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리처드 도킨스 자서전 - 전2권
리처드 도킨스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이기적 유전자'의 세계적 과학자 리처드 도킨스의 자서전>

 

사실 자서전을 그리 즐겨 읽는 편은 아니다. 어딘지 모르게 딱딱한 느낌도 있고 너무 주관적으로 흘러서 거부감이 드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리고 유명한 사람들의 자서전은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대필해서 쓰는 경우가 특히나 많으니 말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경향이 더 많다고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

고민하던 중에도 리처드 도킨스라는 이름만으로 덥썩 그의 자서전을 읽기로 마음 먹었다. 어디선가 한번쯤 들었음직한 그의 이름, 그리고 읽어보지는 못했어도 너무도 익숙한 저서명 <이기적 유전자> 그리고 또 하나 자서전에 나온 사진을 순간 프랑스의 유명한 배우 알랄들롱으로 착각할 정도였다. 수려한 외모까지 갖춘 세계적인 과학자.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어머어머한 분량의 자서전을 겁없이 덥썩 건드리기 시작했다.

 

 

겁을 먹으면서 읽기 시작한 어마무시한 분량의 리처드 도킨스의 자서전을 그동안 자서전에 가지고 있던 편견이 사라질 정도로 아주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혔다. 간혹 중간중간 모르는 과학적 이야기가 전문적이고 길어지면 중간중간 딴짓을 하고 싶기도 하지만 이렇게 술술 읽히는 자서전일 줄은 몰랐다. 그무엇보다도 과학자라고 해서 지루하고 딱딱한 사람이 아닐까 했는데 리처드 도킨스라는 사람은 위트를 겸비하고 대중과 말하는 방법을 아는 재미있는 사람이었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출간된 즉시 세계적인 반향을  불러일으켰다고 한다.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유전자의 관점에서 진화에 대한 이야기를 펼쳤다고 한다. 종교적인 탄생론을 벗어나 과학자의 관점에서 동물의 진화를 유전자와 연관지어 이야기한 <이기적 유전자> 저자 역시 이 책의 탄생이 자신의 인생에 가장 큰 변화를 준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1권을 유년시절부터 35세 <이기적인 유전자>를 탄생시킨 때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2권에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으면서 지금까지 그의 생에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성장하는 과학과 과학자들의 이야기로 채워졌다.

 

 1권은 유년기부터 35세까지의 시절을 다루고 있기에 어떻게 리처드 도킨스가 성장햇는지 성장사에 중점을 두고 있다. 누군가 나이 70이 되어서 "나의 어린시절은..."이라고 말하고자 한다면 추억의 장을 더듬으면서 간혹 환상과 군더더기를 덧붙여 말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도킨스 참 재미있는 사람이다. 살짝 자신의 과학적인 재능을 가진 유전자를 일러주기 위해서 보통 사람들은 나열하지 않는 족보 형식의 집안사를 도표로까지 나열해서 호기심을 갖게 하고 지금은 아득한 흑백의 옛날 사진도 거침없이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진에 매료되는 이유 중 하나는 그가 태어났던 곳이 영국이 아닌 아프리카의 캐냐라는 점, 그리고 그의 유년 시절 대부분을 이곳 자연에서 보낼 수 있었다는 점때문이기도 하다.

누구나 이러한 유년시절 때문에 당연히 그가 동물들에 대해 관심을 가졌겠지 하겠지만 그는 유유히 자신을 그렇지 않다는 말도 덧붙인다. 동물들을 보면서 환호성을 지르는 어른들 사이로 자신은 장난감 자동차에 빠져서 고개조차 들지 않았다고 말하니 말이다. 그러나 그걸 누가 믿겠는가? 특별한 곳에서의 유년시절 그리고 부모의 관심사는 그에게 고스란히 영향을 주었고 영국에 와서도 그가 동물학을 전공하는데 중요한 부분이었으리라.

옥스포드 대학 시절의 튜터과정 이야기도 인상적이다. 이 과정은 쉽게 말하는 우리나라의 주제학습 같은 거랄까? 일방적으로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 형식이 아니라 하나의 주제에 맞춰 심도있게 조사하고 정리하고 발표하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과정은 분명 조사한 부분에 대한 전문성도 획득하게 되고 그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기도 하니 말이다.

 

그가 글을 쓰게 된, 정확히는 <이기적 유전자>가 탄생하게 된 배경도 재미있게 표현되어 있다. 집필을 위해서 탄생한 책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말이다.

2권은  <이기적 유전자>로 인해 과학자로써의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도킨스의 삶이 펼쳐진다. 70세의 생일에 100여명이 넘는 지인들과 함께 하는 그의 기억은 부러움을 자아낼만도 하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로부터 그의 탄생을 축복받는다는 의미도 되니 말이다. 도킨스가 과학자로써의 삶을 살면서 자신에게 영향을 주었던 과학자, 교수, 친구와 동료들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하다.

 

당연히 사진도 유년시절이나 젊은 시절의 사진이 아닌 저명인사로 활동하면서 찍힌 사진들이 많다. 원래 영국에는 이 두 권의 자서전이 한꺼번에 출간된 것이 아니라 2013년과 2015년에 출간되었으니 2년의 텀이 있었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동시에 두 권을 보니 마치 타임슬립을 하듯 그의 어린시절과 지금의 모습을 동시에 보니 세월의 흐름을 동시에 느끼게 되는 듯하다.

2권에서는 아무래도 <이기적 유전자> 다음에 나오는 그의 저서에 관심이 갔다. 2006년에 출간된 <만들어진 신>은 신의 부재를 과학적이 논증을 통해서 증명하는 책이었으니 얼마나 센세이션을 일으켰을까? 사실 우리는 신과 종교가 세계적인 전쟁의 중심에서 올바르지 못하게 우위시 되는 경우도 적지 않게 보아오지 않았던가? 모든것을 신의 이름으로 하기에는 우리는 너무 많이 진화해 버렸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이기적유전자에 의해서 살아남은 지금의 세대에게 도킨스는 과학과 진화라는 것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책을 읽는 내내 그의 자신감과 위트, 세상을 대한 방식에 매료되지 않을 수 없었다. 거만하지 않지만 자신이 할 말은 다 하고야 마는, 조롱하거나 무시하지는 않지만 아닌 것에 대해서는 적나나하게 반박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리처드 도킨스. 처음 표지에서 그의 모습을 보고 반해버렸는데 책을 읽고 난 다음에는 더 반하게 되니 말이다.

 

그의 자서전을 통해서 역으로 그의 저서를 읽고 싶어졌다. <이기전 유전자>부터 시작해서 그가 말하는 진화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고 싶어진다. 더불어 영혼의 쌍둥이라는 평을 들었을 정도로 잘 만들어진 독일어판 자서전이 있고 가장 최악이라는 평을 들었던 스페인어판의 이야기를 얼핏 들었는데 한국어 번역판은 어느정도 인정을 해줄까 갑자기 궁금해진다. 나로써는 그의 기억에 남을 만한 번역본이 되었으리라 생각하는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