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딸, 평강 높은 학년 동화 15
정지원 지음, 김재홍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자립적인 여성으로 새롭게 바라본 평강]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울보 평강공주가 바보 온달을 만나서 온달을 장수로 내조하는 듯한 이야기를 주로 알고 있는 게 사실이다. 나 역시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거슬러서 책을 찾아보면서 읽지는 않았었다. 그러면서 이  이야기 속에서 어쩐지 주는 온달이고 부는 공주같은 느낌을 지울 수는 없었다. 온달이 있기까지 평강공주의 역할이 크지만 그래도 피동적인 느낌이 드는건 어쩔 수 없다. 그런 생각이 드는 사람들에게 새롭게 평강 공주를 바라보게 하는 책이 나와서 너무 반갑다.

이미 알고 있는 명작이나 고전을 가지고 모든 사람들이 평준화 된 듯이 받아들이는 사실 외에 새롭게 보는 안목이 늘 필요하다고 생각했기에 더 반가운지 모르겠다. 늘 울기만 하던 평강공주, 어려서부터 부모가 놀림처럼 온달에게 시집보낸다는 말을 따르기 위해서 온달에게 시집가서 내조만 하는 평강공주가 아닌 새로운 평강을 만나는 건 정말 즐거운 일이다.

고구려의 평범한 온달청년의 순수한 모습을 보고 결혼을 결심하게 되는 평강공주, 그녀는 온달을 장수로 만드는데 톡톡히 한 몫을 한다. 온달이 장수가 되어서 이름을 떨치다가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는 것까지는 알고 있다. 그 이후의 평강의 삶에 대해서 작가의 상상력이 덧붙여진 대목이 평강의 자립적인 위치를 더 높여준다는 생각이 든다. 평강은 온달이 죽은후 분명 절망적인 나날을 보낼을 테지만 좌절하지 않고 고구려의 아이들을 돌보는 진정한 어머니가 된다는 것이 바로 이 이야기의 결말이다. 새롭게 태어난 태양의 딸 평강을 읽고 나면 더 이상 평강공주는 울보 공주도 아니고 온달만 바라보는 수동적인 여인도 아니다. 분명 강인한 어머니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여성으로 인식된다. 저학년 때야 이런 저런 이야기를 섭렵하는데 급급하다면 고학년이 되면 이렇게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을 길러주는 작품을 많이 대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