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신 ㅣ 파랑새 사과문고 64
김소연 지음, 김동성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8년 6월
평점 :
[역사의 한 자락을 살포시 담은 동화]
사람을 만나는데 첫인상 역할을 하는 얼굴처럼 책의 표지가 어떤가에 따라서 첫마음을 줄까 말까가 정해지는 것 같다. 아이도 나도 이 책의 표지를 보자마자 너무 이쁘다는 말을 하고야 만다. 아이가 이쁘다고 느낀 것은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소녀의 이쁜 모습이었을 게고 나 역시 그 소녀의 모습 속에서 앞으로 펼쳐질 이야기의 끈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작가보다 더 낯익은 김동성 그림작가에 마음을 빼앗기면서 펼쳐든 책이다.
표지만 보고 상상했던 것과는 다는 내용이 펼쳐졌다. 총 3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은 역사와 동화의 중간 정도의 다리에 놓여있었다. 실제?라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역사적으로 당시에 제법 있었을 지도 모르는 가상의 일들을 동화로 엮었다는 점이 이 책의 특징이자 매력이 되는 것 같다.
조선시대의 기묘사화가 있었을 무렵에 역적으로 몰린 한 집안의 이야기, 팔도를 돌아다니면서 봇짐장사를 했을 보부상들의 이야기, 그리고 다산 정약용의 유배시절의 이야기,,가 바로 동화의 모티부가 되었다고 한다. 책을 읽으면서 동화임을 알지만 당시의 역사적 상황들이 오버랩되면서 읽는 감흥을 돋우워준게 사실이다. 그럴 듯 하게 그 시절의 인물들에 동화되면서 말이다.
세 이야기의 중심은 작가의 말처럼 이들이 소중히 여기는 물건에서 중심이 모아진다. 기묘사화로 집안 가족이 뿔뿔히 흝어진 중에 아버지가 남겨준 소중한 꽃신대신 소녀가 말린 민들레를 엮어 만든 꽃짚신과 바꾸면서 좀더 강인하게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는 선예, 집안 살림을 도맡아 억척같이 돼지 구정물을 구해가면서 소중히 돼지를 키우던 덕님이는 어머니의 죽음과 함께 돼지 대신 방물고리를 사들고 보부상으로 나서게 되고, 유배와 귀양사는 선비에게 글을 배우던 큰돌이는 선비가 남긴 다홍치마를 들고 자신이 존경하는 선비를 위해 다홍치마를 소중히 받아들고 다시 선비의 딸에게 전하기 위해 길을 나서게 된다. 글의 주인공들에게 소중했던 보물은 간직하는 것으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세상으로 나아가는 하나의 힘이 되어주는 매개체로 역할을 한다. 그렇기에 책을 읽고 나면 내 인생의 매개체가 되어주는 보물은 과연 무엇인가?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읽고 책장을 덮으면 마치 시대를 거슬러 나 또한 조선의 한 자락을 밟고 온 듯한 느낌이 든다. 수많은 창작물이 넘치는 와중에 현재의 아이들 이야기 외에 시대를 거슬러 올라간 창작동화를 만나는 것은 우리 것에 대한 정서를 다시 느끼게끔 하는 것 같기도 한다. <명혜>라는 유명한 작품을 아직 읽어보지 않았지만 작가의 이번 작품을 통해 다른 작품도 한 번 읽어보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