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과학자 이야기 1 - 아르키메데스에서 스티븐 호킹까지
김태일 지음, 김명호 그림 / 파랑새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원리를 설명하는 삽화와 상식으로 만나는 과학릴레이]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는 과학자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는다. 그렇지만 과학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은 과학자에 대한 관심도 멀어지는 것 같다. 과학을 좋아하지 않더라고 과학자에 관심을 갖도록 하려면, 과학자를 과학이 아닌 인물이라는 점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경우는 과학자를 설명하되 과학사적인 구분보다는 그 과학자가 가지고 있는 생활의 원리에 근접해서 이야기를 푸는 특징이 있다.

우선 책의 구성 상으로 보았을 때, 해당 과학자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는 원리 중심으로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런 구성이야 많이 봐오기는 했지만 이 책에서는 삽화가 가지는 힘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삽화에서 원리를 설명하는 부분의 보조적인 역할을 많이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책을 읽어나갈 때 삽화가 주는 도움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책에서 설명하는 과학적 원리가 아주 간단하지 만은 않기에 더욱 그렇다.

과학적 지식과 이해력을 고려한다면 초등 중학년 이상의 아이들에게 적합한 책인 것 같다. '과학자 돌아보기'와 '과학지식을 내 것으로'는 한 명의 과학자 이야기가 끝날 때마다 주어지는 지식 정리페이지이다. 과학자 돌아보기를 통해서 본문의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지 점검하고 과학적 정보를 다시 한번 접하게 되는 것 역시 이 책의 특징이다.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 선생님 3인방이 쓴 릴레이 과학이야기'라는 카피에 걸맞게 첫 권의 저자는 제목을 들으면 아하~~할 정도의 책을 쓴 저자이다. 나 역시 작가의 책을 읽으면서 과학을 이렇게 재미나게 풀 수 있구나 여겼으니 말이다. 아이들은 참 좋겠다. 어려운 과학을 이렇게 다양한 방법으로 만날 수 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