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벼운 공주 ㅣ 힘찬문고 35
조지 맥도널드 지음, 김무연 그림, 이수영 옮김 / 우리교육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존재의 가벼움, 무게의 가벼움-맥도널드의 판타지를 만나다]
조지 맥도널드의 명성은 판타지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판타지 소설의 3대 작품이라고 하는 [반지의 제왕]이나 [나니아 연대기]의 작가들이 모두 조지 맥도널드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 상상의 세계로 가득찬 판타지 세계 거장들이 입을 모아 말하고 있는 조지 맥도널드의 작품을 어떤 것일까?
이번 작품을 읽으면서 확실하게 느낀 것은 그가 신화나 설화에서 상당부분 모티브를 빌려온다는 것이다. 민담으로 전해지는 이야기에서도 그 모티브는 살아있다. 그는 이런 모티브에서 구조나 인물만 빌려온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일어나지 않을 법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상까지 함께 빌려온 것 같다.
이 책에서 소개된 [가벼운 공주]는 얼핏보아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비슷한 듯보인다. 그렇지만 비슷한 구조라 하더라도 이 속에 담아내는 정도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공주가 태어나자 가장 가까운 고모가 저주의 말을 퍼부어 무게가 사라지는 공주. 그리고 그런 공주를 위해 희생해주는 왕자. 거기까지만이다. 조지 맥도널드는 여기서 한층 이야기를 다른 각도에서 들려준다. 단지 괴물과 싸운 왕자의 입맞춤으로 잠에서 깨어나는 수동적인 공주를 그리는 대신에 가벼운 공주에서는 공주가 잃어가는 것들과 다신 찾은 것에 더욱 촛점을 맞춘다. 자신의 무게는 물론 진실한 마음까지 잃어가고 공중에 붕붕 떠다니는 공주가 물 속에서 자신의 무게를 찾고 행복해 하지만 이 행복을 지켜주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희생이 따라야 했다. 그 희생을 공주를 사랑한 왕자가 짊어지려고 했던 것이다. 무조건 착하기만 하고 왕자의 기다림만을 갈구하던 공주대신 자아를 찾고 사랑도 아픔도 깨달아가는 모습은 분명 색다르다. 무게감과 자아감을 동등하게 그려내는 작가의 상상력은 정말 최고였다.
다른 한 편인 [거인의 심장]은 재크와 콩나무를 연상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이를 잡아먹는 거인과 그런 거인에게 불만이 있는 아내. 그리고 거인을 골탕먹이는 아이들. 재크에서는 거인의 물건을 가져가는 정도에서만 그친다면 이 작품에서는 보다 복잡한 구조로 거인을 물리치고자 한다. 거인의 약점은 바로 자신의 심장. 약점이 심장이라니..그것도 배 밖에 있는 심장..안전을 위해 먼 곳에 맡긴 심장을 두 아이가 찾아 나선다. 이 과정에서 거미의 도움을 받는다던가 하는 부분은 지금의 판타지 소설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것 같기도 하다.
읽는 동안 따분하기 보다는 비슷한 듯한 이야기지만 새로운 각도와 상상으로 즐길 수 있었고 바로 그런 힘이 조지 맥도널드가 판타지 작가들에게 미친 영향이 아니었나 생각되었다. 판타지 소설을 너무도 좋아하는 우리 딸도 맥도널들의 작품에 푹 빠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