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를 낳아도 행복한 프랑스 육아 - 유럽 출산율 1위, 프랑스에서 답을 찾다
안니카 외레스 지음, 남기철 옮김 / 북폴리오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부모가 행복해야 아이도 행복하다>
아이를 키우는 대한민국의 부모들이라면 모두 한결같이 아이 키우기 힘들다는 말을 한다. 아이는 사랑스럽지만 아이키우기는 힘든 나라가 되어
버린 대한민국. 경제적으로 힘들어지면서 젊은이들은 연애를 하는 것도 결혼을 하는 것도 아이를 낳는 것도 모두 두려워하게 되었다. 포기하면서
살아야 하는 것이 많아진 사회가 되어버린 지금 시점에서 아이를 낳아도 행복한 프랑스라는 제목만으로도 호기심이 당겼다. 예전에는 프랑스가 가장
출산률이 가장 낮은 나라에서 어떻게 지금 이렇게 바뀌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책표지에 적힌 문구가 유독 눈에 들어온다 . '완벽한 부모가 되려고 애쓰지 않는다','아이 때문에 일과 취미를 포기하지 않는다' 이 두
문구만 봐도 우리의 현실과는 완전히 다르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경제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아이 낳은 것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유 외에도
아이를 낳는 순간 자신의 삶이 없어지기때문에 두려워하는 것도 이유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육아를 하면서 갖는 어려움이 프랑스에서는 분명 극복이
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저자 외레스는 독일인이지만 일과 생활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 남편과 프랑스로 이주했다고 한다. 만약 자신이 프랑스에서 살기 때문에 육아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두 아이를 낳아서 행복한 육아와 자신의 일을 병행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과연 프랑스에서 육아를 위해서 어떤 정책을 펼치고
사람들의 사고는 어떻게 다를까?
우선 가장 인상적인 것은 프랑스 정부에서는 아이가 태어난 시에서 아이의 육아를 책임진다는 것이 사회적 합의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저출산의
가장 큰 고민인 부모의 육아부담을 시에서 함께 해결한다는 것이다. 아이를 낳았으니 부모가 알아서 책임지고 키워라가 아니라 사회가 함께 키우는
것이다. 우라나라의 경우도 아이를 낳으면 직장을 그만두거나 혹은 육아를 해결하지 못해서 많은 돈을 들여서 육아시설에 아이를 맡겨야 하는게
보통이다. 또한 아이를 키우면서 부모는 슈퍼맨이 되어야 한다. 학교나 어린이 집에서는 부모의 참여를 당연히 하면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적지
않다. 사실 급식이나 녹색어머니를 하기 우해서 돈을 주고 사람을 사서 보낸다는 이야기도 적지 않게 듣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육아 때문에 자신이
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도록 사회적 시스템이 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단순히 돈으로 지원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육아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는 것이 현실적이고 믿음이 간다.
우리나라에서 출산장려정책으로 아이를 낳으면 돈을 주고 어린이 집 지원금을 주고~그러나 지금은 지자체에서 알아서 하라고 발을 빼거나, 아이들
무상급식을 하면서 부당하다고 하기 일수이지만 프랑스의 경우는 오히려 사회가 나서서 아이들의 밥상도 챙기고 부모가 일을 할 수 있도록 늦게까지
어린이집에서 아이를 돌봐주기도 한다. 일시적으로 돈을 지원해주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적으로 안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겠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의 인식변화이다. 우리는 자식을 위해서는 부모가 희생해야 한다는 인식이 어딘지 모르게 있다. 그래서 내 옷을
사기보다는 아이의 교육비에 더 투자를 하고..그러나 프랑스에서는 부모 자신을 막내 자녀처럼 생각한다. 그처럼 자식을 사랑하듯 자신의 삶도
사랑하는게 일반적이다. 결국 부모가 생복해야 아이도 행복하다. 육아가 고통이 되고 자신의 삶을 희생하는게 아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자라서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을 갖는 것이 부모의 자랑꺼리가 되지 않는 것도 자연스럽다. 우리는 자식이 잘 커야 부모의 자랑이 되고 성공한
부모의 삶이 된다는 인식부터 바뀌어야 할 필요도 있다.
자식과 부모가 종속의 관계가 아니고 누구의 희생이 아닌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 그렇기에 부모도 자식을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고 삶을
이애하는 것, 이러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을 프랑스 국가에서 조성해 주는 것이 프랑스 육아를 행복하게 하는 것 같다. 부럽다.
이러한 사항을 모르는게 아닌데 우리나라에서도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고민하고 실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