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케인 미래그림책 33
데이비드 위스너 글 그림, 이지유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허리케인 속에서도 빛나는 아이들의 상상력]

사람이 삶을 두려워하기 시작하는 것은 철이 들기 시작하면서 즉, 어른이 되면서 부터가 아닌가 싶다. 나에게 조금은 해가 되지 않을까 하면서 이리저리 재고, 감성보다는 원칙과 원리로 따지기 시작하면서 우린 어른이 되어간다. 그렇다면 그 이전의 아이들로써의 삶을 바라보는 자세는 어떤가?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은 있지만 나에게 해가 되는지 득이 되는지를 떠나서 호기심과 무한한 상상력으로 낯섬과 두려움에 대해 맞설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어린이들의 힘이 아닌가 싶다.

어른이면서도 어린아이만큼의 기발한 상상력을 자기고 있는 유연한 작가라고 하면 1순위를 다투어 떠오르는 작가가 있으니 그가 바로 데이비드 위스너이다. 이미 [이상한 화요일]을 통해서 우리집 아이들에게는 하늘을 나는 개구리를 탄생시킨 작가로 여겨진다. 정갈하고 조금은 딱딱한 그림 속에서 도무지 나올 것 같지 않은 기발한 상상력과 위트가 그의 작품에는 넘쳐 흐른다.

집과 커다란 자동차까지 삼켜버릴 듯한 허리케인 앞에서 두려움에 떠는 어른들과는 달리 그 폭풍의 한 가운데에서도 상상의 나래를 펴는 아이들 역시 그의 작품 속에 있다. 마을에 닥칠 허리케인을 대비해서 집밖에 있던 고양이 한니발을 끌어안는 데이빗과 조지.  그 아이들은 허리케인의 한가운데서도 그 눈으로 들어가고 싶다거나 나부끼는 나뭇잎을 초록 눈보라라고 한다. 그런 아이들이 허리케인이 지난 후 이웃집 마당 한가운데 쓰러져 있는 거대한 나무를 보고는...본격적인 상상의 나래를 편다. 바로 이 순간부터가 이 작품의 진가가 발휘되는게 아닌가 싶다.

마당에 쓰러진 거대한 나무 위에서 두 아이는 정글 속 탐험대도 되고 온 세계의 바다를 누비는 해양탐험가도 되고 우주 한가운데서 별과 외계인을 탐사하는 우주탐험대도 되어 본다. 과연 그 다음은 ?? 두 아이는 이 나무 위에서라면 어디든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한대의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다. 허리케인이 가져다 준 커다란 나무는 아이들에게는 허리케인의 선물이자 자신들의 모험의 아지트인 것이다. 그런 나무가 잘리고 치워지는 실망스러운 순간, 다시 한 번 허리케인이 다가온다는 반가운?^^소식이 들린다. 어른들에게는 무서운 허리케인이겠지만 아이들에게는 이 세상의 그 무엇도 두려움이 아닌 신비로움으로 가득찬 모험과 상상의 대상이라는 걸 이 작품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