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애 마지막 그림 - 화가들이 남긴 최후의 걸작으로 읽는 명화 인문학
나카노 교코 지음, 이지수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6월
평점 :
<새로운 분류로 명화 보기>
제목만 보고 화가의 마지막 순간에 그린 그림들에 얽힌 이야기가 펼쳐지려나 생각했어요.
우리가 전시회에 가서 그림을 보면 사실 그림 자체에 대한 감상보다는 도슨트 설명을 통해서 그림에 얽힌 이야기나 화가의 이야기에 관심이
더 가는게 사실이죠. 혹은 그림을 보더라도 그림에 대한 해석이 있으면 더 재미있고~
저자는 그림을 소개함에 있어서 어떤 기준으로 소개하는지 밝혀주고 있네요.
서양회화사에서는 보통 시대를 구분해서 소개하고 있는데 저자는 이러한 일반적인 시대사 구분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소개하고
있답니다.
'화가가 무어을 그려왔는지, 삶의 마지막 순간에는 무엇을 그렸는지]로 나누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는 '화가가 왜 그것을 그릴 수
밖에 없었나'라는 질문과 일맥상통합니다
-책의 서문 중에서 -
책의 구성은 총 3부로 신에 몰두한 화가, 궁증화가, 시민을 가까이 한 화가로 나뉘어 있답니다.
종교적인 그림과 왕족을 그린 그림, 그리고 민중을 담은 그림이 순차적으로 소개될 거라는 감이 오네요.
아무래도 지금 우리시대에서는 마지막 3부가 가장 와닿기는 할 듯하네요.
신을 그린 화가로 소개되는 인물은 보티첼리, 라파엘로, 티치아노, 엘 그레코, 루벤스가 소개되고 궁정화가로는 벨라스케스, 반다이크,
고야, 다비드, 비제, 그리고 마지막 민중을 담은 화가는 우리에게 친숙한 고흐, 밀레, 브뤼헐 등이 소개되네요.
책을 보면서 재미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에요.
화가와 화가의 시대와 주변의 정세, 혹은 특징에 대한 기술이 상당히 많은 편이에요. 작가를 둘러싼 주변 정세를 이해하면 그가 마지막에
가까이 하게 된 그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네요.
그런 다음 한두 가지 그림에 대해서 펼친 큰 그림으로 보면서 작품에 대한 섬세한 설명을 한답니다.
특히 종교적인 그림이나 신화를 담은 그림에서는 이런 그림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 귀퉁이에 숨은 그림의 의미까지 알게 되니 재미있네요.
얼마전 중앙박물관의 루벤스 전에 가서 보았던 브뤼헐의 그림을 책에서 또 만나게 되네요.
그림을 보고 와서 그런지 작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이 더 귀에 쏙쏙 와닿는 것도 있어서 재미있게 읽었어요. 명화에 대한 설명은 다방면으로
많이 접할 수록 그림에 대한 이해도 함께 생기는 거 같아요. 흥미롭게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