한 것은 조선시대 쯤이 아닐까 했는데 그보다는 훨씬 가까운 현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서 살짝 놀랐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함구 하고 있던 근현대의 진실에 대해서 많이 거론하고 있다.

 

이야기는 공안부 검사 출신의 노변호사 장기국의 실종으로 시작된다. 실종에는 왜?라는 의문이 따르게 되는데 공안부 검사출신이라는 타이틀에 장기국에 대한 인상은 권위적인 인물로 느껴지는 건 어쩔수 없다. 실종된 뒤에 지옥의 신이라는 뜻의 '카론'이라는 이름으로 기괴한 동영상을 보내고면서 양반전에 나오는 문구를 인용한 글도 함께 보낸다. 백성을 두려워하라는.....분명 메시지에 커다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어 두번째 실종사건이 발생하는데 그는 진보인사들을 나락에 빠뜨리기로 유명한 보수 신문의 유력 시사평론가 백민찬. 보수를 위한 보수이기보다는 정권과 결탁했음직한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진 인물임을 직감할 수 있다. 그의 실종과 더불어 죽은 자의 신이라는 뜻의 '아누비스'라는 자는 고문을 준자에게 고문으로 갚는다는 문구를 남긴다.

 

과연 어떤 이유로 이 사람들은 실종을 했고 메시지는 남겨졌을까? 수사 과정에서 드러나는 사건은 1986년 공안정국 당시 반국가단체 '샛별회'사건이 드러난다. 실종한 두 사람은 바로 반국가단체 샛별회 사건을 조작해서  무고한 사람들에게 억울한 옥살이를 시킨 장본인이었다.  고문과 피해를 당한 사람들의 2세가 용의선상에 오르면서 범인에 대한 관심보다 오히려 억울한 누명을 쓴 사람들에 대한 진실이 밝혀질까에 대한 관심이 더 깊어지게 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시대에 분명히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런 비슷한 소설을 읽은 적이 있다. 국가권력으로 부터 혹은 사회권력층으로부터 억울한 일을 당한 이들이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자 직접 복수에 나선 이야기. 법을 어겼다기 보다는 통쾌하다는 생각이 먼저 들게 되는 건 우리  스스로 그들의 몰락과 처벌을 원하는 마음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침묵하는 진실은 독이 된다. 진실에 대한 침묵, 혹은 진실을 요구하지 못하는 침묵 모두 포함되리라. 탈고의 마지막 과정에 떠오른 세월호의 이야기를 하는 작가의 마음은 우리 모두의 마음일 것이다. 침묵하지 않은 진실에 대한 희망을 우리는 살아있는 동안 계속 자라는 코뿔소의 뿔처럼 간직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