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시스 무어 1 - 시간의 문 율리시스 무어 1
율리시스 무어.피에르도메니코 바칼라리오 지음, 이현경 옮김 / 웅진주니어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판타지 소설 매니아가 우리 집에 있다. 바로 초등학교 2학년인 딸아이다.

물론 흥미도 있지만 가장 아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유를 아이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주인공이 되어서 마음껏 모험을 즐길 수 있잖아." 라고 . 

그렇다. 더 이상의 무엇이 필요할까? 즐길 수 없는 모험의 세계의 주인공이 되어서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펼칠 수 있다는 사실이 가장 중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런 딸아이를 사로 잡은 또 하나의 판타지 소설을 만났다.

바로 [율리시스 무어]이다. 표지부터가 심상치 않다. 

이상한 시계와 더불어 시간의 문으로 통하는 낡아빠지고 음산한 문이 앞면을 장식하고

그리고 뒷면은 아이들의 모험이 펼쳐지는 율리시스 무어의 빌라 아르고가 절벽위에 아슬아슬하게 자리잡고 있는 그림이다....

 

빌라 아르고로 이사를 온 11살 쌍둥이 제이슨과 줄리아,

그리고 이들의 친구 릭이 이 소설을 이끌어 나가는 아이들이다. 

아르고의 주인이던 율리시스 무어는 이 저택의 어딘가에 숨어있으면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아이들을 닫혀있는 비밀의 문으로 이끈다.

저택에서 유일하게 닫힌 공간이면서 숨겨진 문을 아이들은 발견하게 된다. 

절벽으로 떨어질 뻔 했던 제이슨이 발견한 이상한 상자 안에 있던 양피지를 해석하면서

 아이들은 한층 모험의 늪으로 빠져들게 된다.

각각의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성격이 확연히 달라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가는 세 명의 아이들의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흥미진진하다.

처음 오래된 비밀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서 두려움에 떨면서 앞으로 가야할 것인가 되돌아 갈 것인가 갈등하는 아이들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일까? 단순한 호기심때문일까?

그 답은 이 책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아이들이 비밀의 문을 통해서 들어간 깊숙한 곳에서  이 곳에 있을 수 없는 커다란 배를 발견한다. 그 배에서 율리시스 무어의 마지막 항해일기를 발견하고 배를 움직여 보고자 한다.

그러나 배는 요지부동이고 제이슨은 순간 무언가 이 배를 잡고 있고 배를 움직이게 할 다른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배가 나아가야 할 목적지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항해의 마지막 일기에서 가고자 했던 그 곳을 외친다.

"이집트..날 네페르티티에게로, 투탕카멘의 보물로 데려다 줘!"

이것은 단순한 목적지를 말했다기 보다는 아이들이 원하는 모험에 대한 간절함을 찾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처음에는 두려움으로 비밀의 문으로 들어선 아이들이지만 모험을 바라는 아이들의 마음과

무한한 상상력이  함께 통했기 때문에 그 배가 항해를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마음 조이고 함께 그 문을 들어가고자 하는 책을 읽는 아이들의 마음까지 합쳐져서 말이다.

그랬기에 이 아이들의 눈앞에 다시 새로운 문이 나타난 것 같다.

판타지 소설의 주인공이 되어서 모험을 떠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에 책을 읽는다는 딸아이의 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 이들의 눈앞에 나타난 새로운 문을 보면서 무한한 상상력을 지니고 있는 아이들의 모험에 동참하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 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