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거릿 미드 - 지평선 너머를 꿈꾼 문화 인류학자 여성 인물 이야기 8
사비나 콜로레도 지음, 이현경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마거릿 미드...문화인류학자..
모두 익숙하지 않은 낮선 말들이다.
책을 읽기 전까지 마거릿 미드에 대한 정보라고는 문화인류학자라는 것이다.
대학에서 문화인류학 강의를 들은 적은 있지만 기억에 많이 남지는 않는다.
감동을 주는 배움?이 아니라서 기억에 없는건지...

책의 구성이 독특해서 흥미롭게 단숨에 읽은 책이다.
뉴기니의 사구라는 여인과 미국의 마거릿 미드를 교차하면서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방식이 흥미로웠다.
서로 다른 곳에 살고 있는 두 여인이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사건으로 겪는 삶의 모습을 번갈아 보는 재미가 있었다.
내 경우는 마거릿 미드보다는 사구의 삶에 더 관심이 갔다.
문명이 발달한 곳에서 보다 더 여인의 삶이 종속적인
아프리카의 밀림 지역 부락에서의 여인의 삶과 사랑에 말이다.
이야기 속에서 각자의 삶이 교차되다가
마지막 부분에서 마거릿 미드가 뉴기니에 연구를 위해 정착하면서
두 여인의 운명적인 만남이 시작된다.
그렇게 서로가 원치않더라도 운명처럼 끌리는 힘에 의해
마거릿 미드는 여자의 삶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를 하는가 보다.

강인한 성격을 가진 마거릿 미드의 모습은
그녀의 어린시절과 결혼생황에서도 느껴진다.
순종적이기보다는 개척하려하고 의문을 던지고 해결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탐구의 힘과 인간에 대한 관심이
그녀를 세계적인 인류학자가 되도록 한 듯한다.

인간에 대한 관심이 결여된 의사 소통이 단절된 인간관계란
과연 가능한 것일까? 말이 오간다고 과연 교류가 되는 것일까?
사회속에서 규정지어진 틀대로 따라가기 보다
왜라는 의문으로 여성들에 대한 인권과
청소년기에 갖는 갈등을 연구해 나간 그녀의 노력에 감탄하게 된다.

내 경우를 생각해 보면 자녀와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가 한번 묻게 된다.
교감이 아닌 일방적인 지시로
내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고는 있지 않는지 말이다.
거창하게 문화인류학을 말할 수는 없지만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인간에 대한 예의도 생각해 본다.
결국은 사회란 나와 인간의 관계로 형성되니까 말이다.

자신의 삶 속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인류의 삶에 대한 관심으로 평생을 산 마거릿 미드의
넓은 인생의 관점에 존경심이 간다.

책 속에서는 마거릿 미드의 삶이 자세하게 그려져 있지 않고
연구 과정에서의 여러가지 갈등도 많이 생략되어 있지만
두 여인의 삶을 교차시킴으로써 아이들에게는 흥미롭게 접근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