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이런 가족
전아리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의 그림과 제목을 보는 순간 제일 먼저 드는 이미지는 단절감이다. 각각의 틀에 갇혀서 서로 소통되지 않는 가족의 이미기자 삽화에서도 바로 드러나는 듯했다. 책의 띠지 역시 "모두 나가 주세요, 혼자 있고 싶어요."라는 문구에서 단절된 가족의 이야기라는 걸 확신하게 된다. 제목처럼 이야기 속의 가족은 '세상에 어쩌다 이런 가족'이라는 말이 절로 나올 법한 흔하지 않은 다소 막장 분위기가 느껴지는 가족 구성원이었다.

우선 작가에 대해서 살펴보니 작가의 작품 중에서 아주 익숙한 작품이 있다. [김종욱 찾기]가 바로 작가의 작품이라니~~영화로 연극으로 유명한 작품의 원작이 있었다는 걸 모르고 있었다. 나로써는 처음 접하는 전아리 작가의 작품인데 인물별로 챕터를 설정해서 그 사람의 시각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이 인상적이었다. 한편으로는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개개인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나 할까? 잘 나가는 상류사회의 집안의 콩가루 같은 면모를 한꺼번에 맛본 작품이라고 해야겠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묶였지만 가족같지 않은 가족.

사업가로 명성을 날리는 아버지와 미술에 관심이 있고 우아함을 유지하고 있는 어머니, 그리고 잘 자란 두 딸. 딱 여기까지만 보면 남들에게 훌륭한 가족으로써의 조건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사람 사는 것은 것모습만 보고는 알 수가 없다. 다 보통 사람처럼 잘 살고 있을 줄 알았는데 속을 들여다보면 여기저기 곪아 있는 나름의 상처가 있는 법이다. 이 가족에게도 이러한 곪은 상처는 예기치 못한 사건을 시작으로 드러나기 시작한다. 냉냉하고 대화라고는 없던 가정에 풍파를 던진 건 큰딸이다. 자신의 성관계 동영상이 유출되었다는 청천벽력같은 상황을 알린다. 명성있는 아버지나 우아한 기품을 유지하는 어머니 , 자유분방하게 사는 둘째 딸, 모두 자신의 명성에 금이 갈까 머리를 맞대로 사건을 해결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이들의 행동은 조금 의아했다. 지금까지 서로의 일상을 살고 단절되었다고 해도 이쯤 되면 서로 상의라는 것도 할법한데 모두 자기만의 방식으로 문제를 회피하거나 해결하려고 했다.

가족이라면 가장 중요한게 대화가 아닐까 싶다. 대화라는 것 없이 눈빛으로만 서로 이해한다는거 , 가족이기때문에 말하지 않아도 안다는거 모두 힘겨운 말이다. 이 가족의 경우도 우아한 금수저 가족이라는 설정을 유지하면서 살다가 큰딸의 일을 계기로 나중에는 병원에서 고성방가를 하면서 싸우는 장면이 오히려 속이 뻥 뚫리고 제대로 속을 드러낸 거 같아서 시원하기까지 하다. 진작 이랬어야지. 때로는 소리도 지르고 그러면서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 가족에게도 이런 시간이 필요한데 말이다. 혈연으로 묶였다고 해서 가족이 되기는 하는데 단란한 가족은 그냥 되는게 아닌 거 같다. 이런 가족이 어디 있어?라고 하면서도 사람들이 사는 속사정은 모르기때문에 혹시도 있을지 모를 이런 막장 가족을 보면서 가족이라고 다 그냥 가족이 되는게 아닌가 보다 싶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