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몬이 가득한 책장 ㅣ 라임 청소년 문학 23
조 코터릴 지음, 이보미 옮김 / 라임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제목과 표지를 보면 정말 레몬처럼 상큼한 이야기가 당장이라도 쏟아질 것만 같다. 책장에 고리타분한 책들이 가득한게 아니라 레몬이 가득하다면
얼마나 재미있을까 생각도 하면서 말이다. 게다가 책 표지에 있는 두 소녀는 나무위의 집에 앉아서 책과 레몬이 주렁주렁 달린 나무를 보고 있으니
이런 상상을 하게 된다.
책속의 주인공 칼립소는 표지에서 보았던 두 소녀 중의 하나일 게다. 그 누구보다 책을 좋아하고 사랑하고 그래서 책 속에 빠져사는 아이.
좋은 걸까? 책을 좋아하는 건 좋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문제는 칼립소가 너무나 책 속의 세상에만 빠져서 산다는 것이다. 전학을 온 메이라는
친구가 먼저 칼립소에게 다가가 이야기를 걸때 칼립소는 오히려 당황한다. 그만큼 아이들과 교류가 없었기에 어찌할 바를 모른셈이다.
칼립소의 이야기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소녀에게 어떤 일이 있었길래 학교에서 친구 하나 없이 외톨이가 되어서 책 속의 자기세상에만 빠져서
사는 아이가 되었을까? 칼립소처럼 칼립소의 아빠 역시 글을 쓰는데 몰두해 있다 . 자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일처럼 말이다. 이
부녀에게 뭔가 평범하지 않을 일이 일어났다는 것은 엄마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칼립소에게는 엄마가 없다. 먼저 하늘나라로 떠난 엄마.
그리고 엄마의 부재 속에서 부녀가 찾은 방법을 책속에 빠져 사는 것이었다.
그런 칼립소는 자신의 문제를 전혀 모른다. 그러나 친구 메이를 통해서 평범한 메이의 가정을 접하고 그러면서 자신의 변화를 조금씩 느끼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난생 처음으로 누군가를 자신의 집으로 초대해서 가장 자신이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는 공간인 엄마의 서재를 보여주기로 한
것이다. 책으로 가득한 엄마의 추억이 가득한 그 공간을 말이다. 그런데 엄마의 서재에는 책 대신 레몬만 가득할 뿐이다. 도대체 왜?
대신 레몬을 채워둘 곳이 없어서 엄마의 책을 창고로 보내고 아빠는 레몬을 채웠을 뿐이라고 하는데 칼립소에게는 청천벽력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다. 엄마의 분신이 사라진 것이나 마찬가지였으니 말이다. 결국 아빠와 칼립소는 주위의 도움을 받아 자신들의 닫힌 마음을 치료하는데 한걸음
나아가게 된다.
사실 누구나 다 평범하게 살 거라고 생각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저마다의 가정사가 있기 마련이다. 칼립소 역시 자신은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고 생각하지만 상처받는게 두려워서 주위사람들과 교류하지 않고 지냈던 것이다. 때로는 자신의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오히려 더 잘못된
방향으로 나갈 수도 있다. 왜냐하면 사람은 혼자서는 살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과 어울려 살지 못하면 결국 외로움의 나락에서 괴로움을 견뎌야
한다는건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레몬이 가득한 책장은 엄마의 부재로 인해 닫힌 마음으로 살았던 부녀에게 이웃과의 교류를 통해서 한걸음 세상으로 나가는 이야기를 들려주었기에
어둡지 않은 결말이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