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자베스가 사라졌다
엠마 힐리 지음, 이영아 옮김 / 북폴리오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실종과 치매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
너무나도 이쁜 핑크색의 표지 속에는 정각할 액자와 추억을 더듬는 듯한 레코드판, 통조림,
사과 이런 것들이 그려져 있다. 이쁜 표지의 색상 속에서 연애소설도 떠올릴 법도 한데 문득 섬뜩해재는 건 사라졌다는 것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실종이 이 책에서 아주 큰 사건이 된다.
주인공은 82세의 치매노인 모드.
치매로 조금씩 기억을 잃어가고 가끔은 딸과 손녀도 못알아보는 지경까지 가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드는 뭔가를 계속 메모하고 정리하려고
애쓴다. 기억을 잃어가는 와중에 모두가 잊지 않고 다시 생각해 내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친구인 엘리자베스의 실종이다. 어느날 갑자기
엘리자베스가 사라졌다는 것을 감지하는 순간 모드는 모든 기억을 엘리자베스를 찾기 위한 것으로 응집하려 한다. 그런 와중에 묘하게도 과거 70년
전의 기억이 스물스물 기어나오기 시작한다. 2차대전이 끝나고 모드의 언니인 수키가 돌연 사라진 것이다. 현실에서의 엘리자베스의 실종과 과거
70년 전의 언니 수키의 실종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일까?
책을 읽으면서 처음에는 사라진 엘리자베스를 찾을 수 있을까? 사라졌다면
범인은 누굴까를 생각했지만 점점 더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것은 모드를 둘러싼 상황의 변화와 가족의 반응이다. 모드는 치매에 걸려 점점 기억을
잃어가고 있는데 작가는 잃어가는 기억의 나열을 현재와 과거의 기억을 오가면서 묘하게 교차시키고 뒤섞고 있다. 읽는 도중에도 어느 부분인지 혼동될
정도인데 바로 그런 부분이 주인공인 모드가 겪는 변화의 과정을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된다. 생각의 혼동, 기억의 혼동은 물론 그런 자신을
인지하고 있기에 생기는 불안감이 작품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치매 당사자인 모드 곁에 있는 딸을 통해서 치매 가족이 겪는 힘든 상황도 보여주고
있다. 남의 일로 들을 때는 어렵겠다 정도지만 현실 속에서 이런 경우는 겪게 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딸 헬렌만큼 묵묵히 지켜봐 줄까?
치매에 걸린 모드의 기억을 따라 엘리자베스와 언니 수키의 실종 사건을 파헤치기 때문에 혼란스러움과 동시에 더욱 미스터리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 같다. 처음에는 진실에 대한 호기심이 강했지만 나중에는 사건의 해결보다는 모드 인생에 있어서 가장 아프게 남아 있는 상처가
보여지게 된다.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원치 않는 모습으로 기억을 잃어가면서 오히려 집착하게 되는 기억은 인생에게서 가장 잊고 싶은 아픔이다.
마음 속에 남는 아픔이 밀려오게 되면서 원치 않아도 현실과 과거를 동일시 하게 된다는 것을 엿보게 된다. 엘리자베스의 실종을 통해 모두가
해결하고 싶었던 기억의 순간이 무엇인지 우린 한번쯤 생각해 보게 된다. 그리고 노령화 사회가 되어 가는 현실에서 내게도 있을 수 있는 치매에
대한 생각도 동시에 해보게 된다. 표지에서 받았던 이미지와는 달리 작품이 결코 가볍지 않다. 현실과 연관성도 깊기에 많은 걸 생각해 보게 되고
무엇보다 작가의 뛰어난 치매 표현력에 작품에서 의미하는 실종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