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뷰티 - 어느 말의 자서전
애너 슈얼 지음, 홍연미 옮김, 찰스 키핑 그림 / 파랑새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인간이 아닌 동물의 입장에서도 생각해 보겠구나]

안나 스웰이라는 작가는 내게 익숙하지 않다. 오히려 이 책의 삽화를 그린 찰스 키핑에 대해서 조금 더 알고 있을 뿐이다. 말의 자서전이라는 작은 부제가 독특하게 다가와서 책을 살피고 있는데 평소 책이라면 멀리 도망가던 신랑이 넌즈시 아는체를 한다. 이 이야기는 영화로도 만들어졌다고..그런가? 영화로도 만들어진 이야기라면 유명세를 어느정도 탔었던 것 같은데 내게는 익숙하지 않은 작가의 익숙하지 않은 이야기였다.

표제에서처럼 이 이야기는 어느 말의 자서전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서전의 1인칭 형식을 취하되 주체가 바로 말이 되는 것이다. 표지의 그림에도 나와 있는 검은 색의 뷰티라는 말..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책 속에서 접하는 말의 일생은 그리 순탄하지 못하다. 마장마술을 하기 위한 말이건 마차를 몰기 위한 말이건, 혹은 먹거리가 되기 위해 길러지는 말이건 모두 우리가 알고 있는 말의 삶은 피상적이었다. 블랙 뷰티를 통해서 보는 말의  삶은 일종의 나열이라기 보다는 인간이라는 거대한 대상으로부터 동물들이 어떻게 친구가 될  수 있고 반대로 어떻게 학대를 받으면서 힘들게 사는지 양자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후자 부분이 더 강하게 표출되리라는 건 읽지 않아도 짐작이 갈 것이다.

작가인 안나 스웰이라는 여인의 기구한 삶이 이렇게 학대받는 동물의 삶을 들여다 보게 한 것 같다. 만약 그녀가 남들처럼 평범한 건강을 누렸더라면 아마도 이런 이야기는 세상 밖으로 나오지 않았을 지 모르다. 혼자서는 걸어다니기도 힘든 안나에게 말은 없어서는 안될 도우미이자 친구였다고 한다. 그래서 말에 대해서 지극하면서도 관심이 높고 더 나아가 동물을 학대하는 인간들의 모습에 경종을 울리고자 한 것 같다. 책 속에서도 안나를 연상케 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블랙 뷰티에서 인상적인 부분이라면 역시 학대받는 고통속에서 지냈던 진저라는 말의 이야기를 들을 때이다. 진저는 "나도 너처럼 대우받았다면 지금처럼 되지 않았을거야'라는 말을 남긴다. 블랙 뷰티의 삶이 조금 평탄한 편이었다면 진저의 삶의 그와는 정반대이다. 아무렇지도 않게 돌을 던지면서 학대하는 아이들의 히스테리를 다 받아야 했고 무자비하게 길들이고자 하는 주인아들의 모진 매질도 견뎌내야했다. 그런 과정 속에 진저는  상처받고 인간에 대한 신뢰도 바닥이 난 것이다. 이 둘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말못하는 동물이라고 마음대로 학대하는 인간의 모습에도 분노를 느끼지만 한편으로는 인간의  삶의 단면도 오우버랩 되면서 보인다. 사랑받는 인간과 그렇지 않고 학대받으면서 자라는 인간...동물이든 인간이든 매질이 아닌  사랑을 갈구한다는 사실...

블랙 뷰티을 읽고 나면 말에 국한하지 않고 주변의 동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달라질 것이다. 말못하는 동물?대신에 저 녀석도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은 것은 아닐까?하면서 말이다. 그리고는 내 입장에서만 대하던 동물들을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횟수가 조금은 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