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 나의 고전 읽기 1
손택수 지음, 정약전 원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자산어보를 원전 그대로 번역해 놓았다면
그 글을 흥미롭게 다 읽어나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만나게 된 [바다를 품은 책 자산어보]는
딱딱한 고전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서
풀이했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주고 싶다.

손암 정약전은 다산 정약용의 형이기도 하다.
그가 섬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관심을 갖고 있던
바다생물에 대한 총서라고 할 수 있는 자산어보는
사실은 물고기에 대한 관심으로만 만든 책이 아니다.
그가 유배생활을 하면서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섬세한 관찰력을 지니고 있는 장약전이라고 하더라도
섬사람들의 생활에서 우러나온 그 삶의 지식을 다 능가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섬사람들의 조언이랄까? 그 사람들의 말도 귀담아 들으면서
자산어보를 한 자 한 자 만들어 나갔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이런 손암의 마음을 십분 이해하고 있는 듯 하다.
시인이기도 한 지은이는 정약전의 자산어보를 소개하면서
나름대로 그 물고기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자신의 생각이나
그와 연관된 시를 인용하는 등 글을 서정적으로 쉽게 풀어나간다.
그래서 단순히 물고기에 대한 백서를 대한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는다.
또한 초등고학년 정도인 아이들에게도
조금은 어렵지 않게 다가갈 수도 있겠다 싶다.

섬세한 물고기 그림이 들어가 있어서 물고기 백과사전을 찾는 느낌도 주면서
한 편의 수필을 대하는 듯한 느낌으로 [자산어보]라는 고서를 읽을 수 있었다.
또한 책의 부록으로 자산어보에 ™換?바다 생물 목록도 읽는 재미가 있다.
정약전의 명명과 속명, 차자한 속명, 현대 어명이 모두 담겨 있어서
같은 물고기라도 정약전이 자신의 아이디어와 느낌으로 지은 이름과
섬마들 사람들에게 불리던 물고기의 이름을 비교하는 재미말이다.

머나먼 유배지에서 바다를 벗삼아
이렇게 섬세한 글을 남긴 정약전을 생각하면
그의 세밀한 관찰력과 강한 인내심을 느끼면서 또한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이렇게 쏟아부으면서 쓸쓸한 마음을 달랬을
그의 아픔도 느껴지는 듯 하다.
[바다를 품은]이라는 말 속에 정약전의 그 마음이 다 담겨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