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취미는 전시회 관람 - 대림 미술관 수석 에듀케이터가 알려주는 미술관 사용
한정희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에듀케이터를 통해 배우는 쉽고 재미난 미술관 활용법>
특별한 전시회가 없으면 미술관을 그리 자주 가는 편은 아니다. 가만 생각하니 올해 미술관 관람을 그래도 한달에 한차례 정도는 다녀온 듯하다
개인적으로 영화관에 비해서 미술관은 자주 찾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가 뭘까 생각하면 그림에 대한 친숙함 또는 전시회에 대한 친숙함이 부족한 탓인
듯하다. 구지 핑계를 대자면 주입식 교육에 익슥한 탓에 전시회를 가서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작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흥미가 떨어지는
이유가 있기도 하고 그로 인해 전시회를 찾는 부담감이 있기도 하다.
가장 최근에 이런 전시회라면 정말 독특하다. 라고 느낀 전시회가 있다. 바로 대림미술관의 전시회가 그러하다. 대림미술관은 친구와 두 가지
전시회를 관람했었고 모두 두 차례 이상 관람을 했다. 작년 헨릭 빕스코브와 린다 메카트니의 사진전이다. 미술관으로 찾아가는 길에서 만난 커다란
사진이나 독특한 구성, 도슨트의 설명, 작품 배열 등이 아주 인상적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덕분에 다녀와서 애들을 데리고 가서 일부러 보여주는
노력도 해본 곳이다.
이번 책은 대림미술관의 에듀케이터가 작가란다. 우선 대림미술관?이라는 말에 혹 했고 두번째는 큐레이터가 아닌 에듀케이터라는 생소한 단어에
혹했다.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된 사실이 참 많은데 우선 에듀케이커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큐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작품 전시에 대한 고민을 한다면 에듀케이터는 관객과 작품이 친해지는 방법을 연구하는 직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미술관에서 흔히 만나는 도슨트 역시 에듀케이터의 연구 중의 하나이다. 도슨트 투어, 오디오가이드, 작품에 대한 토크, 어린이 프로그램과 같은
것이 모두 작품과 관객을 친해지도록 도와주는 에듀케이터의 연구산물인 것이다.
그런 의미네서 대림미술관의 에듀케이터에 대한 신뢰는 높아진다. 내가 가본 미술관 중에서 가장 관객과의 허물을 없앤 곳으로 기억되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러한 자신의 여러 노력이나 혹은 일반 관객이 전시회에 대한 부담을 덜고 다가갈 수 잇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아주
기초적으로 미술관이나 갤러리(화랑)에 대한 차이부터 조근조근 알려주고 있다. 미술관을 찾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정보도 물론 실려있다.
개인적으로는 그림을 보다.로만 표현하는 것이 아니는 작가의 설명이 너무도 마음에 든다. 어려운 미술관이 아니라 친근한 미술관으로 만들고자 하는
저자의 노력이 책 곳곳에 드러나 읽는 이로 하여금 그 의도를 충분히 찾을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에 추천하는 미술관 열 곳이 잇는데 외국은 가기 힘들다 하더라도 한국에 소개된 두 곳은 꼭 가봤으면 한다. 개인적으로 대림미술관은
가봤지만 한남동의 디 뮤지엄은 아직 가보지 못했기에 조만한 꼭 한번 들러보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